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사진=교육부
[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교육부가 의과대학 본과 3·4학년을 중심으로 수업 복귀가 이뤄지고 있다며 저학년도 이에 따라올 것이라고 예상을 밝혔다.
특히 교육부는 윤석열 대통령 파면과 상관없이 기존에 정한 방침대로 의대생들의 정상적인 수업 참여 수준을 판단해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결정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7일 교육부 김홍순 의대교육지원관이 정부세종청사 백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지원관은 "지난주까지 학생들이 대부분 복학했지만 진짜 복귀는 수업에 참여하는 것"이라며, "본과 3·4학년생을 중심으로 수업에 많이 돌아온 건 확실하다"고 말했다.
본과 3·4학년은 병원 실습 위주로 수업이 이뤄지고, 한국의학교육평가원 기준에 따라 의사 국가시험을 치루기 위해서는 주당 36시간, 총 52주 간 병원 임상 실습을 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어 수업을 계속해서 거부하기 힘들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는 "현재 본과 3, 4학년 학생들이 돌아오고 있기 때문에, 아래 학년 학생들도 따라올 것으로 보고 있다"고도 전했다.
특히 교육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으로 의대정원 증원 정책이 중단되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료계의 주장에 대해 선을 그었다.
김 지원관은 "대통령 파면은 2026년 의대 모집인원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는데 상관없다. 모집인원은 국민들한테 약속드린대로 결정할 것"이라며 기존에 정한 의대생 전원 복귀 시 2026학년도 의대정원 3058명 동결 입장을 유지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원 복귀 기준은 100%가 아니라 학교 행정에서 정상적인 수업이 가능한 수준"이라며 "극단적으로 오늘 통계가 나오고 정상 수업이 됐다고 판단할 수 있다면 모집인원을 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교육부는 2026학년도 입시 일정 상 각 대학이 4월 30일까지 대학에서 모집인원을 입력해야 하는 만큼 최대한 빨리 의대 모집정원을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이르면 이번주, 늦어도 다음주에는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확정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한편 김 지원관은 "미복귀자 제적은 2명으로 끝났다"며 "모든 학교에서 원칙대로 유급한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는데 유급을 처리하는 절차는 학교마다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늘부터 유급예정 통지서가 나가는 곳들이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