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22일 의대교육 정상화를 위한 의과대학 학생 간담회. 사진=교육부
[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교육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동결했음에도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율이 답보 상태에 있다고 인정한 가운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에 의대생 유급 처분이 확정되는 30일 전에 만날 것을 공식 제안했다.
28일 교육부 김홍순 의대교육지원관이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에서 의대협에 간담회를 제안했으며, 의대협도 '오늘 중으로 답변을 주겠다'고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김 지원관은 오는 총 32개 의대 본과 4학년의 유급시한이 만료되는 30일 전까지 의대협과 만나 대량 유급 사태를 막고 교육 정상화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는 교육부의 뜻을 설명했다.
그는 "유급 확정 전에 만나는 게 가장 좋은 타이밍이라고 생각해 30일 이전으로 요청했다"면서 "의대협이 응한다면 오늘이나 내일이라도 당장 대화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의대협이 5월 초를 제안한다면 유급 처분 직후가 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학사 유연화 가능성 등) 오해 소지를 줄 수 있어 어렵다"고 전했다.
김 지원관은 "교육부와 의대 학장들은 기존 원칙대로 "학칙대로 하겠다"는 게 명확하다"며 "학사 유연화가 또다시 거론될 확률은 하나도 없다. 0%"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교육부가 의대협과 만나게 되면 수업 결손 보완책과 24·25학번 분리교육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김 지원관 "현재로선 의대생 수업 참여율이 크게 오르지 않으면서 답보 상태에 있는 것이 맞다"며 "지금의 복귀율로는 24·25학번 분리교육은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24·25·26학번이 내년 1학년에 모두 겹칠 경우, 대부분의 대학이 26학번에 수강신청 우선권을 주는 내용의 학칙 개정을 할 것"이라며 "(미복귀에 따른) 가장 큰 피해는 24·25학번이 지게 된다"며 30일까지 복귀해 줄 것을 재차 요청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