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루메드-서강대, 췌장암·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공동개발 나선다
셀루메드가 인스바이오팜,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과 RNA 치료제 개발 공동 연구를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셀루메드 바이오 연구소는 서강대 김현철 교수팀의 mRNA-LNP 제형 연구와 인비트로(in vitro) 및 인비보(in vivo) 효능 평가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이를 기반으로 RNA-LNP 기술 기반 췌장암 및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또한 자체 개발한 T7 RNA polymerase (CLnZyme)를 사용해 효능 검증도 병행한다. 셀루메드는 인스코비 자회사로 지질나노입자(LNP) 기술을 사용해 RNA 기반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최근에는 T7 RNA polymerase(CLmZyme)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주관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상용화 지원 사업을 통해 성능 비교 평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국내 및 해외 사업화를 모색할 예정이다. 셀루메드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RNA 치료제를 개발하고 상용화 2024.10.17
오가노이드사이언스-툴젠, 유전자가위 기술 라이선스-인 계약 체결
오가노이드사이언스(ORGANOIDSCIENCES)가 툴젠과 16일 CRISPR-Cas9 특허 라이선스-인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CRISPR-Cas9 유전자가위 기술은 생명체의 특정 유전자 서열을 정밀하게 교정 및 개선하는 혁신적인 기술로, 암과 난치성 질환 치료제는 물론 전염병 저항성 동물 품종, 농작물 신품종 개발 등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툴젠은 국내에서 CRISPR-Cas9 유전자 가위 원천특허를 보유한 유일한 기업으로, 주요 10개 국가에 총 29건이 등록돼 있다. 이를 기반으로 몬산토, 써모피셔 등에 기술이전계약 총 20건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으로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CRISPR-Cas9 기술을 활용해 암, 유전 질환, 면역 질환 등 연구에 적용 가능한 오가노이드 기반 질병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오가노이드 기술은 CRISPR-Cas9 기술을 접목했을 때, 유전자 교정을 통해 더 정교하고 관련성 높은 질병 모델을 만들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약 개발과 맞 2024.10.17
AI 신약개발사 온코크로스, 증권신고서 제출…12월 코스닥 상장 목표
온코크로스가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코스닥 상장 절차에 돌입했다고 16일 밝혔다. 온코크로스는 이번 상장을 통해 142만3000주를 공모한다. 주당 공모 희망가는 1만600~1만2900원으로 총 공모예정금액은 약 151억~184억 원이다. 기관 대상 수요예측은 11월 21~27일 5일간 진행하고 12월 3~4일 일반 청약을 거쳐 12월 상장을 목표한다. 상장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 맡았다. 적응증 확장(Indication Expansion)은 물질특허가 유효한 신약 후보물질의 신규 적응증을 임상 단계에서 발굴하는 것으로, 최근 국내 및 글로벌 제약시장에서 신약 프로젝트의 부가가치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꼽히고 있다. 심장병 치료제로 승인받고 발기부전 치료제로 적응증을 변경한 비아그라와 6월 40번째 적응증을 확장한 면역관문억제제 키트루다가 대표적인 예다. 많은 AI 신약개발 기업이 후보물질 발굴(Drug Discovery) 영역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 2024.10.16
셀트리온, UEGW서 짐펜트라 3상 102주 증량 투여 결과 첫 공개
셀트리온이 12~15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유럽장질환학회(UEGW)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CT-P13 SC(인플릭시맙 피하제형, 미국 제품명 짐펜트라)’의 글로벌 임상 3상 사후분석 결과를 구두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UEGW는 유럽 최대 규모의 소화기 관련 학회로, 연구자와 기업들이 위암과 염증성장질환(IBD), 면역학 등 소화기 관련 질병을 다루는 최신 임상 연구와 치료제 개발 동향 등을 발표하는 자리다. 셀트리온은 크론병(CD) 환자 192명, 궤양성 대장염(UC) 환자 23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짐펜트라 글로벌 임상 3상의 2년(102주) 장기 추적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임상에 참여한 환자를 대상으로 6주차까지 CT-P13 IV(인플릭시맙 정맥제형)를 투약한 후, 이들 중 임상 반응을 보인 환자들을 10주차에 무작위로 CT-P13 SC 120mg 투여군과 위약 대조군으로 나눴다. 이후 54주간 2주 간격으로 투약을 진행해 위약 대비 CT-P13 SC의 유 2024.10.16
노벨티노빌리티, c-Kit 타깃 ADC 국가신약개발사업단 과제 선정
노벨티노빌리티(Novelty Nobility)가 2024년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임상1상단계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향후 24개월간 사업단으로부터 연구개발비 지원을 받아 c-Kit 표적 항체약물접합체(ADC)인 NN3201을 통해 소세포폐암(SCLC) 및 위장관기질종양(GIST) 등 c-Kit 과발현 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개발을 진행한다. 노벨티노빌리티는 6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NN3201의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으며, 내년 초 미국에서 첫 환자 투약을 목표한다. NN3201은 c-Kit 돌연변이에 의한 저분자화합물의 약물 내성을 극복하고, 종양미세환경(TME)에 과발현한 c-Kit을 타깃해 면역항암제와의 병용투여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노벨티노빌리티 박상규 대표는 "이번 임상을 통해 NN3201의 안전성뿐 아니라 다양한 질환에서의 치료 잠재력 또한 기대하고 있다"며 "성공적인 임상개발을 위해 최선을 다하 2024.10.16
랩지노믹스, 미국 IMD 최종 인수 완료... 4개 클리아랩 확보
랩지노믹스가 미국 아이엠디(IMD) 최종 인수를 마치고 4개의 클리아(CLIA)랩을 확보했다고 16일 밝혔다. 지난해 하반기 미국 동부의 큐디엑스(QDx)를 인수한 후 약 1년만에 중부와 서부 지역의 3개 클리아랩을 추가로 확보하게 됐다. IMD는 미국 새크라멘토, 오로라, 버클리에 각각 클리아랩을 운영 중이다. 중합효소연쇄반응법(PCR) 기반 감염성 질환 진단 및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기반 암 진단 서비스를 포함해 다양한 암 진단 포트폴리오를 확보하고 있다. QDx가 병리에 특화된 반면 IMD는 NGS 암 진단과 감염성 PCR 진단을 제공해 양사간 시너지를 극대화할 전략이다. 특히 IMD는 보험 수가가 적용되는 'CPT코드'와 'Z코드'를 보유하고 있어 빠른 서비스 적용처 확대가 기대된다. 미국 보험사 중 매출 1위를 기록하는 블루크로스 블루쉴드와 계약돼 있는 점도 긍정적이다. 미국 유명 종합병원인 세더 시나이 메디컬 센터와의 공동 개발도 진행 중이며 분석적 성능시험을 성공적 2024.10.16
AI 신약개발 기업 아이젠사이언스, 120억 원 투자 유치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 기업 아이젠사이언스가 12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자인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쿼드자산운용, 메디톡스벤처투자와 신규 투자자인 프리미어파트너스, 케이투인베스트먼트, 스케일업파트너스가 참여했다. 아이젠사이언스는 고려대학교 강재우 교수 연구팀이 의생명 AI 국제경연대회에서 7회 우승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2021년 4월에 설립한 기업이다. 자체 AI 신약개발 플랫폼을 이용해 미충족 수요가 높은 난치성 질환 영역에서 우수한 저분자 합성 신약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단기간 내 다수의 선도물질 최적화 및 전임상 후보물질 단계 제품으로 구성된 파이프라인을 구축했다. 또한 국내 대형 제약사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신규 항체약물접합체(ADC) 페이로드 발굴을 포함한 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다. 최근 아이젠사이언스가 고려대,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과 공동 개발한 'Meerkat' 대형언어모델(LLM)은 미국의 2024.10.16
요로상피암 첫 표적치료제 발베사, OS 개선으로 새로운 치료 혜택 제시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존슨앤드존슨 제약부문 국내법인인 한국얀센이 16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요로상피암 표적치료제 발베사(성분명 얼다피티닙)의 최신 임상 데이터와 치료 가치, 요로상피암에서 섬유아세포성장인자수용체(FGFR) 변이 진단 중요성에 대해 발표했다. 이번 간담회는 '요로상피암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 발베사'를 주제로 서울성모병원 종양내과 김인호 교수와 여의도성모병원 병리과 김태정 교수가 연자로 나섰다. 김인호 교수는 첫 번째 강연에서 발베사의 최신 임상 연구인 THOR 임상연구와 허가 근거가 된 2상 임상연구(BLC2001)의 주요 데이터를 소개하며 요로상피암에서 발베사의 치료 가치와 임상적 혜택을 조명했다. THOR는 다국가, 무작위 3상 임상연구로 전이성 또는 수술적으로 절제불가능한 요로상피암 환자 중 FGFR3 변이가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발베사와 항암화학요법의 효과를 비교한 임상 시험이다. 해당 연구는 이전에 적어도 1회 PD-1 또는 PD-L1 억제제를 포함해 2024.10.16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 비만치료제 위고비 국내 출시 기념 심포지엄 개최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이 비만치료제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티드) 출시를 맞아 한국인 비만 환자들의 체중 감량, 그리고 주요 심혈관계 사건(심혈관계 질환 사망, 비치명적 심근경색 또는 비치명적 뇌졸중) 위험 감소 효과를 보인 임상연구 결과를 소개하는 론칭 심포지엄을 15일 진행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강북삼성병원 박철영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첫 번째 세션 연사로 나선 분당서울대병원 임수 교수는 2022년 3월 국제 학술지 란셋(Lancet)에 등재된 한국인과 일본인 대상 위고비 체중 감량 효과를 관찰한 STEP 6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임 교수는 "이중맹검 무작위 위약대조로 68주 동안 진행된 이 3상 임상연구는 체질량지수(BMI)가 27㎏/㎡ 이상이면서 두 가지 이상의 체중 관련 질환을 갖고 있거나, BMI 35㎏/㎡ 이상이면서 한 가지 이상 체중 관련 질환을 갖고 있고 최소 한 번 이상 식이요법으로 체중 감량에 실패한 경험이 있는 한국(≥18세 이상), 일본(≥ 2024.10.16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재생 의학 및 ATMP로 독일 25억 원 규모 공공 자금 지원 선정
오가노이드사이언스(ORGANOIDSCIENCES)가 재생 의학 및 ATMP(첨단치료의약품)로 25억 원 규모 독일 공공 자금 지원 기업에 선정됐다고 15일 밝혔다.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2023년 아톰(ATORM-C)으로 ATMP 인증 받았다. ATMP는 유전자 치료제, 세포 치료제, 조직공학 제품을 포함, 기존 의약품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인 대안이다. 독일은 세계적 수준의 의료 시스템과 ATMP 규제 체계를 갖춘 곳으로,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10월 1일부터 2년에 걸쳐 공공 자금을 지원 받는다.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올해 람다 바이오로직스(Lambda Biologics GmbH)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독일 시장에 진출했다. 이번 자금 지원은 세계 시장 입지 구축은 물론, 재생 의학 및 ATMP(첨단치료의약품) 개발 분야 미래 가치를 인정 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앞서 테슬라(Tesla), 바이오엔텍(BioNTECH), 큐어백(CureVac) 등이 독일 공공 자금 지원을 통 2024.10.16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