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급 564개 비급여 진료비 공개→전체 비급여 항목 표준화→표준화된 코드 사용→비급여 진료비 표준화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의료계의 강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비급여 관리를 위해 올해 의원급 의료기관의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 시범사업에 이어 내년부터 정식으로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비급여 가격 공개 다음으로는 전체 비급여의 표준화를 위한 비급여 코드 부여를 통한 가격 표준화까지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평원은 10~12월 전국 의원급 의료기관에 진료기록, 초음파 검사료, 주사료, 도수치료, 예방접종료 등 564개 항목의 비급여 진료비와 진료 횟수 자료 제출을 의무화하도록 했다. 올해는 시범사업으로 시작하며 내년 1월1일부터 본사업이 시행된다. 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심평원 국정감사 서면질의 답변을 확인한 결과,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은 실질적 보장성 강화를 위한 비급여 관리 방안을 질의했다. 심평원 급여보장실 비급여정보관리부 배영숙 팀장은 “의원급 의료기관 비급여 진료비용 현황조사 및 공개와 관련해 표본조사를 2회 실시했고 조사대상의 69%가 자료를 2020.11.04
"위내시경 4만2000원 vs 발마사지 5만원, 발마사지는 잘못돼도 구속·합의금 없지요?"
행동하는 여의사회(행동여의)는 3일 성명서를 통해 “위내시경 4만2천원 vs 발마사지 5만원, 발마사지는 잘못돼도 구속·합의금 없지요”라고 지적했다. 행동여의는 “다른 나라와 수십 배 차이나는 수가, 칭찬받기를 좋아하는 모범생 의사들이 수가 개정 요구를 한 목소리로 강하게 하지만 (정부는) 할 생각을 안하고 있다. 수십 년째 제자리인 초저수가로 인한 적자를 장례식장, 매점 수익과 비급여로 꾸역꾸역 메꾸다 이제는 불법 PA까지 동원해 적자 보전을 위한 사투를 벌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행동여의는 “보수적이기로 유명한 의대교수들조차 단체행동을 적극 지지하며 당직을 자처할 정도로 의료가 더 이상 버틸 수 없는 수준이다. 2018년 문케어를 통해 비급여의 급여화가 시작되고 질환을 보는 의료로 생계 유지가 더욱 불가능해지면서 의사들이 대거 미용으로 빠져 나가고 있다. 전문의들마저 처절한 마음으로 전공과 상관없는 미용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행동여의는 “기형적 초저수가를 메우려 누덕누덕 모래성 2020.11.03
코로나19 의료계 종사자 우울 33.3% 불안 12.5%...일반인들보다 더 높아
코로나19 상황에서 의료계 종사자들이 일반인들 보다 우울, 불안 등 코로나 블루 위험에 더 크게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남대병원은 최근 직업환경의학과 연구팀이 코로나19 사태 속 의료계 종사자들이 극심한 업무와 심리적 압박 환경에 노출됨에 따라 우울, 불안 등의 스트레스 반응을 확인하고 직무, 부서, 노출 유형이 이러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논문을 대한의학회지(JKM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발표했다고 3일 밝혔다. 해당 조사는 지난 4월2일~10일 대구 지역 한 대학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시행됐다. 해당 설문지는 우울(PHQ-9), 불안(GAD-7), 주관적 위험인지수준(VAS) 점수를 평가했고 직무, 근무부서, 노출경로에 따라 분석됐다. 설문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 중 우울, 불안 위험군에 해당하는 응답자가 각각 33.3%, 12.5%로 나타났다. 특히 간호사 직군에서 우울과 불안 지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20.11.03
서울시의사회 "소화기내과 교수 보석 허가 환영...2심 재판과정도 주목"
서울시의사회는 3일 성명서를 통해 "장폐색 의심 환자에게 장 정결제를 투여해 사망하게 한 혐의로 구속됐던 소화기내과 교수에게 보석 허가가 내려졌다. 불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을 수 있게 한 것은 해당 의사에게 방어권 행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준 것으로 늦었지만 합리적인 결정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항소9부(부장판사 최한돈)는 2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된 강남세브란스병원 소속 J교수에 대해 보증금 1000만원 납입을 조건으로 보석 허가 결정을 내렸다. 법정구속된지 54일만이다. 서울시의사회는 "구속 상태에서 해소된 것은 그나마 다행이나 이번 보석 허가가 내려지기까지의 지난(至難)한 과정 및 앞으로의 후속심에 대해 의료계의 우려가 몹시 크다. 대한의사협회는 해당 판결에 대해 의료현장을 지켜온 의사들의 전문가적 직업 소명과 가치를 빼앗은 판결이라며 법원의 사법 만행을 강력히 규탄한 바 있다. 돌이켜보면 대학병원의 교수이자 두 아이의 엄마인 의사를 법정 구속한 1심 2020.11.03
잘 나가는 국산 체외진단기기...코로나19 진단키트 19개 FDA 긴급사용승인, 수출액만 1조4000억원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국내 체외진단 의료기기 기업들이 코로나19 진단키트 제품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긴급사용승인을 잇따라 받은데 이어 전세계 수출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9월까지 국내 기업들의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 규모는 1조 4000억원에 이른다. 3일 메디게이트뉴스가 FDA 홈페이지를 확인한 결과, 현재까지 긴급사용승인(EUA, Emergency Use Authorization)을 받은 국내 진단키트 제품은 유전자 진단키트 14개, 항원 진단키트 2개, 항원 진단키트 3개 등 전체 19개다. 이 중 엑세스바이오가 유전자·항체·항원 진단키트에서 각각 허가를 받아 기업 수는 17개다. FDA는 코로나19 긴급사용승인 의료기기로 진단키트(In Vitro Diagnostic), 개인보호 장비(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인공호흡기 등 기타장비(Ventilators and Other Medical Device)를 두고 있다. FDA는 현재까지 2020.11.03
국내 연구진, 인공지능 기반 '자동 안면마비 등급 시스템' 공동 개발
순천향대 부천병원 이비인후과 이종대 교수팀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김익재 박사 연구팀이 공동 연구를 통해 인공지능 기반의 '자동 안면마비 등급 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유용성을 입증했다고 3일 밝혔다. 안면마비 정도를 판단하는 기존 평가 도구는 평가자마다 주관적 차이가 발생하거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이비인후과 이종대 교수팀은 안면인식 시스템 분야의 석학인 KIST 김익재 박사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공동 연구팀이 개발한 '자동 안면마비 등급 시스템'은 안면마비 환자 사진의 얼굴 윤곽과 눈, 코, 입 등의 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한다. 또 표정 근육의 움직임을 고려해 거리 지표를 설정하고 이를 분석해 신속·정확하게 안면마비 등급을 매긴다. 특히 '자동 안면마비 등급 시스템'을 기존 평가 도구(House-Brackmann scale, Sunnybrook scale)와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신뢰도와 상관관계가 높 2020.11.03
파인헬스케어, 국제의료협회 외국인 온라인 진료행사 솔루션 공급업체 선정
디지털헬스케어기업 파인헬스케어는 한국국제의료협회(KIMA)에서 주관하는 '외국인환자 온라인 진료행사'의 솔루션 공급업체로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글로벌 비대면 온라인 진료 솔루션인 '라임 팀(Lime Team)'을 활용한 이번 행사는 지난 1일 개막됐으며 오는 30일까지 국내 9개 대형 병원과 카자흐스탄 현지 병원에서 사용된다. 라임 팀은 현지 병원과 원격지 병원 양측이 단일 의료정보시스템(EMR)을 사용해 양 의료기관이 실시간으로 환자의 의료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의료진 간 공동으로 처방까지 가능하다. 라임 팀은 다국어 언어지원, 외국인환자 진료의뢰내역 및 관련 자료 등록, 의뢰 내역 확인, 등록된 의료진 대상 진료의뢰 및 소견 작성, 지정된 양식을 통한 소견 회신 기능, 등록환자의 의뢰진행상황 확인 기능, 진료기록 관리 기능, 병원별(전문의별) 예약현황 확인(목록형, 달력형)기능 등 한국국제보건의료협회의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시키는 시스템으로서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없다. 2020.11.03
"음성질환 AI 진단 통한 정밀 의료 시대 열린다"
연세대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은 '2020년도 제2차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이 사업은 의료기기의 현장 수요를 반영해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는 범부처 R&D 사업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이 참여해 약 1조2000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연구 프로젝트다. 강남세브란스병원이 선정된 연구과제는 '4차 산업혁명 및 미래 의료 환경 선도' 분야 과제다. 이비인후과(박영민 교수, 임재열 교수, 이승진 연구교수, 한예림 연구원)와 정신건강의학과(석정호 교수, 김현규 연구원)를 비롯해 연세대학교 공과대학(이태윤 교수, 조정호 교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공과대학(장경인 교수), SK 텔레콤(에릭 데이비스 하트만) 연구팀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음성 및 정신질환 예측, 진단, 관리를 위한 음성-언어-생체신호 통합 인공지능 의료기기 개발' 과제에 선정됐다. 총괄 연구책임자는 박영민 교수로 4년6개월 동안 45억 2020.11.03
한국로슈진단-에비드넷, 데이터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로슈진단은 지난 2일 국내 헬스케어 빅데이터 벤처기업인 에비드넷과 데이터 기반의 선도적 디지털 헬스케어 환경 조성을 위한 상호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맞춤의료 활성화를 위해 한국로슈진단의 임상적 의사결정 지원 플랫폼 네비파이 튜머보드와 의료데이터를 국제 표준인 공통데이터모델(Common Data Model, CDM)에 맞춰 변환하는 에비드넷의 데이터 기술을 연계하고, 상호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사는 의료데이터 표준화부터 임상적 활용도 개선까지 전단계에 걸친 협업시스템을 구축했다. 개별 의료기관에서 각기 다른 포맷으로 기록된 전자의무기록(EMR)을 에비드넷이 국제 표준에 따라 공통데이터모델(CDM)로 가공하면, 한국로슈진단은 의료진이 이 가운데 유의미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네비파이 튜머보드로 임상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형식이다. 이를 통해 조직검사, 엑스레이 검사결과 등 환자 데이터가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되며 자연 2020.11.03
법정구속 54일만에 소화기내과 교수 조건부 보석으로 풀려나
강남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A교수가 법정구속된지 54일만에 조건부 보석으로 풀려났다. 2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제9형사부는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된 A교수에 대해 보증금 1000만원 납입 조건의 조건부 보석을 승인했다. 법원은 A교수에 대해 주소지에 거주할 것과 소환시 지정된 일시·장소에 출석, 도주 우려와 증거 인멸 금지, 3일 이상 여행·출국시 법원 신고 및 허가 등 통상적인 수준의 이행조건을 준수할 것을 요구했다. 앞서 지난 9월 10일 서울중앙지법은 대장암 환자에게 대장내시경 검사를 위해 장 정결제를 투여한 소화기내과 교수에게 징역 10개월의 금고형을 선고하고 법정 구속시켰다. 의료계는 고의에 의한 과실이 아니며 두 아이의 엄마인데도 도주의 위험이 있다는 이유로 법정구속해 격분했다. 2020.11.03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