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터진 발암물질 사태, 중외·한올·대웅 순으로 매출 상위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당뇨병치료제인 메트포르민 완제의약품 중 31품목에서 발암물질인 NDMA(N-니트로소디메틸아민)가 잠정 관리기준을 초과(0.041~0.795 ppm)해 검출돼 잠정 제조·판매가 중지됐다. 이에 따라 메트포르민 완제약으로 높은 실적을 기록했던 JW중외제약, 한올바이오파마, 대웅바이오 등이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27일 아이큐비아 올해 1분기 자료를 토대로 이번에 잠정 제조·판매가 중단된 메트포르민 완제약을 분석한 결과, 올해 2분기 적게는 수백만원에서 많게는 수십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전망이다. 메트포르민은 식이 및 운동요법을 통해 혈당 조절이 충분히 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 환자, 특히 과체중인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당뇨병 치료제다. JW중외제약 가드메트정 100/500·100/850·100/1000mg은 올해 1분기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17.2% 증가해 19억 9872만원의 실적을 올렸다. 한올바이오파마 글루코다운오알서방정50 2020.05.27
당뇨병·내분비학회 "일부 메트포르민 발암물질 검출, 보험기준 개선 필요"
대한당뇨병학회와 대한내분비학회는 26일 기준치 이상의 발암물질 NDMA(N-니트로소디메틸아민)가 검출된 메트포르민 의약품 31종의 제조·판매 중단 조치에 대해 입장문을 발표했다. 앞서 26일 오전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메트포르민 288품목 중 31개 품목에서 잠정관리기준을 초과하는 NDMA(1일 최대허용량인 96나노그램)가 검출됐다고 밝히고, 바로 해당 약품의 제조와 판매를 중지했다. 메트포르민은 혈당강하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점이 있어 제2형 당뇨병의 1차 치료제로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 의약품이다. 당뇨병학회는 "지난해 12월 싱가포르 보건과학청의 발표 이후, 국내에서 사용 중인 메트포르민 원료의약품과 완제품의 NDMA 검출 여부를 전수 조사해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면서 "이를 통해 전수 검사가 이뤄지고, 식약처와 정부가 빠르게 처방 중단을 조치했다"고 사의를 표했다. 이어 "NDMA 검출량이 기준을 초과한 31개 제품은 더 이상 처방하지 않아야 2020.05.26
동아ST, 웹 심포지엄으로 슈가논 에버그린스터디 결과 소개
동아에스티(동아ST)는 26일 웹심포지엄을 통해 지난 4월 SCI급 국제학술지 DOM(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에 게재된 당뇨병 치료제 슈가논의 에버그린 스터디(EVERGREEN study) 결과를 소개했다. 이번 웹 심포지엄은 논문의 저자인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임수 교수가 연자로 나서 '혈당지수 범위의 새 패러다임(New Paradigm of Glycemic Variability : EVERGREEN study)'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으며, 전국 1937명이 참석했다. 임 교수는 에버그린 스터디 이전에 진행된 슈가논의 개발 과정과 함께 국내와 인도에서 진행된 3상 임상 연구 결과를 비롯, 에버그린 스터디 결과와 슈가논의 임상 파이프라인에 대해 소개했다. 강연 후에는 질의응답이 실시간으로 이어졌다. 에버그린 스터디는 생활 습관 조절만으로는 혈당이 잘 조절되지 않는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슈가논(성분명 에보글립틴)과 리나글립틴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2020.05.26
대웅제약, 온라인으로 비대면 봉사활동 지속 전개
대웅제약은 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온라인으로 대표 사회공헌 프로그램인 ‘참지마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해당 프로젝트 일환으로 시행하는 발달장애인과 함께하는 임직원 멘토링 봉사활동을 기존 대면 멘토링 방식에서 온라인 라이브 방식으로 변경한 것이다. 화상채팅을 통해 멘토인 임직원이 멘티인 발달장애인과의 AAC 카드(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Card, 보완대체 의사소통 카드) 내용을 감수했다. ACC 카드는 추후 발달장애인이 몸이 아플 때, 보호자는 물론 의사 또는 약사와 직접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의사소통 보완 수단으로 제작될 예정이다. 전승호 대웅제약 사장은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봉사활동에는 어려움이 있어 이번 임직원 봉사활동을 온라인 방식으로 전환해 진행했다"면서 "앞으로 참지마요 프로젝트를 통해 발달장애인이 주요 질환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과 소통에 대한 표현력을 갖출 수 있기를 기대 2020.05.26
일동제약, 피임약 신제품 다온·바라온 출시
일동제약은 사용 편의성과 복용 안전성을 고려한 사전경구피임약 다온과 바라온을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다온과 바라온은 모두 에스트로겐 함량(에티닐에스트라디올 0.02mg)을 국내 최저 수준으로 낮췄다. 다온은 피임뿐 아니라 이 약을 복용하는 여성의 중등도 여드름 치료에 효능·효과를 갖고 있으며, 바라온은 생리주기 변경과 연장과 관련한 별도의 용법용량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두 제품은 경구용 사전 피임약으로는 국내 최초로 PTP 포장에 이지-컷(Easy-Cut) 절단선을 적용, 1주일 복용 단위로 나눌 수 있도록 했다. 다온은 ‘좋은 일들이 다 오는’, 바라온은 ‘바라던 모든 일들이 오는’이라는 의미로 지은 브랜드명이다. 일동제약의 안정혁 OTC CM(category manager)팀장은 "피임약은 여성들이 자신을 위해 더 신중하게 고민하고 결정하는 약 중 하나"라며 "‘바라는 모든 좋은 일들이 다 오길’ 함께 희망하고 응원하는 마음을 제품 이름에 담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 2020.05.26
약사회, 원격의료 도입 반대.."국가 기본 의료시스템 붕괴"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임시 도입한 비대면진료에 대해 긍정적 여론이 일면서, 정부가 수십년째 막혀 있던 원격의료제도를 본격 도입하기 위한 준비에 나서고 있다. 대한약사회는 26일 입장문을 통해 이 같은 정부의 원격의료제도 도입 추진을 반대하고, 감염병 예방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감염병 예방 관리 기반 구축을 촉구했다. 앞서 지난 2월 보건복지부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환자들이 병원 방문을 꺼려하자, 임시로 전화를 통한 환자 상담과 처방을 허용했다. 3개월간 원활한 추진이 이어지면서 정부는 '비대면 진료'라는 이름으로 오랜 기간 시민단체와 보건의료인이 반대해 온 원격의료제도 도입 의지를 밝히고 있는 실정이다. 약사회는 "국가 재난을 볼모로 잡고 '한국형 뉴딜'이라는 이름 하에 원격의료를 추진하려고 한다"면서 "비대면이라는 이름으로 보건의료 시스템의 근간을 흔들 원격진료를 주장하는 것은 논리의 비약"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재난을 핑계로 자본의 논리가 하고 싶은 일 2020.05.26
K-바이오·K-방역 활기에 진단키트·바이오시밀러 일자리 증가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가 고용시장 전반에 큰 타격을 입혔으나, K-방역의 우수성을 알린 진단키트분야와 생물학적제제(바이오시밀러) 제조업, 의료서비스 분야 종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2020년 1/4분기 보건산업 총 종사자 수는 92만 5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만 3000명(+4.9%) 증가했다. 분야별로는 의료서비스가 76만 2000명(+5.2%)으로 가장 많았으며, 의약품 7만 3000명(+4.4%), 의료기기 5만2000명(+4.3%), 화장품 3만 7000명(+2.2%)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의료서비스는 3만 7000명이 증가했고, 의약품은 3100명, 의료기기는 2200명, 화장품은 800명이 증가했다.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으로 전반적인 제조업 분야에서 종사자 수는 감소(△0.8%)됐지만, 보건산업 종사자 수는 보건제조산업(+3.9%)과 의료서비스산업(+5.2%)에서 고르게 증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 2020.05.26
반지모양 웨어러블 심장모니터링기기 '카트', 식약처 의료기기 허가 획득
스카이랩스는 반지형 심장 모니터링 기기 카트(CART, Cardio Tracker)가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의료기기 허가를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의료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카트는 기존의 심전도 측정 기능 외에 광학센서를 사용해 심방세동 환자의 불규칙한 맥박을 측정하는 기기다. 손가락에 착용하고 있기만 해도 불규칙한 맥박을 자동으로 연속 측정할 수 있으며, 기존의 임상 연구 결과에서 심방세동 탐지 정확도는 99%에 달한다. 또한 4.6g으로 가볍고 생활 방수 기능이 있으며, 1회 충전으로 48시간 이상 사용할 수 있어 일상 생활에서도 이용 가능하다. 카트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 데이터는 스마트폰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에 축적된 데이터는 영구적으로 보관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기간 동안의 기록을 추적해 분석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병원에서 환자의 내원 안내를 위한 목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해당 기기는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와 2년 이상의 임상연구 2020.05.26
고혈압 치료제 국산 개량신약 1분기 매출 증가세 이어져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코로나19 여파에도 국산 개량신약이 굳건히 매출 성장세를 이어갔다. 26일 본지가 국산 개량신약 중 아모잘탄, 카나브, 트루셋 등 혈압강하제의 올해 1분기 아이큐비아 처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우선 국산 개량신약 1호인 한미약품의 아모잘탄은 고혈압 치료제는 물론 아모잘탄 패밀리(아모잘탄, 아모잘탄플러스, 아모잘탄큐) 중에서도 가장 많이 처방됐다. 아모잘탄은 암로디핀캄실산염, 로사르탄칼륨 복합제제로, △암로디핀 또는 로자탄 단독요법으로 혈압이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는 본태성 고혈압과 △제2기 고혈압 환자에서 치료 목표 혈압에 도달하기 위해 복합제 투여가 필요한 환자 등에 사용 가능하다. 아모잘탄은 지난해 1분기 115억 2502원에서 올해 1분기 122억 975만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5.94% 증가했다. 올해 1분기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의료기관 이용량이 줄어들었으나, 고혈압 등 만성질환의 경우 지속적인 관리를 2020.05.26
뇌전증신약 개발한 SK바이오팜, KNDA 신약개발부문 대상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은 오는 28일 오후 2시 30분 삼정호텔 제라늄홀에서 제21회 대한민국신약개발상 시상식을 개최한다. 이날 신약개발부문 대상을 수상하는 기업은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XCOPRI®)를 개발한 SK바이오팜이다. SK바이오팜은 신약 후보물질 발굴부터 글로벌 임상개발, 허가 등 세노바메이트 개발 전 과정을 독자적으로 진행했다. 세노바메이트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혁신신약으로 승인받아 최근 미국 시장에 출시됐으며, 임상시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발작빈도 감소율, 완전발작 소실률을 기록해 난치성 뇌전증 치료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2월에는 유럽 32개국 판권을 대상으로 유럽 제약사인 아벨 테라퓨틱스와 총 5억 3000만 달러(약 6000억원)의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한편 대한민국신약개발상은 국내 전 산업분야에 걸쳐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후원해 올해 21회를 맞는 신약개발분야 상이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 국내 제약·바 2020.05.25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