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셀바이오, 반려견 전용 차세대 항암면역치료제 개발 참여
항암면역세포치료제 개발 전문기업 박셀바이오가 반려견 전용 차세대 항암면역치료제 개발에 참여한다. 박셀바이오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하는 반려동물 전주기 산업화 기술 개발 사업의 신규과제에 선정돼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한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반려동물 맞춤형 의약품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한 것으로 반려견의 악성종양에 대한 CAR-NK 세포치료제 및 개 항-TIGIT 차단항체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한다. 해당 사업은 총 사업비 30억 원 규모로 4년에 걸쳐 진행되며 공주대학교가 주관기관으로 경상국립대학교, 성균관대학교(삼성서울병원), 박셀바이오 등이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한다. 박셀바이오는 진행성 간암을 대상으로 하는 Vax-NK/HCC 임상 연구를 순조롭게 진행 중인 만큼 이번 사업에서도 노하우를 살려 안전성 및 유효성 확인을 위한 치료제의 품질기준 및 제조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박스루킨-15를 개발하는 동안 얻은 경험은 새로운 반려견 전용 항암면역치료제를 개발하는데 2022.04.01
이수앱지스, 'ISU203' 공동개발자 경북대로부터 독점적 실시권 확보
이수앱지스가 혁신 신약(First in Class)으로 개발 중인 알츠하이머 신약 'ISU203'의 원활한 개발과 라이센싱을 위해 공동개발자 경북대와 전용실시권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이수앱지스와 경북대 의학과 배재성 교수, 수의학과 진희경 교수 연구팀은 ISU203을 공동으로 개발해 왔고 이에 따라 특허권 지분 역시 양측이 각각 50%씩 소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수앱지스는 이번 계약을 통해 ASM 항체 기반 알츠하이머 신약 기술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갖게 됐다. 본 계약은 계약금과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을 포함해 43억원 규모다. 계약의 주요 내용은 이수앱지스가 신약 기술을 독점적으로 사용해 제품의 생산, 판매 등을 할 수 있는 전용실시권을 갖는 것으로, 제품 판매 지역은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다. 이수앱지스 측은 'ISU203의 치료 작용 기전을 명백히 규명하기 위해 경북대와 함께 추가 연구를 진행해 최근 긍정적 결과를 얻었고 이에 신약 개발의 빠른 진척을 위해 개발 독 2022.04.01
한국로슈, 암종 불문 치료제 로즐리트렉 건강보험급여 적용
한국로슈는 암종 불문 치료제 로즐리트렉(성분명 엔트렉티닙)이 1일부터 건강 보험 급여를 적용 받는다고 밝혔다. 급여 대상은 알려진 획득 내성 돌연변이 없이 뉴로트로핀 티로신 수용체 키나제(Neurotrophic Tyrosine Receptor Kinase; NTRK) 유전자 융합을 보유한 성인 및 만 12세 이상 소아 고형암 환자로 NCCN 가이드라인 카테고리 2A 이상 암종의 1차 치료 이상에서 국소진행성, 전이성 또는 수술적 절제 시 중증 이환의 가능성이 높으며 기존 치료제(혹은 치료 요법) 이후 진행됐거나 현재 이용 가능한 적합한 치료제가 없는 경우에 해당된다. 로즐리트렉은 2020년 4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허가를 받았다. NTRK 유전자 융합 변이 단백질의 활성화를 차단하도록 설계된 NTRK 억제제로 변이가 발생한 TRK A/B/C 단백질을 표적으로 세포의 이상 신호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 및 생존을 억제한다. 암 발생 부위와 상관없이 NTRK 유 2022.04.01
킴리아, 재발성∙불응성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과 B세포급성림프구성백혈병 보험 급여 적용
한국노바티스는 CAR-T 치료제 킴리아(Kymriah, 티사젠렉류셀)가 3월 31일 발표된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재발 또는 불응성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DLBCL)과 25세 이하 B세포급성림프구성백혈병(pALL) 환자 치료에 4월 1일부터 건강 보험 급여가 적용된다고 밝혔다. 급여 적용 대상은 ▲두 가지 이상의 전신 치료 후 재발성 또는 불응성인 성인 DLBCL(3차 이상) 및 ▲25세 이하의 소아 및 젊은 성인 환자에서의 이식 후 재발 또는 2차 재발 및 이후의 재발 또는 불응성 ALL(2차 또는 3차 이상) 치료다. 킴리아는 환자에서 채취한 T세포 표면에 암세포의 특정 항원을 인지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 Chimeric Antigen Receptor)가 발현될 수 있도록 유전적으로 재조합시킨 후 다시 해당 환자의 몸에 주입하는 방식의 개인 맞춤형 항암제다. 지난해 3월 첨단재생바이오법 1호 치료제로 국내 허가 받았다. 보험 급여 적용을 통해 제한적인 치료 옵션으로 기대 2022.04.01
업테라, 유한양행과 염증유발 단백질 분해신약 기술라이선스 계약 체결
업테라(UPPTHERA)는 유한양행과 기술라이선스 및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맺고 PROTAC(Proteolysis Targeting Chimera, 표적단백질 분해기술) 기술을 이용한 염증유발 단백질 분해신약 개발을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양사는 염증유발 단백질 분해를 통해 알츠하이머병 및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 신약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업테라는 비임상 후보물질 도출까지 주도적인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유한양행은 비임상 개발을 포함한 후속 개발 및 사업화를 전담하는 형태로 협업할 예정이다. 업테라는 본 계약을 통해 유한양행으로부터 계약금을 포함해 특정 성과 달성 시 마일스톤 및 경상 기술료를 수취할 예정이고 유한양행이 제3자에게 라이선스 아웃을 실시하면 수익금의 일부를 배분받는다. 유한양행은 비임상 후보물질 도출 이후 연구성과에 대한 전세계 독점적 전용실시권을 확보한다. 표적단백질 분해기술인 PROTAC은 체내 Ubiquitin Proteasome System(UPS)을 이용해 표적 2022.04.01
에이비엘바이오, AACR서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전임상 데이터 발표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가 2022 미국암연구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 연례 회의에 참석해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ABL103과 ABL105(YH32367)에 대한 전임상 데이터를 포스터로 공개한다고 1일 밝혔다. ABL103은 에이비엘바이오가, ABL105는 공동 개발 파트너사 유한양행이 발표한다. AACR은 과학자 및 의료 전문가, 전세계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모여 최신 연구성과를 공유하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암학회다. 올해는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New Orleans, Louisiana)에서 8~13일(현지시간) 대면으로 진행된다. ABL103과 ABL105는 고형암 치료제로 개발 중인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으로, 모두 종양미세환경에서만 4-1BB 다량체 형성 및 T세포 활성을 유도하는 그랩바디-T(Grabody-T) 플랫폼 기술이 적용됐다. ABL103은 그랩바디-T에 암 세포를 표적하는 B7-H4 2022.04.01
파로스아이바이오-유한양행, KRAS저해 항암 신약 후보물질 기술이전 및 공동개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 플랫폼 기반 혁신신약개발 전문기업 =파로스아이바이오와 유한양행이 AI 기반 KRAS 저해제에 대한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파로스아이바이오가 AI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케미버스를 활용해 KRAS 저해 선도물질 및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유한양행은 전임상과 임상개발 등 사업화를 진행한다. 이번 계약에 따라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유한양행으로부터 KRAS 저해제 물질과 관련된 계약금을 받고 향후 마일스톤과 로열티에 대한 권리를 갖게 됐다. 이후 제3자에게 기술이 이전될 때에도 파로스아이바이오도 이를 통해 창출된 수익을 함께 배분 받는다. KRAS는 오래전부터 종양의 성장과 증식에 관여하는 암 유발 유전자로 다양한 암 종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돌연변이된 KRAS 단백질의 독특한 구조 및 활성 매개체인 GTP와의 높은 친화력 등으로 인해 개발하기 어려운(undruggable) 신약 타깃으로 분류돼 왔다. 최근 암젠이 KRAS 단백질의 2022.04.01
마크로젠, 26기 정기 주주총회 개최
정밀의학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이 31일 오전 9시 서울 강남구 마크로젠빌딩에서 26기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했다. 이날 주주총회에서는 주요 경영실적 성과 보고를 포함해 사내이사 및 기타비상무이사 선임, 이사 보수한도 승인, 배당에 대한 안건을 원안대로 결의했다. 2021년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1292억 원, 영업이익 118억 원을 기록했다고 보고했다.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반으로 보통주 1주당 300원의 현금배당을 지급할 예정이며 배당금 총액은 약 30억 원이다. 이사 선임의 건으로 ▲사내이사 이수강(현 마크로젠 해외사업 대표/ 재선임) ▲기타비상무이사 윤세웅(대구경북과학기술원 석좌교수, 보스턴에임스 대표/ 신규선임) 등 2명이 선임됐다. 마크로젠은 현재 해외사업을 맡고 있는 이수강 대표의 재선임을 통해 신규 거점을 확대하며 글로벌 유전체 분석 사업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기타비상무이사로 신규 선임된 윤세웅 고문은 국내 인공지능(AI) 전문가로, 스위스 로잔대학교 국제경영개 2022.03.31
바이오리더스, '비엘'로 사명 변경…그룹사 시너지 통해 '더 나은 삶' 제공할 것
신약 개발기업 바이오리더스가 31일 개최한 22기 정기주주총회에서 '비엘(BL)'로 사명 변경을 의결했다. 이번 사명 변경은 바이오리더스뿐만 아니라 자회사들의 사명도 비엘로 변경해 전체 기업 이미지에 통일성을 부여하고 그룹 내 기업들간의 시너지에 주력하기 위해 이뤄졌다. 바이오리더스는 '비엘(BL)'로, 넥스트비티는 '비엘팜텍(BL Pharmtech)', 네추럴에프앤피는 '비엘헬스케어(BL Healthcare)', 티씨엠생명과학은 '비엘사이언스(BL Science)'로 각각 사명을 변경한다. 변경된 사명 비엘(BL)은 바이오리더스(Bio Leaders)의 약자이기도 하지만 '더 나은 삶(Better Life)'이란 의미를 갖고 있다. 신약개발을 통해 난치병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더 나은 치료기회를 제공해 삶의 개선에 기여하겠다는 의미다. 비엘은 사명변경과 함께 그룹 내 자회사들의 기업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헬스케어 분야를 강화하고 신약개발 및 개발된 제품들의 상업화에 주력할 2022.03.31
레고켐바이오, CMO로 GSK 출신 박수정 부사장 영입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가 31일 주주총회에서 CMO(Chief Medical & Science Officer) 박수정 부사장과 임상전문가 이미경 이사를 신규로 영입했다. 박 부사장은 혈액종양내과 분과전문의로 가톨릭의대 여의도성모병원 조혈모세포이식센터 임상강사를 거쳐 인천성모병원 혈액종양내과 조교수로 재직하면서 약 20년간 수많은 혈액 및 고형암 환자들을 진료한 혈액종양내과 전문의다. 이후 미국 MD Anderson 암센터, 다국적 제약사 GSK 등을 거치며 특히 항암제 분야의 임상개발전문가로 본격적으로 활약했으며 동아쏘시오그룹의 R&D 전략실장 및 그룹 헬스케어신사업기획 총괄을 거쳐 이번 레고켐바이오에 합류하게 됐다. 함께 영입된 이 이사는 Sanofi, GSK, MSD 및 유한양행에서 다수의 글로벌 임상경험을 가진 임상시험 관리 전문가다. 이번 영입은 독자적인 임상 파이프라인을 공격적으로 구축해 나가겠다는 레고켐바이오의 전략 실행력 확보의 일환이며 박 부사장은 연구과제 선정 단계부터 2022.03.31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