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엘 코리아, 세계 지구의 날 맞아 지속가능성 실천 의지 담은 전직원 플로깅 캠페인 전개
바이엘 코리아가 세계 지구의 날을 맞아 24일부터 5월 26일까지 약 한 달간 바이엘 코리아 서울 오피스가 있는 한강공원 일대에서 환경보호 활동의 일환으로 전직원이 참여하는 ‘글뤽 포 그린 플로깅 캠페인(Glück for Green Plogging Campaign)‘을 실시한다고 20일 밝혔다. 플로깅은 이삭을 줍는다(plocka upp)는 뜻의 스웨던어와 영어 조깅(jogging)의 합성어로 산책이나 조깅 등 운동을 하며 쓰레기를 줍는 전세계적 환경운동의 하나다. 이번 플로깅 캠페인은 바이엘의 사회 참여 활동(Corporate Social Engagement) 중 하나인 ̒글뤽 포 그린 캠페인(Glück for Green)'의 일환으로 개최된다. 바이엘 코리아의 '글뤽 포 그린 캠페인(Glück for Green Campaign)‘은 바이엘이 추구하는 가치 중 하나인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에 집중해 기후변화의 주원인인 탄소 배출 감소를 목표로 일상생활에서 환경을 2023.04.21
삼양홀딩스, LG화학과 항암신약 개발 파트너십 체결
삼양홀딩스와 LG화학이 mRNA 기반 항암신약 개발을 위해 삼양홀딩스의 독자적 약물 전달체 기술을 적용하는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비독점적 기술이전계약으로 삼양홀딩스는 LG화학에 자체 개발한 mRNA 전달체 ‘나노레디(NanoReady)’의 기술과 관련 조성물을 제공하고 LG화학은 이를 접목해 항암 효능을 극대화한 mRNA 기반 혁신 신약물질을 발굴할 계획이다. LG화학은 계약에 따라 계약금과 개발 단계별 마일스톤을 삼양홀딩스에 지급하게 된다. mRNA는 세포안에서 특정 단백질을 만드는 정보를 가지는 유전물질로,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세포안으로 안전하게 전달해 효율적으로 단백질 발현이 가능하도록 돕는 ‘약물 전달체’가 필수적이다. NanoReady는 삼양홀딩스만의 고유 약물 전달체 기술로 범용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사전 제작된 전달체 조성물에 LG화학이 개발한 mRNA 효능물질을 섞는 방식으로 결합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어 신약 개발 2023.04.20
셀트리온헬스케어, 튀르키예 병원 처방액 상위 10대 기업 등극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의약품 시장조사기관인 아이큐비아(IQVIA)를 기준으로 2022년 튀르키예 병원 처방액(Hospital Sales) 부문에서 400여 곳의 글로벌 바이오제약 기업들을 제치고 전년 대비 9단계 상승하며 상위 10대 기업으로 올라섰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튀르키예에서 병원 처방액이 증가하게 된 원동력으로 우수한 제품 경쟁력과 함께 마흐무트 딘서 우야르(Mahmut Dincer Uyar) 커머셜 책임자가 이끌고 있는 현지 법인의 세일즈 역량과 노하우가 큰 역할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2017년 램시마(성분명 인플릭시맙)를 시작으로 튀르키예에서 현지 법인을 통한 직접판매(직판) 유통망을 구축한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이후 직판 체계를 성공적으로 안착하며 램시마 처방 확대를 지속했다. 현지 의료진들의 선호도 또한 꾸준히 높아지면서 2022년 연간 기준 램시마는 튀르키예에서 오리지널을 상회하는 51%(IQVIA)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러한 성과는 병원에서 바로 처방이 이뤄지는 2023.04.20
애스톤사이언스, AACR서 암치료백신 2종 전임상 연구결과 발표
애스톤사이언스가 14~19일(현지시간) 걸쳐 미국 올랜도에서 개최된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Annual Meeting 2023)에서 암치료백신 2종의 전임상 연구결과를 성공적으로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16일 첫 포스터를 통해 발표한 것은 위암 인간화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AST-301과 키트루다 병용투약의 시너지 효과다. AST-301은 HER2-ICD를 항원결정기로 사용하는 암치료백신으로서, 특정 항원을 인지하는 T도움세포(T helper cell)의 면역원성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인간 CD34+ 혈액줄기세포를 이식한 인간화 마우스 위암 모델에서 AST-301과 키트루다 표준용량 병합치료군이 키트루다 표준용량 단독치료군에 비해서 우수한 종양 억제 효과를 보였다. 투여 후 25일째 종양성장억제율은 음성대조군과 대비해 ▲키트루다 표준용량(5mg/kg) 단독군에서 36% ▲AST-301과 키트루다 표준용량 병합치료군에서 49 2023.04.20
에이비엘바이오, AACR서 ABL102 전임상 포스터 발표
에이비엘바이오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면역항암제 후보 파이프라인 ABL102 전임상 연구 포스터 발표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0일 밝혔다. ROR1과 4-1BB를 동시에 타겟하는 이중항체 ABL102는 4-1BB의 응집현상(Clustering)이 ROR1의 발현에 의존하여 활성화 되도록 설계됐다. ROR1은 목표 암세포가 존재하는 미세종양환경에서만 선택적으로 발현되기 때문에, 4-1BB가 정상 세포에서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단독항체로 사용하면 독성을 보이는 4-1BB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이전에 침입했던 항원을 기억해 재발을 방지하는 4-1BB의 고유 기능인 기억 T 세포(Memory T Cell)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번 포스터 발표에 따르면 ABL102는 마우스 모델에서 완전 관해(CR, Complete Remission)를 통해 우수한 종양억제 효과를 보였다. 3개월 후 마우스에 기존에 노출했던 종양을 다시 투입한 실험에서는 장기적으로도 종양이 억제되면서 4 2023.04.20
조직병리 슬라이드 1장으로 자궁내막암 원격재발 위험 예측한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조직병리학적 슬라이드 한 장으로 자궁내막암 환자의 원격 재발 위험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연구용 딥러닝 모델이 개발됐다. 네덜란드 라이덴대학교 메디컬센터(Leiden University Medical Center) 병리학과 박사 과정의 사라 프리먼드(Sarah Fremond) 연구팀이 14~19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3)에서 딥러닝 모델 헥터(HECTOR)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Abstract 5695). 연구팀은 "초기 자궁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약 95%에 달하지만 원격 재발 환자의 생존율은 매우 낮다. 환자 대부분 예후가 좋고 보조 치료가 필요하지 않지만, 원격 전이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는 전신 보조요법으로 원격 재발 위험을 줄일 수 있다"면서 "원격 재발 위험이 높은 환자와 낮은 환자를 정확하게 식별하는 것은 개인 맞춤 보조 치료를 권장하고 독성 치료로 인한 불필요한 이환 2023.04.20
성인과 다른 소아암 치료…PARP 내성을 ATR 억제제 병용요법으로 극복할 수 있을까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PARP 억제제 린파자(Lynparza, 성분명 올라파립)와 임상시험 중인 ATR 억제제 세랄라서팁(ceralasertib, 개발명 AZD6738) 병용요법이 DNA 복제 스트레스 및/또는 DNA 복구 결핍 고형 종양 소아 환자에서 임상적 이점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버밍엄대학교(University of Birmingham) 암 및 유전체과학연구소 수잔 개츠(Susanne Gatz) 박사가 14~19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3)에서 AcSé-ESMART 임상시험(NCT02813135)의 1상 일부 결과를 발표했다(Abstract CT019). 개츠 박사는 "우리가 아는 한 성인 종양 유형에서 PARP 억제제와 ATR 억제제 병용요법은 널리 연구되지 않았다"면서 "이번 연구는 소아암에서 내약성이 우수하고 임상적으로 유의한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입증했다"고 2023.04.20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AACR서 'BBT-207' 전임상 연구 포스터 발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14~19일(현지시간)까지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개최되는 2023 미국 암연구학회 연례학술회의(AACR Annual Meeting 2023)에서 4세대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후보물질 ‘BBT-207’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형태로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브릿지바이오의 자체 발굴 1호 후보물질인 BBT-207은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3세대 EGFR(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 저해제 치료 이후 내성으로 나타나는 C797S 양성 이중 돌연변이 등 다양한 돌연변이 사례에 대응 가능한 폐암 표적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다. 최근 오시머티닙 등 3세대 표적치료제가 1차 치료제로 치료 영역을 확장해 나감에 따라 다변화하는 최신 폐암 치료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브릿지바이오는 2021년부터 BBT-207을 개발하고 있다. 전임상 연구 결과는 18일 현지 포스터 세션을 통해 발표됐다. C797S를 포함한 다양한 내성 돌연변이에 대한 BBT-207의 ▲항종양 효력 ▲뇌전이 2023.04.19
사노피, 의료진 대상 포털 사이트 '사노피 캠퍼스' 론칭
사노피가 3월 의료전문가 전용 디지털 통합 플랫폼 ‘사노피 캠퍼스’를 오픈했다고 19일 밝혔다. 사노피 캠퍼스는 국내 보건의료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통합 플랫폼이다. 사용자 친화적인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의료진들의 업무 효율성과 환자 안전성을 높이고자 기획됐다. 사노피 캠퍼스는 ▲질환정보 ▲제품정보 ▲아티클 ▲환자교육자료실 ▲행사 ▲알쏭달쏭 상담소 등 총 6개의 항목으로 구성돼 있으며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관심있는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추천 받을 수 있다. 또한 질환 및 제품에 대한 최신 정보와 함께 행사 안내, 최신 의학 자료 요약 등 바쁜 의료진들을 위해 하나의 채널로 원스탑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허브로 편리성과 효율성을 강조하고 있다.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 배경은 대표이사는 “사노피 캠퍼스는 의료진들의 바쁜 일정 등을 고려해 하나의 통합된 채널을 통해 사노피의 제품정보와 다양한 의학정보 및 환자교육 등에 필요한 자료 등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제공 2023.04.19
테라펙스, AACR서 차세대 폐암 신약 후보물질 ‘TRX-221’ 전임상 결과 발표
테라펙스가 18일(현지시간)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4세대 EGFR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후보물질 ‘TRX-221’의 전임상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TRX-221은 타그리소(성분명 오시머티닙) 등 3세대 EGFR 저해제 치료 이후 나타나는 내성 돌연변이 C797S 뿐 아니라 1, 2, 3세대 EGFR 저해제가 타깃하는 돌연변이(ex19del, L858R, T790M)까지 저해하는 광범위 4세대 EGFR 저해제(Broad-Spectrum 4th Generation EGFR TKI) 후보물질이다. 연구 결과 타그리소 내성 폐암 환자유래 종양 오가노이드를 이식한 마우스모델(PDOX, patient-derived organoid xenograft)에서도 용량 의존적 항암효능이 확인됐다. 이 모델은 실제 폐암 환자의 종양환경과 매우 유사하다. 더불어 TRX-221 투여 시, 타그리소 저항성 뇌종양 마우스모델에서 대조군 대비 생존 기간이 유의하게 늘었다. 테라펙스 2023.04.19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