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응급의학회 김수진 수련이사.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보건복지부가 전공의 수련교육을 하지 않겠다는 지방 소재 병원들에도 강제로 전공의를 배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의료인력이 부족하다는 이유인데, 정작 배출될 전문의 질은 뒷전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서울 서대문구 스위스그랜드호텔에서 열린 대한응급의학회 학술대회에서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수도권∙비수도권 전공의 정원 5대5 배분에 대한 비판이 제기됐다.
김수진 수련이사(고대안암병원 응급의학과)는 “전공의 정원 배정에 자율권에 크게 침해받고 있다”며 “모든 학회가 마찬가지 상황이지만, 특히 의정사태 이후로 심해졌다”고 했다.
이어 “응급의학과는 공공의료와도 많이 엮여 있다 보니 정원 배정 시에 복지부가 수련을 시키지 않겠다는 의료취약지 소재 병원에도 정원을 배정하는 등 말이 안 되는 상황들이 벌어지고 있다”며 “전공의 교육에 대한 의지가 없는 곳들이 정원 배정을 ’당하는’ 일들이 생기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김 이사는 “올해 모든 과가 레지던트 1년차 정원이 30% 감축되기도 했고, 5대5 배분 문제도 있어서 전공의 교육을 잘하고 있는 병원이더라도 수도권 병원의 정원은 감축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복지부는 전공의를 인력으로 보고 양적으로 배분하려는 경향이 있다”며 “전문학회들이 계속 이의를 제기하고 있지만 복지부 입장은 강경하다. 정권이 바뀌었지만 5대5 기조를 철회하겠단 분위기는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이날 학회에선 내년 2월 예정인 전문의 시험에서 전공의들의 응시 조건 충족 여부가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김 이사는 “곧 전문의 시험 접수가 시작될 텐데 논문, 크레딧(교육평점) 등 응시 조건을 채우지 못하는 사람들이 다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