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명승권 교수팀은 2009년부터 2015년 7월까지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수면시간과 인지기능 저하와의 연관성을 살펴본 10편의 관찰역학연구를 종합한 메타분석 결과 이같이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5년 7월 PubMed, EMBASE 및 관련 기사의 참고 문헌을 검색해 총 695건의 기사 중 3건의 사례 대조 연구와 7건의 코호트 연구를 최종분석에 사용했는데, 여기에는 총 5만 3942명의 참가자(평균연령 66.9 세)가 포함됐다.
메타분석 결과, 하루 수면시간이 8~9시간 이상인 사람은 7~8시간인 사람에 비해 인지장애와 치매의 위험성이 각각 38%(교차비 혹은 상대위험도 1.38, 95%신뢰구간 1.23-1.56)와 42%(교차비 혹은 상대위험도 1.42, 95%신뢰구간 1.15-1.7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성별, 지역, 연령, 인지저하의 유형, 연구설계, 연구방법론의 질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세부그룹 메타분석 역시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즉 세부분석에서도 긴 수면시간이 치매 및 인지장애 등 인지기능 감소의 위험성을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동안 발표된 개별 관찰역학연구는 긴 수면시간과 인지기능 장애(혹은 치매) 위험 증가 사이의 관련성에 대해 그 결과가 일치하지 않았다. 어떤 연구는 너무 적게 자면 위험성이 높아진다고 했고, 다른 연구에서는 너무 많이 자면 높아진다는 결과를 얻기도 했다.
이번 연구는 개별 관찰연구를 종합 분석한 결과로, 긴 수면시간이 경도 인지장애와 치매의 위험성을 높인다는 종합적인 결론을 얻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명 교수는 "긴 수면시간과 인지장애의 관련성에 대한 이유가 명확하지는 않지만, 생물학적 기전에 잠을 오래 자면 염증 관련 생체지표가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 잠을 오래 자는 것은 인지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질병 혹은 단순히 인지장애의 초기 증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국립수면재단이 발표한 적정 수면시간은 어린이의 경우 적정수면시간 범위 중 하한 값을 1시간 정도 낮추고(초등학생의 경우 10~11시간에서 9~11시간으로), 26~64세 성인의 경우 7~9시간, 65세 이상의 경우 7~8시간을 권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에 덧붙여, 치매예방을 위해 적정수면시간의 범위 중 상한 값을 1시간 정도 낮추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신경역학(Neuroepidemiology)의 12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Neuroepidemiology 2016;47:171-180, DOI:10.1159/000454737).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