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0.05.27 23:46최종 업데이트 20.05.28 05:24

제보

“코로나19 대응 현장 간호사 10명 중 7명 자가격리 못해”

간호협회 ‘코로나19 근무실태’ 조사...“제2의 코로나 대응체계 시급”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윤영채 기자] 코로나19 대응에 참여한 다수의 간호사들이 간호사 열악한 근무 환경을 경험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간호협회는 27일 ‘코로나19 대응 현장의 간호사 근무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제2의 코로나 사태 등에 대비하고 정부 차원의 진일보한 대응체계를 마련해 의료진의 안전과 보다 효율적인 진료지원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참고하고자 진행됐다.

조사대상은 감염병 전담병원,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 지정병원, 중증응급진료센터 지정병원 등 코로나19 확진자가 입원한 의료기관, 선별진료소 등의 원 소속 간호사와 파견 간 간호사 960명을 대상으로 4월 24일부터 5월 7일까지 인터넷 설문조사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간호사의 절반 이상(55.7%)이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인식하면서도 2일 이상 출근을 했고 이 중 27.3%는 거의 매일 몸에 이상을 느끼면서도 정상근무를 해야만 했다고 답했다. 이 같은 응답은 대구․경북지역에서 근무한 간호사가 그 외 지역 대비 1.9배, 원내소속 간호사가 파견 간호사 대비 3.2배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교대형태는 3교대(72.1%)가 가장 많았고 하루 평균 1시간 넘게 초과근로를 한 경우도 16.8%에 달했다. 한편, 적정보상 등에 관해 원내소속 간호사의 93.8%가 특별수당을 받지 못했다고 답해 파견간호사와의 형평성 차원의 문제가 지적되기도 했다.

이 같은 악조건 속에서 간호사 4명 중 3명(76.5%)은 감염에 대한 두려움을 많이 느꼈다고 답했고 과도한 업무로 인한 피로누적(52.6%), 장시간 근무에 따른 집중력 저하(31.7%) 등을 감염위험의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근무 종료 후 자가격리 기간 동안 확진된 간호사가 있는 만큼, 안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근무 종료 후 자가격리도 하지 못했다고 답한 간호사도 10명 중 7명(70.3%)에 달했다. 파견 간호사(23.2%)에 비해 원내소속 간호사(77.5%)가 자가격리를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무엇보다 레벨D방호복을 입고 근무하는 것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고 방호복을 착용한 근무시간은 평균 2시간이 47.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간호사 4명 중 1명은 4시간 이상 환복이나 탈의 없이 근무(24.3%)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방호복 탈의 후 휴식시간도 10명 중 4명이 1시간 이하(40.4%)에 불과하다고 답했는데 휴식시간에도 의사 처방을 받거나 간호기록 등으로 사실 상 업무의 연장선이었다. 간협은 “이러한 현장의 상황은 보건복지부 파견 지침 상 ‘1일 8시간 근무 시 2~3시간마다 30분 휴식’하도록 한 것과는 상당한 괴리가 있었다”고 밝혔다.

별도의 규칙적인 식사시간 없이 짬을 내 도시락이나 간편식으로 때우는 등은 평소 간호업무 환경과 다르지 않은 체계로 돌아가다 보니 극도의 체력 소진으로 인한 고충을 토로했다.

간호협회는 “간호인력 부족은 정확한 환자상태 파악을 어렵게 해 낙상 등 안전사고 위험을 높인다”면서 “과중한 업무부담으로 인한 피로누적은 면역력과 집중력 저하로 인한 감염은 환자 감염과는 또다른 의료체계의 붕괴 등 심각한 위험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보상방식 관련 선호도에서는 금전 형태의 수당(47.5%) 외에 연차부여, 충분한 휴식(41.5%), 심리상담 지원(8.6%) 등으로 나타나 금전적 보상 이외에도 적정한 배려와 관심이 필요하다는 답변도 다수였다.

특히 설문 응답자의 65.3%는 보호구 등 물품 부족을 경험했으며 더 나아가 보호구를 재사용했다는 답변도 19%나 있는 것으로 파악돼 의료진의 안전과 보호를 위한 관련 물품의 확보와 적정공급이 중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사전교육은 파견 간호사들은 대부분(92.0%) 일정수준의 교육을 받았으나 원내 간호사의 22.5%는 별도 교육 없이 현장에 투입됐다고 답해 대조를 이뤘다. 교육내용도 방호복 탈착방법(31.6%) 외에 교육내용의 보완과 시간확보 및 매뉴얼 표준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휴게 공간관련 질문에 36.0%가 별도의 휴식공간이 없었다고 답했고 가족 감염위험 등으로 자택 외에 기숙사(15.5%), 숙박업소(12.1%), 원내(7.6%) 등에서 기거하면서 숙박비용을 자부담(23.2%)한 사례도 다수 확인됐다.

간호협회는 “코로나19 사태에 정부를 비롯한 자원봉사 의료진을 포함해 제대로 된 매뉴얼도 없이 개인의 헌신과 희생으로 위기의 순간을 잘 넘기긴 했지만 보다 안전하고도 상시대응 가능한 체계를 갖춰야 한다”며 “의료진의 사기와 컨디션은 환자 진료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충분한 휴식과 일정기간 교대근무가 체계적으로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방역체계 중심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간호사들을 자원봉사자로 충당하는 임시적이고도 불안정한 체계를 활용하는 행태가 더 이상 반복되지 않도록 적정 간호인력 확충이 시급한 과제”라며 “방역체계의 운영을 개별 병원단위로 맡기기보다는 광역단위 등 별도의 컨트롤타워를 가동하면서 물품과 인력의 수급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소통하는 체계구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대한간호협회 # 코로나19

윤영채 기자 (ycyoon@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