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클론-에빅스젠, 세포∙조직 투과성 높인 항체 신약 공동개발 추진
앱클론이 바이오 벤처기업 에빅스젠과 세포 및 조직 투과성을 높인 항체 신약 공동 연구개발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양사는 차세대 항체 혁신신약 공동 개발을 위한 MTA(물질이전계약, 8월)와 이번 MOU를 통해 지속적으로 항체 신약 공동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앱클론은 항원의 특정 에피토프(결합부위)에 결합하는 항체를 발굴하는 기술인 NEST(Novel Epitope Screening Technology)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NEST 플랫폼을 통해 발굴한 AC101(위암, 유방암 항체치료제)은 중국 상하이 헨리우스 바이오텍(Shangahi Henlius Biotech)에 기술이전(L/O)해 임상2상을 앞두고 있다. 또한 질환단백질 CD19의 새로운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자체 항체를 개발했으며 이를 CAR-T 세포치료제에 적용한 AT101의 국내 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6월 제출했다. 에빅스젠은 신약 개발 플랫폼 기술이자 차세대 세포 및 조직 투과 전 2021.10.07
12~17세에서도 코로나19 백신 안전·건강상 이점 커…美소아청소년의 45%가 2차까지 접종완료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국내에서도 5일부터 16~17세 소아청소년 사전예약이 실시된 가운데 8일부터는 12~15세 소아청소년의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이 시작된다. 접종은 화이자(Pfizer)-바이오엔텍(BioNTech) 코로나19 백신 코미나티(Comirnaty)로 이뤄진다. 질병관리청은 "미국, 일본, 캐나다, 독일 등 많은 국가에서 12세 이상 소아청소년 대상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권고하고 있으며, 추진단은 예방접종전문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소아청소년의 접종으로 인한 이득이 위해를 상회하므로 예방접종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특히 소아당뇨, 비만 등 내분비 질환, 심혈관 질환, 만성호흡기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는 소아청소년은 건강한 청소년보다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약 2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예방접종을 적극적으로 권고했다. 건강한 청소년이라면 본인과 보호자의 희망에 따라 접종을 받도록 권고하고 있다. 현재 이스라엘은 물론 유럽에서는 프랑스와 2021.10.07
애브비 JAK 억제제 린버크, 아토피피부염·강직척추염·건선관절염 치료제로 승인
한국애브비는 자사의 선택적, 가역적 JAK 억제제이자 1일 1회 경구용 린버크(Rinvoq, 성분명 유파다시티닙, Upadacitinib)가 5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아토피피부염, 강직척추염 및 건선관절염 치료제로 적응증을 승인 받았다고 6일 밝혔다. 한국애브비 의학부 총괄 강지호 전무는 "이번 린버크의 아토피피부염, 강직척추염, 건선관절염 적응증 승인은 각 질환의 임상시험에서 과학적으로 입증된 유효성과 안전성을 근거로 이뤄졌다"며 "이번 승인으로 한국의 더 많은 자가면역질환 환자들의 건강한 일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됨을 기쁘게 생각하며 애브비는 향후에도 지속적인 연구 개발로 다양한 자가면역질환의 해법을 제시할 것이다" 밝혔다. 아토피피부염은 재발을 거듭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심한 가려움증과 긁힘으로 피부가 갈라지거나 비늘, 진물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소아는 약 25%, 성인은 서구화된 국가에서 3~7%, 우리나라에서 1~3%의 유병률이 나타나고 있다. 린버크는 전신 2021.10.06
이수앱지스, 고셔병 치료제 '애브서틴' 알제리서 품목허가 획득
이수앱지스가 희귀질환 치료제인 고셔병 치료제 '애브서틴(Abcertin)'이 알제리 식약처(ANPP)로부터 품목허가를 받았다고 6일 밝혔다. 고셔병은 체내 필수 효소인 글루코세레브로시데이스(Glucocerebrosidase)의 결핍에 의해 발생하는 유전질환이다. 해당 효소가 결핍되면 글루코세레브로사이드(Glucoserebroside)라는 당지질이 분해되지 못하고 비장, 간, 골수 등에 축적돼 신체조직과 장기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애브서틴은 사노피 젠자임의 세레자임(Cerezyme, 성분명 이미글루세라제)과 동일한 성분명을 가진 고셔병 효소대체요법(Enzyme Replacement Therapy, ERT) 치료제다. 2012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희귀의약품 승인 획득 이후, 이란, 페루, 콜롬비아 등에서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 이번 알제리 식약처 승인까지 포함해 전세계 8개 국가에서 품목 허가 승인을 받았다. 회사 측은 알제리의 고셔병 치료제 시장은 약 250억원 규모로 현 2021.10.06
에이비엘바이오, 미국 면역항암학회서 2개 이중항체 후보물질 소개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가 11월 10~14일 개최되는 면역항암학회(Society for Immunotherapy of Cancer, SITC)에서 자사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ABL503(TJ-L14B)과 ABL111(TJ-CD4B)의 데이터가 공개될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ABL503 전임상 결과는 에이비엘바이오가, ABL111은 글로벌 파트너사인 아이맵(I-Mab Biopharma)이 발표할 계획이다. SITC는 매년 미국에서 열리는 면역항암 분야 최대 규모 학회로 혁신 기술 발전을 위해 전세계 정부기관, 학계 전문가들 및 기업 대표들이 참가한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 개최된다. ABL503과 ABL111은 종양미세환경에서 선택적으로 면역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그랩바디-T(Grabody-T)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ABL503은 PD-L1과 4-1BB를 이중으로 표적한다. 전임상 결과 글로벌 제약사 로슈(Roche)의 PD-L1 계열 면역항암 2021.10.06
와이브레인, 뇌파검사 마인드스캔 정신과 100곳 입점 돌파
뇌과학 전자약 플랫폼기업 와이브레인은 자사가 개발 판매 중인 정신과 전문 뇌파검사 시스템 마인드스캔이 국내 정신과 100곳 입점을 돌파했다고 6일 밝혔다. 마인드스캔은 정신과 병원의 과학적 진단을 위한 보조 프로그램으로 개발돼 2019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판매 허가를 받았다. 특히 이 시스템은 CT나 MRI를 통한 뇌구조만으로 관찰할 수 없는 뇌의 기능을 반영한 정량뇌파와 심박수계를 함께 검사한다. 우울증, ADHD, 양극성장애, 조현병, 치매, 알코올 중독 등 다양한 정신질환 증상과 직간접적으로 이상활동을 정량적으로 분석해 의사와 환자들에게 객관적 지표를 제공한다. 와이브레인은 지난해 6월부터 환인제약과 공동으로 마인드스캔의 국내 정신과 대상 입점 영업을 진행해왔다. 1년간 국내 정신과 병원 100곳의 입점을 돌파했고 특히 서울 경기 지역의 정신과 병원의 입점율이 50%에 달했다. 병원 내 사용 건수도 월평균 2000건 이상으로, 120%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1.10.06
오가노이드사이언스, 구강건조증 재생치료제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연구과제 선정
오가노이드 전문 바이오텍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차의과학대학교, 건국대학교와 함께 현재 개발 중인 침샘 오가노이드 기반 구강건조증 재생치료제가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과제 대상자로 최종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9월 24일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과 협약을 마친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올해 8월부터 2024년까지 임상시험 허가를 위한 비임상 연구비를 지원받게 됐다. 방사선치료, 자가면역, 노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파괴된 침샘은 영구적인 침 분비 기능 저하를 유발하지만 기존의 구강건조증 치료제인 1세대(인공타액)와 2세대(침 분비 자극제)로는 증상의 완화만 가능하고, 아직 근원적인 치료법은 없다. 정부지원과제로 선정된 오가노이드사이언스의 침샘 오가노이드 기반 구강건조증 세포치료제는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한 유일한 3세대 재생치료제로 환자맞춤형 치료법 개발이 가능하여 환자의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최근 오가노이드사이언스 비임상개발팀에서는 마우스 및 사람의 침샘 조직으로부터 세포 2021.10.06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1' 온라인 컨퍼런스 개최
한국바이오협회가 리드엑시비션스코리아와 함께 10월 27~28일 및 11월 24~25일 4회에 걸쳐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1' 컨퍼런스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5일 밝혔다. 'FALL IS BIO SEASON'이라는 테마에 걸맞게 다양한 최신 바이오산업 키워드를 중심으로 산업계 주요 연사들이 강연한다. 올해는 특히 한미약품과 싸토리우스 외 9개 후원기업세션뿐만 아니라 바이오·제약·헬스케어 산업의 최신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인사이트를 통해 '바이오산업의 미래'를 함께 논의한다. 행사 첫날인 27일 오전 세션에는 '한국, 미국 투자 및 IPO 가이드' 세션이 진행된다. 국내 VC 투자 및 글로벌 자금 조달 트렌드는 물론 코스닥과 나스닥 상장을 준비 중이거나 희망하는 기업들에게 상장절차뿐만 아니라 우회상장, 스펙상장 등 다양한 방법으로의 상장에 대해서도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오후 세션으로는 영국, 이스라엘, 캐나다, 스위스 등 글로벌 바이오산업 선도국 4개 국가에서의 바이 2021.10.05
진매트릭스 코로나19 백신 후보, 상용화 백신 대비 우월한 중화항체 확보
진매트릭스는 코로나19 백신후보물질(GM-ChimAd-CVN)의 동물시험에서 남아공 변이바이러스까지 방어할 수 있는 우수한 중화항체 역가를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진매트릭스의 백신 후보물질은 자체 개발해 보유하고 있는 차세대 GM-ChimAd 백신 원천기술에 기반해 개발됐다. 이 기술은 병원성과 인체 내 증식성을 제거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 플랫폼으로서 항원 전달효율을 향상시키고 벡터 기반 부작용을 최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코로나 백신 파이프라인 GM-ChimAd-CVN은 기존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 및 변이바이러스를 폭넓게 방어할 수 있는 중화항체뿐만 아니라, 인체 면역기억 T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변이바이러스가 재유행을 반복하는 팬데믹 상황에서 신속히 대응하고자 3차원 면역항원 리모델링 기술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교차 면역을 확보하고, 장기적인 면역 지속성을 강화하도록 설계됐다는 것이 진매트릭스의 설명이다. GM-ChimAd-CVN 2021.10.05
온코크로스, 365MC네트웍스와 연구협력협약서 체결
AI신약 벤처기업 온코크로스가 지난달 27일 365MC네트웍스과 연구협력협약서를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온코크로스와 365MC네트웍스는 AI신약개발 플랫폼 기반의 비만치료제 개발을 위한 흡입지방 공동연구를 위해 상호 신의를 바탕으로 연구협력협약서를 체결했다. 주요 협약 사항에 따라 양사는 AI신약개발 플랫폼 기반의 비만치료제 개발을 위한 흡입지방 공동연구를 위해 본 협력 연구에 필요한 인력, 예산, 장비 및 시설을 기관 자체적으로 투입한다. 이번 협약을 통해 온코크로스는 365MC네트웍스와 공동의 프로젝트를 설정해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잠재적인 사업기회 발굴과 실현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온코크로스 김이랑 대표는 "365MC는 18년간 500만건이 넘는 비만 진료건수와 비만치료에 특화된 시각에서 모든 프로세스를 검토되고 진행하는 비만 특화 병원으로 비만과 지방세포에 세계적으로도 정상급으로 꼽힌다"며 "이번 연구협력을 통해 온코크로스의 AI엔진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시키는 계기가 될 것 2021.10.05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