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MC, 정부∙대학 총장들에 공 넘길 듯…의료계 "의대교육 정상화 위해 유급 철회 필요"
의대 학장들은 현행 규정상 학생들의 유급·제적은 불가피하단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의과대학 학장들이 현행 규정상 미복귀 의대생에 대한 유급·제적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인 가운데, 의료계 일각에서 의대교육 정상화를 위해 정부가 결단을 내릴 것을 요구하고 있다.
16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대 학장 단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전날 학장·학원장 전체 회의를 열었으나, 회의 결과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의에서는 미복귀 학생에 대한 유급 처리 여부가 중점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됐지만, 학장들은 입장 발표를 유보했다. 대신 오는 17일 열리는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 회의를 앞두고 각 대학 총장에게 의견을 전달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KAMC는 지난 11일 이사회에서 의대생 복귀와 관련한 5대 원칙을 의결한 바 있다. [관련기사=[단독] 의대 학장들 "1학기 유급 처리·내년 진급"…학사 정상화 길 열리나]주요 내용은 미복귀 학생들에 대해 1학기 유급 처리를 하되, 복귀 시 2학기 및 계절학기를 활용해 교육 총량 확보하고 내년 초 정상적으로 진급시킨다는 것이었다.
15일 회의에서도 이러한 기조는 유지된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 학장들이 유급 철회에 신중한 이유로는 현행 규정을 어길 수 없는 데다, 국민 여론을 고려할 때 유급 철회를 공개적으로 요구하기에는 부담이 크다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현재 상황에 대한 학장들의 의견을 전달받은 대학 총장들이 정부를 상대로 유급 철회를 요청하는 수순을 밟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와 관련, 의료계는 1년 5개월째 이어진 의정 갈등을 수습하기 위해선 각 대학이 유급·제적 조치를 철회할 수 있도록 정부가 길을 열어줘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난 5월 기준, 전국 40개 의대의 유급 대상자는 8305명, 제적 대상자는 46명이다.
서울시의사회 황규석 회장은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는 전 정부의 무리한 정책 추진에서 비롯된 일”이라며 “교육 정상화를 위해서는 이제 정부가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