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19.10.08 06:22최종 업데이트 19.10.08 14:22

제보

"늘어나는 의료폐기물 갈 곳이 없어"

국회입법조사처, 의료폐기물 배출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처리시설은 제자리 걸음

자료=국회입법조사처

의료폐기물이 날로 늘어나는데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소각시설은 부족하다는 지적이 국회에서 제기됐다. 

국회입법조사처는 8일 '의료폐기물 관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다룬 '지표로 보는 이슈' 보고서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의료폐기물은 2008년 약 9만1000톤 배출됐으나 2017년까지 약 10년 동안 2.5배 증가해 약 21만9000 톤이 배출되고 있다. 의료폐기물은 격리의료폐기물, 위해의료폐기물, 일반의료폐기물로 분류되는데 이중 감염성이 낮은 일반의료폐기물이 전체의 73%를 차지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의료폐기물 소각시설은 전국에 14개소가 존재하며 지역별로 편중되게 배치돼 있다. 전염성의 우려가 있는 의료폐기물의 상당량이 해당 지역에서 처리되지 못하고 있다.

경기지역에 3개(6.2 톤/hr), 경북지역에 3개(8.2 톤/hr), 충남지역에 2개(2.9 톤/hr), 경남, 부산, 전남, 울산, 충북지역에 각각 1개가 있다.

전체 의료폐기물 발생량의 47%인 10만 톤이 한강청 관할 권역에서 발생되고 있으나 이 권역에서 처리될 수 있는 소각시설 용량은 약 5만 4000톤에 불과하다.

보고서는 "현재 의료폐기물의 처리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면 전체 의료폐기물 47%가 한강청 관할 권역에서 발생되고 있다. 의료폐기물 배출량의 74.3%가 전염성이 낮은 일반의료폐기물임에도 발생지에서 처리되지 못하고 200 km 이상 이동해 처리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밝혔다.

개선방안으로는 의료폐기물 처리용량 확충을 위한 방안과 발생지에서 감염성을 비활성화 시키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됐다.

보고서는 "전염성이 현저한 의료폐기물의 경우 가급적 장거리 이동 없이 병원 내에서 자체적으로 멸균시설 등을 통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중장기적으로 환경부는 의료폐기물 소각장의 처리용량 확대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보고서에서는 매년 증가하는 의료폐기물의 적절한 처리와 발생지 처리 원칙에 대한 실효성과 신뢰도 제고를 위한 정부 대응도 요구했다.

임솔 기자 (sim@medigatenews.com)의료계 주요 이슈 제보/문의는 카톡 solplusyou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