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교육 '파행'은 현재 진행형"…의대생이 전한 현장 상황
이중 진도∙더블링∙본4 일정 불투명 등…학생 의견 반영할 '상설 협의체' 필수
공보의 급감→지역·필수의료 공백 심화…'복무 기간' 단축 시급한 과제
정책 정책 의정 갈등·차출 논란·긴 복무 기간 등 공보의 공백 키웠다…배치적정성위원회, 지역 정착 프로그램 도입 등 제안
민간선 세 달만에 버는데 공공병원 전문의 1년 수익 '10억원'…배장환 전 센터장 "착한 적자 포장 언제까지"
정책 정책 진료 역량 낮고 수익 못내는 지방의료원들, 진료기관인지 보건행정기관인지 헷갈릴 수준
김민수 전 대전협 비대위원 "의정 갈등서 개원가·교수 역할 아쉬워"
정책 정책 전 의협 정책이사 "'각자도생' 상황이지만 의료계 산적한 문제 해결 위해 치열한 고민해야"
의약 4단체, 불법 의료기관 개설 막는다… 전현희 의원과 입법 시동
정책 의료법 13일 국회서 '사무장병원·면대약국 근절' 법안 발의 기자회견 …“불법 의료기관 개설 차단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외과의사지만 '수술' 자신 없습니다"…교수에게 배우고 싶다는 전공의들
의학 학회 젊은 외과의사들, 학회서 수련교육 현실 토로… "기간보다 체계가 문제" 한목소리
외과학회, 전공의 '4년제' 회귀 찬성 91%
의학 학회 수련기간 연장 운 띄워…설문조사 결과 "3년제로 수련 질적 저하" 지적 많아
제약바이오 (1/2)
국내외 제약.바이오 뉴스를 심층적이고 발 빠르게 전달해드립니다.
전체보기
이상지질혈증·고혈압 3제 복합제 리바로하이 "혈당 영향없이 안전하게 혈압 관리"
가천대 길병원 장영우 교수 "대사적인 부분에서 특장점이 확실한 복합제…환자 관리에 도움될 것"
특수관계인 통한 '간납사' 문제 근절…약사법·의료기기법 개정안 발의
민주당 김남희 의원 등 13인, 특수관계 거래 제한하고, 정기적인 유통 실태조사 법적 근거 마련
젬백스,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글로벌 2상 결과보고서 수령
안전성(1차 평가지표) 검증 완료, QoL-AD(2차 평가지표) 통계적 유의성 확보
부평세림병원 양문술 원장, "하이카디 도입 후 환자와 의료진 간 신뢰도 높아져"
[하이카디 KOL 인터뷰]③ "환자의 심전도를 24시간 의료진이 확인하고 있다는 얘기만으로도 환자가 안심"
개원의가 많이 본 기사
한국 GSK, ‘누칼라 오토인젝터주’ 국내 출시 기념 사내 행사 N.E.X.T 진행
한국 GSK, SEA, EGPA, HES 환자의 치료 옵션 확대와 편의성 강화를 위한 노력 결실
의대 교수가 많이 본 기사
리가켐바이오, FDA로부터 LNCB74 미국 임상 1상 고용량 코호트 추가 승인
고용량 진행 승인은 리가켐바이오 ADC 플랫폼의 우수한 안정성을 입증하는 사례
단신
병원·기업·의료계 단체들의 다양한 활동과 실시간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삼성서울병원, 개원 31주년 맞아
에이티센스, '에이티모니터링' 보험 수가 획득…국내 시장 공략 본격화
원격심박감시(EX871) 보험 수가 획득…2026년까지 2만 5000병상 설치 목표
한미약품, KSC 2025서 '아모프렐·로수젯' 저용량 병용요법 임상적 유효성 근거 발표
고혈압·이상지질혈증 치료 새 패러다임 제시
씨젠, 3분기 매출 1135억원, 영업이익 96억원 기록
한미약품, AI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한다…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
서울대병원-네이버, AI로 생물학적 나이와 건강 위험 예측한다
삼성전자, CES 2026서 '최고 혁신상' 3개·'혁신상' 24개 수상
갤럭시 워치8, 스마트워치 최초로 '항산화 지수' 기능 탑재해 건강한 습관 현성 유도
중국 항서제약, 아스트라제네카 제쳤다…세계 최대 임상시험 의뢰기업 등극
중국에서 시작된 임상시험, 미국보다 2배 가까이 많아…10위권에 중국 기업 3곳 포함
로킷헬스케어, 매출 173% 급증…상장 후 2분기 연속 영업 흑자
경보제약, 산업부 'AI 기반 의약품제조 자율랩 기술개발사업' 지원과제 선정
씨어스테크놀로지, 부정맥 다단계 예측 AI 특허 등록
큐로셀, LIMS–ERP 통합으로 CAR-T 상업화 '속도·품질' 모두 잡는다
CAR-T 주문 접수부터 출하 승인까지 전 과정 디지털화
토큐
메디게이트뉴스를 포함해 여러 매체에서 화제가 된 내용을 한 눈에 보여드립니다.
의대증원 놓고 의∙정 갈등 최고조
정부가 발표한 의대증원,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의료계 반발이 거세다. 전공의들이 사직하고, 의대생들이 휴학하는 가운데 정부가 강경 대응 기조를 이어가면서 의∙정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박민식 2024.02.21
의대증원 의∙정 강대 강 대치 장기화
정부가 2025학년도부터 의대 정원을 2000명 증원하겠다고 밝힌 뒤로 전공의와 의대생을 필두로 정부에 강력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한 달이 넘도록 이어지는 의료계의 반발에도 연일 강도를 높여가며 의료계를 압박하고 있다. 조운 2024.03.19
이재명 서울대병원 전원 논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최초 이송된 부산대병원이 아닌 서울대병원으로 이송·수술을 받아 논란이 일었다. 특히 최근 공공의대법, 지역의사제 통과에 힘썼던 민주당의 대표인 만큼 그의 이송 소식은 의료계의 공분을 샀다. 이지원 2024.01.12
전체 뉴스 순위
의사를 위한 맞춤 기사
제약 중심 맞춤 기사
의료 중심 맞춤 기사
칼럼/MG툰
대한의사협회의 ‘소통 장애’ 극복 방안
[디지티의 미국의사일기] 전공의의 시간은 빠르...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