젬백스, 사상 최대 매출·투자 주의 환기종목 해제
젬백스앤카엘은 2020년 재무제표에 대해 적정의견을 받은 감사보고서를 한국증권거래소에 제출하고, 투자 주의 환기종목에서 해제됐다고 24일 밝혔다. 지난해 젬백스는 외부 감사인과의 회계 처리 이슈로 투자주의환기종목으로 지정된 이후, 회계 관련 시스템을 보강하고 내부 프로세스를 개선해왔다. 또한 젬백스는 지난해 주요 계열사의 실적 호조에 따라 사상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매출액은 657억원, 영업이익 14억원, 순이익 16억원을 기록했다. 젬백스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비대면 경제 수요 증가가 회사의 호실적을 이끌었다. 특히 반도체 산업 관련 설비 투자가 늘어남에 따라 젬백스가 생산하는 반도체 필터 수요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젬백스링크, 젬백스지오, 크리스에프앤씨 등 젬백스의 주요 계열사들이 흑자를 달성했다. 삼성제약은 지난해 2월 발행한 31회차 전환사채 중 약 15억원 규모만을 남겨두고 모두 전환을 마쳐 해당 잔여 전환사채 외 은행권 부채나 차입 2021.03.24
대원제약, 코로나19 치료목적 프로포폴 중남미 수출
대원제약은 코로나19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정맥 마취제 '프리폴MCT주(성분명 프로포폴)'를 유럽에 이어 중남미에도 수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수출은 대원제약이 지난해 룩셈부르크와 스웨덴에 코로나19 치료 목적의 프리폴MCT주를 수출한 데 이어 중남미에서도 관련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성사됐다. 수출 계약을 체결한 국가는 멕시코, 볼리비아, 베네수엘라 3개국이다. 이달부터 멕시코에 초도 물량 약 35만 바이알 공급을 시작으로 상반기까지 각국에 전달될 예정이다. 대원제약은 현재 브라질, 페루 등 다른 남미 국가들로 수출을 확대하는 한편 아시아, 중동, 북미 등 세계 각국으로 영역을 넓혀 나갈 계획이다. 프로포폴은 정맥을 통해 투여되는 전신 마취제로, 수술 전 마취나 호흡 곤란 중증 환자의 진정 효과를 위한 제품이며 국내에서 수면 마취제로 잘 알려져 있다. 대원제약의 프리폴MCT(Middle Chain Triglyceride)주는 기존 프로포폴 LCT(Long Chain 2021.03.24
동아ST, 엄대식 회장·한종현 사장 각자 대표이사 선임
동아에스티(동아ST)는 24일 오전 9시 본사 7층 강당에서 주주·회사 경영진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8기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했다. 이날 정기주주총회에서는 제8기(2020.01.01. ~ 2020.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포함)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 정관 일부 변경, 이사 선임,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 이사 보수한도 승인 총 6건의 안건이 상정되어 모두 원안대로 통과됐다. 제8기 영업보고에서 동아에스티는 2020년 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 매출액 5866억 원, 영업이익 341억 원으로, 전기 대비 각각 4.2%, 40.2%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이후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과 보통주 1주당 1000원의 현금배당 실시가 상정돼 의결됐다. 상법 개정과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전자증권법)의 시행에 따라 상정된 정관 일부 변경 건도 승인됐다. 사내이사로는 동아에스티 엄대식 회장이 재선임됐으며, 한종현 사장이 2021.03.24
대웅제약, 에볼루스와 파트너십 강화·글로벌 시장 판로 확대
대웅제약은 보툴리눔 톡신 미용시장 파트너사 에볼루스(Evolus)와 합의를 통해 양사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24일 발표했다. 대웅제약은 에볼루스를 통한 선진국 톡신 사업의 기반을 강화하고 글로벌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기존에 투자한 전환사채(Convertible Note)를 전량 보통주로 전환하고, 추가로 2550만 달러와 함께 일정 기간 동안 보툴리눔 톡신 제제 주보(Jeuveau, 나보타 미국 제품명)의 미국 내 순판매량에 대해서 일정 비율의 지원금을 제공할 예정이다. 에볼루스는 추가로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톡신 사업의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한 투자를 지속하기로 했다. 양사는 판매 허가를 획득한 유럽 시장에도 신속히 진출하기로 합의했다. 대웅은 "유럽 톡신 시장은 미국 시장에 이어 세계 2위의 규모지만 단 3개 제품만이 발매돼 있다"며 "유럽 시장 진출 시 엘러간 사의 보톡스를 대체할 수 있는 완전히 동일한 분자량의 900kDa 톡신 제품은 대웅제약 제품이 유일해 빠른 시 2021.03.24
한국파스퇴르연구소, 글로벌 바이러스 네트워크(GVN) 우수연구센터 참여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글로벌 바이러스 네트워크(Global Virus Network, GVN)에 신규 우수연구센터(Center of Excellence)로 참여한다고 23일 밝혔다. GVN은 인류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모든 바이러스 분야 최고 전문가들의 연합으로, 전 세계 34개국 62개 우수연구센터 및 11개 제휴기관(Affiliates)이 협력하고 있다. GVN의 우수연구센터는 세계적인 바이러스 전문가가 이끄는 글로벌 연구기관으로, 여러 바이러스 분야 뛰어난 전문성을 기반으로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며 자원이 부족한 국가의 연구역량 강화와 GVN의 바이러스 퇴치 노력에 기여한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지영미 소장은 "국내에서 국제백신연구소(IVI)에 이어 GVN의 우수연구센터로 합류하게 돼 기쁘다. 연구소의 중개연구 기술과 다학제적 노력을 통해 코로나바이러스 등 GVN의 태스크포스(TF)에 참여하고, 교류 프로그램, 교육 협력, 주요 미팅 참석 등을 진행하며, GVN과 함께 신종 감염병 2021.03.24
국내 제약사들도 미래먹거리 '바이오'에 뛰어든다...직접투자와 공동연구, 독점판매권 확보까지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최근 국내 대형제약사들이 바이오의약품을 미래먹거리로 보고 공동 연구, 공동 임상, 기술 도입, 투자 등 적극적인 외부 협력을 추진 중에 있다. 24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바이오의약품 분야의 오픈이노베이션이나 오픈콜라보 형태의 연구개발(R&D) 행보가 이어지고 있다. 유한양행은 지난해 독자적인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HuDVFab) 기술과 SAFA(Serum Albumin Fragment Associated) 기술을 보유한 에이프릴바이오에 전략적 투자자로서 30억원을 투자해 4.89%의 지분을 취득했다. SAFA기술은 재조합 단백질의 반감기를 증대시키고 유용한 재조합 항체 의약품을 제작할 수 있는 항체 절편 활용 플랫폼으로, 다양한 치료제 영역에서 활용 가능하다. 현재 에이프릴바이오는 해당 플랫폼을 통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CD40L 타겟) APB-A1, 염증성 자가면역질환 치료제(IL-18 타겟) APB-R3, 남성불임 치료제(FSH 타겟) APB-R2 2021.03.24
차바이오텍·SCM생명과학, 세포치료제 생산·공급 협력 추진
차바이오텍은 세포치료제 개발기업인 SCM생명과학과 골수유래 세포치료제 완제품 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위탁생산) 계약을 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차바이오텍은 자회사인 차바이오랩 의약품제조시설을 통해 SCM생명과학이 개발 중인 ‘SCM-AGH’, ‘SCM-CGH’ 품목을 생산한다. 이는 현재 2상 임상시험 중인 만성이식편대숙주질환(SCM-CGH), 2a상 임상시험 중인 급성췌장염(SCM-AGH) 등을 대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아 임상 2상 종료 후 조건부 품목허가 유력한 치료제다. SCM생명과학은 자체 상업용 GMP 시설을 확장하기 전 차바이오텍의 시설을 활용해 양사의 시너지 효과를 높이고 국내 기업간의 협력 모델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미국에 있는 코이뮨의 cGMP 생산시설 운영 노하우도 같이 활용할 계획이다. SCM생명과학 이병건 대표는 "자체적 2021.03.23
대웅제약, AI 전문기업 신약 적응증 확대 추진
대웅제약은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 전문기업 온코크로스와 공동연구개발 협약을 맺었다고 23일 밝혔다. 대웅제약은 현재 개발 중인 신약 이나보글리플로진과 DWN12088 등의 적응증을 확대하기 위해 온코크로스가 보유한 유전자 발현 패턴기반의 AI 플랫폼 'RAPTOR AI'를 접목할 계획이다. 이나보글리플로진은 당뇨병 치료제를 목표로 개발 중이지만, 적응증을 비만 등 대사 질환 전반·심장질환·신장질환 등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폐·신장·피부에 나타나는 난치성 섬유증을 적응증으로 하는 PRS 타겟 치료제 DWN12088도 항암제 등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할 예정이다. 대웅제약은 온코크로스의 AI 플랫폼을 활용하면 빠른 시간 안에 최적의 치료제 조합을 발굴할 수 있어 신약개발 과정을 대폭 단축시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온코크로스는 신약 후보물질과 신규 적응증을 찾아내는 AI 플랫폼 기술과 관련 빅데이터를 보유한 기업으로, 미래가치를 인정받아 2015년 설립 이후 재작년과 작년 각각 2021.03.23
제일약품 현금 14% 배당 결정·체계적 신약개발 추진
제일파마홀딩스와 제일약품은 23일 오전 9시 본사 강당에서 제61기, 제4기 정기 주주총회를 순차적으로 열고 각각 현금 14% 배당을 결정했다. 이날 제일약품 성석제 사장은 "코로나19라는 유례없는 신종 바이러스로 전세계에 걸쳐 일상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장기간 경제 침체 국면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특히 코로나 방역에 대응하기 위한 의료현장의 변화는 산업 전반으로 하여금 다양한 도전에 직면하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성 사장은 "감당하기 힘든 어려움으로 가중되고 있지만 지난해 보내준 변함없는 주주들의 지지와 전 임직원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전년대비 3%의 성장률을 이룰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도 준비된 계획에 맞춰 체계적인 신약개발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해 신약개발 전문회사 온코닉테라퓨틱스의 이중표적항암제 JPI-547, 역류성식도염치료제 JP-1366의 글로벌 임상 준비, 대표 신약인 JPI-289 뇌졸중치료제 임상 2A상 코호트(cohort) 3 진행, 당 2021.03.23
부광약품, 공시지연 사유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부광약품은 지난 22일 공시지연 사유로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돼 2점의 벌점을 받았다고 공시했다. 벌점은 위반의 중요성과 동기등을 감안해 부여되며, 2점의 벌점은 전반적으로 경미한 위반이나 과실, 단순 착오 등으로 부과된다. 지연 공시된 내용은 지난 2014년 부광약품이 칼베인터내셔널와 체결한 당뇨병성신경병증 개량신약 덱시드정의 수출 국가에서 나이지리아가 해당국가 인허가 문제로 제외됨에 따라 최소 공급 수량이 변동돼 계약금액이 168억원에서 148억원으로 줄어든 부분이다. 해당 계약건은 2014년 이후 해지의사가 없는한 1년씩 자동연장되며, 판매·공급지역은 필리핀, 베트남, 캄보디아, 미얀마, 스리랑카 등이다. 부광약품은 자동갱신에 따른 계약기간 연장 공시과정에서 2020년도에 해당사항에 대한 변경계약을 인지해 2021년 3월 2일 지연공시했다. 부광약품 측은 "관련 부서의 단순 착오로 일어난 것으로, 부광약품은 1988년 상장 후 이번 건을 제외하고는 단 한 건도 불성실공시를 하지 2021.03.23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