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이 남성보다 쉽게 잠 방해받는다…모든 요인서 수면장애 보고율 높아
미국수면의학회·수면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SLEEP 2022) ①수면 중 뇌파로 미래 건강 예측한다…"수면 데이터 해독, 건강관리에 더 중요해질 것" ②미국수면학회 "수면, 영양·운동 버금가는 건강의 핵심 기둥" ③불규칙하게 자면 총 수면시간 관계없이 고혈압 위험 9~15% 늘어 ④코로나19 회복 환자의 약 절반은 중등도 이상 수면장애 경험 ⑤페어 디지털 치료제, 리얼월드 데이터서 만성 불면증·우울증·불안 유의하게 줄여 ⑥배우자와 함께 자면 수면건강에 더 도움…불안·우울 줄이고 사회적 지지 높아져 ⑦"코 자주 골거나 수면무호흡증 있으면, 낮에 36분~44분 더 앉아 있는다" ⑧수면 측정기 사용자 10명 중 7명은 권장시간보다 덜 잔다 ⑨여성이 남성보다 쉽게 잠 방해받는다…모든 요인서 수면장애 보고율 높아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여성이 남성보다 외부 자극이나 신체 신호, 사회적 영향 등 모든 원인으로 인해 잠을 방해받을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2022.06.20
릴리-사이드킥, 유방암 환자 건강 개선 돕는 디지털 솔루션 출시한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유방암 치료제를 판매하고 있는 빅파마와 디지털 치료제 스타트업이 공동으로 약물 치료 순응도를 높이고 행동 수정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디지털 헬스 애플리케이션을 만든다. 아이슬란드 스타트업 사이드킥 헬스(Sidekick Health)가 17일(현지시간) 릴리(Eli Lilly)와 함께 유방암 환자를 위한 통합 디지털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 디지털 치료제는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됐으며, 7월 독일에서 처음 출시할 예정이다. 환자는 사이드킥 플랫폼을 통해 행동 수정을 촉진하고 변화 장벽을 극복하는 건강 개선 작업에 참여하는 맞춤형 디지털 치료 계획에 접근할 수 있다. 사이드킥 솔루션은 암 치료를 받는 환자의 회복에 큰 장벽이 되는 신체 활동과 맞춤형 식이요법, 수면 스트레스 관리, 약물 준수 5가지 영역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환자들은 임상 전문가와 환자단체가 협력해 제작한 교육 콘텐츠를 볼 수 있어 암과 함께 살아가는 것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2022.06.18
듀켐바이오, ImaginAb와 신약 제조 및 공급 계약 체결
듀켐바이오는 차세대 면역종양 영상 진단제 및 방사성의약품 치료제(RPT) 개발 기업 ImaginAb와 방사성의약품 신약 CD8 immunoPET, Zirconium 89Zr-crefmirlimab berdoxam의 임상시험을 위한 제조·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듀켐바이오는 ImaginAb와의 협력 체계를 구축해 아시아 국가에도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제공할 계획이며, 추후 ImaginAb의 CD8 기술을 활용한 국내 신약허가에 대한 승인 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된다. ImaginAb 경영 총괄 부사장인 William Le는 "ImaginAb가 한국의 듀켐바이오와 파트너십을 맺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이번 계약은 ImaginAb가 아시아에서의 입지를 확장하고 신규 시장에 Zirconium 89Zr-crefmirlimab berdoxam을 제공하게 되는 중요한 이정표이자 선도적인 글로벌 제조 및 유통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2022.06.17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2022 바이오 USA에서 기업 발표…사업개발 박차
혁신신약 연구개발 전문 기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13~16일(현지사간) 미국 샌디에고에서 열린 '2022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2022 BIO International Convention, 바이오 USA)'에서 기업 발표(Company Presentation)를 진행했다고 17일 밝혔다. 바이오 USA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제약∙바이오 업계 파트너링 행사다. 올해는 3년여 만에 전면 오프라인 행사로 개최돼, 3000여 개 이상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이 참석했다. 행사 마지막 날인 16일 오전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 및 투자가 등을 대상으로 기업발표를 진행했다. 발표를 맡은 파벨 프린세브(Pavel Printsev) 사업개발 디렉터는 회사가 개발중인 항암 파이프라인 BBT-176과 BBT-207(차세대 비소세포폐암 표적치료제 후보물질), BBT-401(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후보물질), BBT-877(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후보물질)을 중심으로 2022.06.17
로슈 아밀로이드 표적 후보물질 크레네주맙, 상염색체 우성 알츠하이머 임상 실패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로슈가 개발 중인 아밀로이드 표적 알츠하이머 치료 후보물질 크레네주맙(crenezumab)이 임상연구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이로써 크레네주맙은 2019년 전단계(prodromal)~경증 산발성 알츠하이머 환자를 대상으로 한 3상 임상에 실패한데 이어, 조기 발병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키는 특정 유전자 변이가 있는 사람들에게서도 인지 저하를 늦추거나 예방하는데도 실패했다. 로슈 제넨텍(Genentech)은 16일 배너 알츠하이머 연구소(Banner Alzheimer’s Institute)와 함께 알츠하이머 예방 이니셔티브(API) 상염색체 우성 알츠하이머병(ADAD) 콜롬비아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크레네주맙은 베타-아밀로이드의 한 형태인 신경독성 올리고머를 중화하도록 설계된 연구용 단클론항체다. 제넨텍에 따르면 크레네주맙에는 뇌의 염증 반응을 최소소화하도록 설계된 항체 백본(IgG4)이 있어 아밀로이드 관련 영상 이상(ARIA)로 알려진 특정 자기공 2022.06.17
수술 AI 플랫폼 휴톰, 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기 지원사업 선정
수술 인공지능(AI) 플랫폼 기업 휴톰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진행하는 ‘국산의료기기 신제품 사용자(의료기관) 평가 지원 사업’에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AI 수술 보조 내비게이션 RUS를 앞세워 이번 지원 사업에 선정된 휴톰은 분당서울대병원과 임상연구 고도화에 본격적으로 돌입한다. 휴톰의 대표 기술력인 RUS는 수술 각 단계마다 외과의가 필요로 하는 환자 개개인의 해부학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해 수술 결과를 개선하는 AI 기반 환자 맞춤형 3D 수술용 내비게이션이다. 복부팽창(기복) 예측 모델링과 동맥·정맥정합, 자동 장기·혈관 분할 등의 핵심 기술이 내장돼 있다. 이를 통해 수술의 안정성 확보 및 출혈 감소 등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평가 지원 사업은 수입 제품 사용 비중이 높은 국내 주요 의료기관에 국산 유망 신제품의 시장 진입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산 의료기기 비교평가 및 성능 개선, 치료 효과 등의 검증 평가에 필요한 소요 비용을 지원받는다. 분당서울 2022.06.16
피플바이오-하나로의료재단, 알츠하이머병 조기검진 서비스 개시
퇴행성 뇌질환의 혈액기반 조기진단 전문기업 피플바이오가 이달부터 하나로의료재단 검진센터에서 알츠하이머병 조기검진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고 16일 밝혔다. 하나로의료재단은 2000개 이상의 기업체 검진과 개인 검진 등 연간 30만 명 이상이 수검하는 전문적인 검진센터로, 2021년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국가건강검진기관 3주기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일반검진 분야)을 받았다. 피플바이오는 알츠하이머병 관리의 시작으로 알츠하이머병 혈액검사를 제시하고 있다. 피플바이오 강성민 대표는 "국내 최고의 건강검진센터 중 하나인 하나로의료재단을 통해 알츠하이머병 조기검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향후 혈액검사에서 더 나아가 디지털진단, 디지털치료 등의 케어방법 마련 및 신약후보 물질 발굴을 통해 알츠하이머병 진단, 관리, 치료의 모든 영역에서 솔루션을 제공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2022.06.16
큐라클, CU06-RE 반복독성시험 결과 발표
혈관질환 특화 신약개발 회사 큐라클이 미국에서 당뇨병성 황반부종과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로 개발 중인 CU06의 13주 반복투여 독성시험을 수행한 결과 이상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시험은 세계 최대 비임상시험수탁기관(CRO) 중 하나인 랩코프(LabCorp, 구 코반스)에서 수행했으며 최대용량을 투여해도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대무독성량(NOAEL)은 진행한 테스트 중 최고 용량으로 확정됐다 큐라클 관계자는 "이번 독성 시험을 통해 장기, 조직 등 생체 내 위해도를 평가하고 CU06의 사용 용량 기준을 결정했다"며 "이는 당뇨병성 황반부종 2상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에 최우선적으로 적용될 것이고 이후 바로 진행되는 습성 황반변성과 현재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CU101(급성심근경색), CU102(급성폐손상), CU103(뇌졸중), CU104(궤양성대장염), CU105(유전성 혈관부종), CU106(항암제병용요법) 프로젝트의 2상 2022.06.16
비트락비, NTRK유전자 융합 고형암 환자서 임상적 유효성과 삶의 질 개선 이점 재확인
바이엘은 자사의 TRK 억제제 비트락비(성분명 라로트렉티닙)에 대한 확장 연구 6건을 3~7일 열린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발표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암종 및 연령의 NTRK 유전자 융합 양성 고형암 환자에서 비트락비의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유용성을 재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확장 연구는 3개 핵심 임상연구(NCT02122913, NCT02637687, NCT02576431)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가장 규모가 큰 확장 연구인 비중추신경계(non-CNS) NTRK 유전자 융합 고형암 환자 분석에는 25가지의 다른 암종을 가진 성인 및 소아 244명이 포함됐다. 이 연구에서 비트락비의 완전 관해율은 26%(n=64), 객관적 반응률(ORR)은 69%(95% CI 63-75), 반응지속기간(DoR) 중앙값은 32.9개월(95% CI 27.3–41.7) 이었다. 48개월 시점(추적기간 중앙값 32.2개월)에서 전체 생존율(OS)은 64%(95% CI 55-73)였으며 2022.06.16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혈전증은 다중 시스템 장애, 전신 CT가 잠복 혈전증 식별에 도움"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의 코로나19 백신(ChAdOx1 nCov-19) 접종을 받고 백신 유도 혈소판 감소증(vaccine-induced immune thrombotic thrombocytopenia, VITT)이 발생한 환자에서 전신 영상 촬영이 혈전 잠재 부위를 감지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영국 애든브룩스병원(Addenbrooke's Hospital) 프리야 로저스(Priya Rogers) 박사팀이 ChAdOx1 nCov-19 1차 접종 후 VITT이 확인된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 결과를 최근 북미영상의학회(RSNA) 학술지 Radiology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VITT에서 영상은 혈전증과 합병증을 진단하고 중재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국제 지침은 국소 증상별 영상을 권장하며, 혈전증이 여러 부위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에도 혈전증 잠복 부위를 평가하기 위해 전신 영상 촬영을 구 2022.06.16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