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MS, 2분기 영업이익 28억원 …전년比 10배 이상↑
GC녹십자엠에스(GC녹십자MS)는 연결재무제표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2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배 이상 증가했다고 29일 잠정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28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34.8%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31억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했다. 이는 중단사업(혈액백) 손익이 반영된 수치다. GC녹십자엠에스 측은 "사업 개편과 오픈이노베이션의 통한 선택과 집중 덕분에 진단기기와 혈액투석액 등 전 사업 부문의 고른 성장이 이뤄졌다"면서 "주력 사업인 진단기기 제품 부문이 60% 가량 성장하며 실적 개선을 주도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 6월 수출 계약을 체결한 코로나19 진단키트의 실적이 이번 분기에 일부분 반영됐으며, 하반기부터 본격 반영되면서 실적 개선세는 더욱 두드러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수출용 코로나19 진단키트와 혈액투석액 등을 생산하는 음성2공장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GC녹십자엠에스는 오픈 이노베이션의 일환으로 다양한 바이오 2020.07.29
제이브이엠 2분기 실적 호조.."북미 코로나로 약포장 증가"
한미사이언스 계열사인 의약품 자동조제 전문기업 제이브이엠이 올해 2분기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고 29일 밝혔다. 제이브이엠은 올해 2분기 연결회계 기준으로 매출 280억원과 영업이익 32억원, 순이익 18억원을 달성하고, R&D에는 18억원을 투자했다고 잠정 공시했다. 전년 동기와 대비해 매출은 8.6%, 영업이익은 68.3%, 순이익은 85.6% 각각 증가했다. 코로나19 여파로 국내 매출은 7.7% 감소했지만, 수출이 34.2% 증가하며 전반적인 매출 확대를 달성했다. 이같은 수출 확대는 전년 동기대비 208% 성장한 미국 등 북미 시장의 폭발적 매출 증가가 이끌었다. 북미 시장에서는 처방 조제에 주로 병(바틀) 포장 방식이 사용돼 왔으나, 코로나19 확산 이후 1회 복용 단위로 개별 포장을 해주는 위생적 파우치형 포장 조제시스템(ATDPS) 수요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유럽의 경우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고 병원이 봉쇄되는 등 2020.07.29
경기침체에도 상반기 제약산업 성장세 뚜렷..K-방역품목 수출 27% ↑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여파로 인한 전세계 경기침체에도 국내 보건의료산업이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매출이 증대되면서 연구개발비 등 미래먹거리를 위한 투자도 확대되는 추세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020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일자리·경영성과 등 주요 실적 동향을 발표했다. 이번 2020년 상반기 보건산업의 수출, 일자리, 경영성과 등의 실적은 관세청(수출), 고용정보원DB(일자리),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경영성과)의 최신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한 것이다. 데이터 분석 결과 2020년 상반기까지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전세계 확산에 따른 대외 여건 악화에도 불구하고 국내 보건산업은 ’K-방역‘ 모범국으로 평가받는 등 신성장 수출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2020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액은 총 96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26.7% 증가했다. 분야별로는 의약품 38억 달러(+52.5%), 화장품 2020.07.29
한미약품, 2분기 매출 2434억원…R&D 투자액 증가
한미약품은 2020년 2분기 연결회계 기준으로 2434억원의 매출과 106억원의 영업이익, 58억원의 순이익을 달성했다고 29일 잠정 공시했다. 한미약품의 개별 기준 실적은 2156억원의 매출과 전년대비 7% 성장한 188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으나, 코로나19 영향에 직접 노출된 북경한미약품의 실적 부진으로 전체적인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 54% 하락했다. 실제 한미약품 주력 제품인 아모잘탄패밀리(289억원), 팔팔츄(113억원), 에소메졸(99억원) 등 자체 개발 주요 품목들의 성장이 두드러졌으며, 특히 이상지질혈증 치료 복합신약 ‘로수젯’은 유비스트기준 전년 동기대비 21.6% 성장한 241억원의 처방 매출을 달성했다. 북경한미약품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중국 시장상황 악화로 올해 2분기에 전년대비 52% 역성장한 매출 271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적자 전환했다. 다만 변비약 ‘리똥’과 성인용 정장제 ‘매창안’은 직전 분 2020.07.29
파킨슨병 의료영상진단보조소프트웨어 'mPDia' 혁신의료기기 지정
휴런은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료영상진단보조소프트웨어(SW) 'mPDia'를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받았다고 29일 밝혔다. 현재까지 국내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된 제품은 총 3개다. mPDia는 세계 첫 파킨슨병 진단소프트웨어로 평가받고 있으며, 서울아산병원, 서울성모병원 등 10개 대학병원에서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오는 8월 임상 결과를 도출한 후 이르면 10월에는 3등급 의료기기 허가를 획득할 전망이다. 한편 휴런은 2017년 가천대길병원 신동훈 교수(대표)를 주축으로 신경과, 영상의학과, 의공학과 교수진과 의료기기센터 인공지능 박사 연구진들이 공동 설립한 회사다. 파킨슨병, 뇌졸중, 치매, 뇌종양, 뇌전이암 등 뇌신경질환 의료영상(CT, MRI)을 인공지능(AI)으로 자동분석하고 정량화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휴런 측은 "뇌신경질환은 글로벌 메이저 헬스케어 업체들도 높은 수준의 데이터 확보와 개발에 난항을 겪고 있는 분야"라며 "지난해 하반기 글로벌 헬스케어기업 2020.07.29
GC녹십자, 코로나19 혈장치료제 임상 2상 신청
GC녹십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혈장치료제 ‘GC5131A’의 임상 2상 IND(임상시험계획서)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임상시험의 목적은 약물의 적정 용량을 설정하고, 안전성과 유효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중앙대병원, 고대안산병원, 충남대병원 등 총 5개의 병원에서 시험 대상자 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GC5131A’는 코로나19 회복기 환자의 혈장(혈액의 액체 성분)에서 다양한 유효 면역 항체를 추출해서 만드는 고면역글로불린(Hyperimmune globulin)이다. 고면역글로불린은 오랜 기간 인체에 사용돼 온 제제이기 때문에 개발 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실제로 ‘GC5131A’는 약물 재창출 제품을 제외하면 가장 빠르게 임상 2상으로 진입하는 치료제다. 김진 GC녹십자 의학본부장은 "현재 임상시험용 제제의 생산이 완료된 상태이며, IND가 승인 나는대로 최대한 빠르게 첫 환자 투여를 진행할 예정 2020.07.29
동아에스티, 코로나19에도 ETC 성장으로 상반기 순이익 379억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동아에스티(동아ST)는 올해 2분기 일부 실적이 하락했으나 상반기 누적 실적은 전년 동기대비 성장했다고 29일 잠정 공시했다. 올해 2분기 동아에스티 재무성과에 따르면, 매출액은 111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4% 감소했다. 영업이익도 94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으며, 당기순이익 역시 적자 전환으로 89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이 같은 저조한 2분기 실적은 1분기에 전문의약품(ETC) 제품의 유통 물량이 사전에 공급된 데 이어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해외 수출과 의료기기·진단 등의 매출이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상반기 누적 매출은 상승세를 보였다. 상반기 재무성과에 따르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한 3128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 역시 43.5% 증가한 436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 역시 전년동기 대비 22.7% 증가한 379억원을 기록했다. 동아에스티 측은 "상반기는 ETC부문이 회사의 성장을 2020.07.29
"원격의료 도입하면 일차의료 역량 강화·의료전달체계 재정립 효과"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을 맞아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등 만성질환부터 원격의료를 도입해 일차의료를 개선하자는 제언이 나왔다. 원격의료 도입은 일차의료 강화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의료전달체계를 재정립해 국가 의료비 부담도 축소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반면 대한의사협회는 일차의료기관에서 주로 보는 만성질환은 자각증상이 나타나면 이미 심각한 합병증이 시작된 것인 만큼, 대면진료를 더욱 강화하고 이를 위한 적정진료 여건 조성이 우선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네의원 중심으로 원격의료 추진하고 의료전달체계 재정립하자" 29일 한정애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주최로 열린 지역사회 일차의료 역량강화 방안과 디지털헬스케어 국회 토론회에서 기존 원격의료 추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지역사회 일차의료 강화와 의료전달체계 재정립을 하는 데 디지털헬스케어 등 원격의료를 활용하자는 발제가 이어졌다. 서울대병원 홍윤철 교수는 '디지털헬스케어를 활용한 일차의료 2020.07.29
이대목동병원, KT와 손잡고 우즈베키스탄 HIS 사업 진출
이대목동병원은 배하석 교수(재활의학과) 연구팀이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0년도 ICT기반 의료시스템 해외 진출 시범 사업'의 수행기관 중 하나로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우즈베키스탄 병원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반 병원정보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 이하 HIS) 확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타슈켄트 아동병원, 서글럼(Soglom) 응급의료병원 등 현지 병원 3곳에 HIS를 도입하는 이번 사업에서 이대목동병원은 HIS 개발 자문, 임상 자문 등 총괄하고 KT는 클라우드 및 네트워크 기술 자문 및 구축을 담당한다. HIS가 도입되면 환자 진단 시간 및 진료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런데 우즈베키스탄은 환자 데이터 수집이 의무화되지 않아 사실상 'HIS 불모지'라고 볼 수 있다. 이번 사업의 핵심은 하드디스크가 아닌 온라인망으로 정보를 제공받는 '클라우드(Cloud)'를 도입했다는 점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2020.07.29
JW크레아젠, 수지상세포 자가면역질환치료제 제조 기술 중국 특허
JW신약의 자회사 JW크레아젠은 준성숙 수지상세포(semi-mature dendritic cell)를 활용한 바이오신약 개발 기술에 대해 중국 특허청(SIPO)에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29일 밝혔다. 해당 특허는 미성숙 수지상세포(immature dendritic cell)에 자가 항원과 활성화 물질을 처리해 준성숙 수지상세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류마티스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와 백신(예방용 치료제) 개발에 관한 기술이다. 수지상세포는 성숙화 단계에 따라 면역세포를 활성화하거나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성숙 수지상세포(mature dendritic cell)는 환자의 약해진 면역체계를 강화시키고 T세포에게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지시하는 기능이 있어 항암 백신 개발에 사용된다. 준성숙 수지상세포는 면역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어 과도한 면역반응을 조절하고 자가 조직을 공격하는 면역세포를 억제시켜 면역질환치료에 활용될 수 있다. 2020.07.29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