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협, 28일 환자단체와 간담회…"이런 사태 다시 있어선 안 되지만 억압적 방식 안 돼"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안기종 대표와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한성존 비상대책위원장이 28일 열린 간담회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가 1년 5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의정 갈등에 대해 대해 처음으로 국민들에게 사과했다.
대전협 한성존 비상대책위원장은 28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사무실에서 열린 환자단체화의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1년 5개월 이상 길어진 의정 갈등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불안하셨을 국민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 사태가 장기화한 것과 관련해 의료계도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아울러 의료계를 대표하고 이끄는 위치에 있었던 일부 의사들의 부적절한 언행으로 국민들에게 심려를 끼친 점, 대한민국의 일원인 젊은 의사로서 깊이 사과드린다”고 했다.
한 위원장은 “우리는 앞으로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적 책무를 다하고, 보다 나은 의료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긴 세월 국민과 의료계 모두 상처 받고 힘든 시간을 보냈다. 이런 일이 다시 생기지 말아야 한다는 점에 공감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다만 전 정권에서 경험했듯이 업무개시명령을 포함한 온갖 불법적인 명령, 그리고 어떤 입법을 하더라도 과도한 규제와 억압으론 아무것도 해결할 수 없다. 이솝우화 해와 바람에 나왔듯 거센 바람이 아닌 따뜻한 햇살이 젊은 의사들과 국민들의 상처받은 마음을 위로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한 위원장은 “중증, 핵심의료 제공과 지역의료 불균형 문제에 대해 젊은 의사들도 공감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에게 필요한 건 회복과 신뢰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미래 의료를 재건하는 것”이라며 “오늘의 자리도 그를 위한 하나의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 오늘이 환자와 의사 간 유대를 다시 회복하는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환자단체연합회 안기종 대표는 전공의들에게 조건없는 복귀와 대국민 사과 및 재발 방지 약속 등을, 국회에는 ‘필수의료 공백 방지법’ 등의 입법을 촉구했다. 대전협 측의 모두발언 내용을 사전에 알지 못했던 안 대표는 대전협이 사과하자 놀라기도 했다.
안 대표는 “환자 입장에서 전공의 복귀 소식은 다행스럽고 반가운 일”이라면서도 “전공의 복귀는 자발적으로 사직했을 때처럼 조건 없는 자발적 복귀여야 한다”고 했다.
이어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피해를 본 환자와 환자 보호자들에게 전공의들은 진심 어린 사과를 해야 한다”며 “다시는 환자의 생명을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겠다는 약속도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국회를 향해서는 “정부와 여당은 의정 갈등과 의료 공백의 진짜 피해자인 환자의 피해 구제와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나 입법 개선에는 관심이 부족하다”며 “최소한 응급실, 중환자실, 분만실 등과 같은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분야의 공백은 발생하지 않도록 입법이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