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소문 통해 정부 '불통' 태도 비판…"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재고 하고 현장 전문가∙미래 의료인 목소리 경청해야"
연세대 의대생 6인은 호소문을 통해 정부에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를 재고하고 의대생들과 진심으로 소통에 나서줄 것을 촉구했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연세의대 학생들이 복귀 학생은 알려진 것과 달리 소수에 그친다고 밝혔다. 정부를 향해서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를 재고하고 의대생들과 진심으로 소통에 나서줄 것을 촉구했다.
연세의대 학생 6인은 25일 발표한 호소문에서 “언론에선 연세대 의대생 50% 이상이 복귀한 것으로 보도되고 있지만, 실제 복귀한 학생은 소수”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정부와 학교는 학칙에 없는 ‘등록 후 휴학’만을 선택하도록 강요했고, 미등록 휴학자들에겐 제적 협박을 이어 나가고 있다”며 “더 나아가 정부와 학교의 강요를 이기지 못해 등록 후 휴학한 일부 학생들은 복귀자로 잘못 알려졌다. 그러나 대다수의 학생은 절박한 심정으로 현재 상황을 바라보며 휴학을 이어 나가고 있다”고 했다.
이들은 또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를 재고해달라”며 “정부의 정책은 효용성보다는 정치 논리를 우선해 결정됐다. 의료 정책의 미래를 결정할 중요한 정책을 입안하는 과정에서 현업에 있는 전문가와 미래 의료인의 의견을 듣지 않는 정부의 태도로는 의료의 미래가 어둡다고 느낀다”고 했다.
이어 “계속되는 정부 발언도 필수과를 희망하는 우리들에겐 너무나 가혹했다. 어렵더라도 선택하고 싶었던 전공들이 정부 발언으로 기피 대상이 된 현실이 참담하다”며 “그렇게 우리의 꿈은 이제 사명감과 자부심만 갖고 선택하기엔 어려운 길이 됐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휴학 투쟁에 대한 세간의 부정적 시선에 대해 “알고 있다”면서도 “정부는 의협 등 기성 의사단체에 대한 불신을 이유로 젊은 의사들과 의대생들을 정책 결정 과정에서 배제하고 있다. 휴학하는 것 이외에 정책 결정에 목소리를 낼 수 없는 현실이 우리도 너무 안타깝다”고 했다.
이어 “그동안 의대생협회는 정부에 10차례 이상 입장문을 내며 정부에 소통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정부는 단 한 번도 의대생의 목소리를 듣지 않았다”며 “오히려 학생에게 돌아온 건 대화가 아닌 제적 협박과 사유를 읽지도 않고 휴학계를 반려하는 대학의 부당한 처분이었다”고 했다.
이들은 “우린 어떤 상황에서도 우리 요구의 무조건적 수용을 위해 휴학하고 있지 않다. 다만 우리와 현장 전문가의 의견이 정책 결정에 합리적으로 반영되길 바라는 것”이라며 “우리를 단순한 정책의 대상이 아니라 같이 협의할 주체로 존중해달라. 정부는 의대협과 진심으로 소통해달라”고 했다.
이어 “누구보다 사태 해결을 바라는 사람은 다람 아닌 의대생”이라며 “앞으로 의대생이 내는 목소리가 외부에 더 잘 닿기를 소망한다. 의대생의 목소리에 부디 많은 분들이 귀를 기울여달라”고 호소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