경제 불황에 불안·우울로 잠 설치는 사람↑…한국인 85% 수면의 질 저하 증상 경험
'세계 수면의 날' 특별기획 세계수면학회(World Association of Sleep Medicine, WASM)는 수면과 관련된 의료·교육·사회적인 문제를 환기시키고, 수면장애를 예방·치료함으로써 수면질환과 관련된 사회적인 부담을 낮추기 위해 매년 낮과 밤이 똑같아지는 춘분 직전 금요일을 '세계 수면의 날' (World Sleep Day)로 정하고 있다. 올해 세계 수면의 날은 3월 17일이며, '수면은 건강에 필수적이다(Sleep is Essential for Health)'를 슬로건으로 내세워 세계 각지에서 관련 행사가 마련되고 있다. 메디게이트뉴스는 세계 수면의 날에 발표된 수면건강과 수면산업의 주요 내용을 모아서 다뤄본다. ①경제 불황에 불안·우울로 잠 설치는 사람↑…한국인 85% 수면의 질 저하 증상 경험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전 세계적으로 경제 불안정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지난해에 비해 불안과 우울증, 업무 관련 걱정으로 밤잠을 설치는 비율이 늘어난 것으로 나 2023.03.17
피플바이오-제이어스, '바이오+AI 디지털'로 사업 영역 확장
피플바이오가 인공지능(AI)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 제이어스와 사업 확장에 나선다. 두 기업이 각각 보유한 바이오 및 IT 기술을 융복합해 디지털 바이오 영역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이다. 피플바이오는 제이어스와 함께 진단 분야에서 '융복합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본격 협업을 진행한다고 16일 밝혔다. 피플바이오는 2021년 제이어스에 30억원을 처음 투자한 이후 연이은 투자로 현재 1대 주주의 지위를 갖고 있다. 30일 제이어스 정기주주총회에서는 피플바이오의 조대원 재무이사(CFO)를 신규이사로 선임하여 양사의 운영 효율화도 도모하려고 한다. 피플바이오가 제이어스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진 배경에는 ‘시너지’와 ‘사업 영역 확대’가 있다. 퇴행성 뇌질환 분야에서 발병률이 가장 높은 질병은 알츠하이머병이며 그 다음으로는 파킨슨병이 꼽힌다. 두 기업은 각각의 퇴행성 뇌질환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독보적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두 기업의 '진단'에 2023.03.16
큐리언트, 타겟 항암제 'Q901' 적응증 확장 연구 결과 발표
큐리언트가 4월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Annual Meeting 2023)에서 현재 임상개발 중인 신규 타겟 항암제 Q901의 적응증 확장에 대한 연구 진행 결과를 발표한다고 16일 밝혔다. Q901은 세포의 분열 주기를 조절하는 핵심 인자인 CDK7을 저해함으로써 세포주기를 정지시켜 DNA 손상 복구(DNA Damage Repair, DDR)를 저해함과 동시에, 유전체 불안정성 (Genomic Instability)을 증가시켜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하는 기전의 항암제다. 큐리언트는 이번 AACR에서 Q901의 DNA 손상 복구 저해 기전에 대한 연구 결과와 이에 기반한 면역관문억제제 및 PARP 저해제와의 병용 투여 연구 결과들을 공개한다. Q901은 이미 전임상 결과를 통해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 소세포성 폐암, 췌장암 등에서 단독 투여 시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으며 이를 학회에 발표했다. 큐리언트 관계자는 "Q901은 2023.03.16
아델, 새로운 타우 항체 ADEL-Y01의 치매 치료 가능성 확인
아델과 서울아산병원 연구팀이 알츠하이머병 등 다양한 타우병증에서 병리 진행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단일 클론 항체 'ADEL-Y01'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항체는 타우병증의 발달과 확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라이신 280에 아세틸화된 타우 단백질(tau-acK280)을 표적한다. 타우병증은 뇌에 타우 단백질이 축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군으로, 뇌 세포의 사멸과 인지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은 타우병증의 가장 흔한 유형 중 하나이다. 연구진은 아세틸 타우(tau-acK280)가 뇌에서 잘못 접힌 타우 단백질이 증폭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아세틸 타우(tau-acK280)를 표적하기 위해 Y01을 개발해 세포 및 마우스 모델에서 그 효능을 테스트했다. 그 결과 ADEL-Y01이 각각 항체 매개 억제 및 포식 작용을 통해 신경 세포 배양 및 타우 형질 전환 마우스 모두에서 타우 병증 진행을 예방하고 신경 생존 능력 2023.03.16
피노바이오, World ADC 2023에서 ADC 비임상 결과 발표
피노바이오가 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진행되고 있는 ‘World ADC 2023’에서 자체 개발한 ADC 약물(payload, 페이로드) ‘PBX-7 시리즈’ 비임상 실험 데이터를 처음으로 공개했다고 16일 밝혔다. 발표 자료에는 PBX-7 시리즈의 세포주 실험 결과, 다이이찌산쿄 엔허투(성분명 트라스투주맙데룩스테칸)의 페이로드인 DXd와의 비교 실험, PBX-7 시리즈에 항체 트라스투주맙을 합성한 HER2 타깃 ADC 후보물질의 비임상 실험 결과 등이 담겼다. 피노바이오가 자체 개발한 PBX-7 시리즈는 엔허투의 DXd와 유사한 캠토테신(Camptothecin) 계열 약물이다. 암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효소를 저해함과 동시에 암세포 사멸을 막아주는 단백질까지 억제하는 이중기전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PBX-7 시리즈는 삼중음성유방암(TNBC), 두경부암 등 다양한 암 세포주를 대상으로 한 인비트로(in vitro) 실험에서 DXd 대비 동등 이상의 효능을 보였다. 트라스투주맙 2023.03.16
삼성바이오, 美 '디캣 위크'서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0~23일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2023 디캣 위크(DCAT Week)’에 참가해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에 나선다고 16일 밝혔다. 디캣 위크는 1890년 뉴욕 상공회의소 주관으로 시작해 현재는 디캣(Drug, Chemical & Associated Technologies Association) 협회가 매년 개최하는 바이오제약 분야 대표 네트워킹 행사로 130년 넘게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참가자의 90% 이상이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고위 직급으로 구성돼 있어 기업 간 파트너십을 집중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자리로 알려졌다. 지난해 전세계 50여개국 총 700개 이상의 기업, 1만명 이상이 참여했으며, 올해는 약 1만2000여명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코로나19로 인해 개최되지 않은 2020년 행사를 제외하고 2016년부터 매년 참석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글로벌 빅파마들과 함께 주요 프로그램의 후원 기업으로 참여한다. 특히 존림 대표가 직 2023.03.16
압타머사이언스, 美 AACR서 'CD25-ApDC 면역항암제' 연구결과 발표
압타머사이언스가 4월 14~19일(현지시간) 미국 올랜도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에 참가해 ‘CD25-ApDC 면역항암제’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발표 초록은 31일 AACR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된다. 압타머사이언스는 ‘인간 CD25를 표적으로 하는 압타머-약물 전달체의 조절 T 세포 제거 및 억제(Human CD25-targeted aptamer-drug conjugate(CD25-ApDC) depletes and blocks regulatory T cells)’를 주제로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CD25-ApDC 면역항암제는 종양 내 조절 T 세포(regulatory T cell, Treg)의 CD25와 특이적으로 결합해 암세포가 인체의 면역체계를 회피하지 못하도록 한다. 특히, CD25-ApDC는 Treg 세포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종양 증식을 막는 세포독성 T 세포(Effector T cell)와 항원표 2023.03.15
큐리언트, 면역항암제 Q702 임상1상 면역 활성 결과 발표
큐리언트가 4월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Annual Meeting 2023)에서 현재 임상개발 중인 면역항암제 Q702를 투여 받은 환자에서의 항암 면역 활성화 결과를 발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발표에서는 특히 면역관문억제제의 반응성을 높이는 것으로 잘 알려진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 gamma) 수치가 Q702 투여 후 증가하는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키트루다의 개발사인 MSD는 2017년 임상 학술지를 통해 인터페론 감마와 직접 관계된 유전자 발현이 키트루다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임상결과를 발표했다. MSD의 논문 발표 이후 면역관문억제제의 반응성과 인터페론 감마 간의 상관관계는 세계 여러 기관의 다양한 임상 연구를 통해 검증됐다. 큐리언트는 전임상 과정에서 Q702 투약 시 인터페론 감마가 증가됨을 관찰했고, 이에 따른 Q702와 항 PD-1 항체간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해, 이를 논문 및 학회에 발표했다. 이번 AACR을 통해 Q702의 전임상 결과 2023.03.15
갈더마코리아-JW신약, 로세릴네일라카와 엘-크라넬 국내 판매 및 유통 협약 체결
갈더마코리아가 JW신약과 조갑진균치료제 로세릴네일라카와 안드로젠탈모증 치료제 엘-크라넬의 국내 판매 및 유통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JW신약은 갈더마코리아의 로세릴네일라카와 엘-크라넬 제품의 국내 영업과 마케팅을 전담하게 됐다. 로세릴네일라카는 갈더마코리아가 1999년 국내에 출시한 첫 번째 제품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는 손발톱 무좀(조갑진균증) 국소 치료제다. 손발톱에 직접 도포하는 매니큐어형 외용제로 감염 부위에 신속하게 침투 가능하며, 손발톱 무좀 원인균에 광범위한 항진균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다. 주 1~2회 사용만으로도 최소 7일 이상 효과가 지속된다. 엘-크라넬은 남녀 모두에게 사용할 수 있는 안드로젠 탈모 치료제다. 탈모를 유발하는 직접적인 원인 물질로 알려진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HT) 생성을 3중으로 억제해 모발 손실을 최소화시킨다. 두피에 사용해도 끈적임이 없고, 어플리케이터로 두피에 쉽게 도포할 수 있어 사용 2023.03.15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자체 발굴 4세대 폐암 표적치료제 전임상 연구 발표한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4월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회의(AACR Annual Meeting 2023)에서 4세대 폐암 표적치료제 후보물질 BBT-207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형태로 발표한다고 15일 밝혔다. 14일(현지시간) 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된 연구 초록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진전된 전임상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한 BBT-207의 항종양 효력을 비롯해 뇌전이 억제 가능성에 대한 데이터를 발표할 계획이다. BBT-207은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자체 발굴한 최초의 신약 후보물질로 타그리소(성분명 오시머티닙) 등 3세대 EGFR 저해제 치료 이후 나타날 수 있는 내성 돌연변이를 표적 치료하는 신규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제(EGFR TKI)다. 지난해 AACR에서 BBT-207의 전임상 데이터를 포스터 형태로 발표하며 세포주 및 동물 실험을 기반으로 탐색한 약물의 약동학적 특성과 함께 C797S 양성 이중 돌연 2023.03.15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