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미래 먹거리가 될 '제2의 반도체'로 바이오헬스산업을 지목하고, 국가적인 지원을 위해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를 신설하기로 했다.
백경란 인수위 사회복지문화분과 인수위원은 25일 브리핑을 통해 "혁신위를 만들어 관련 부처와 연구기관, 기업, 병원이 협력하는 바이오헬스 거버넌스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제약산업이 기술수출(기술이전·라이선스아웃)에 머무르던 한계를 벗어나 자력으로 글로벌 블록버스터 혁신신약을 개발할 수 있도록 '글로벌 메가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바이오헬스 분야의 특성을 고려한 규제 샌드박스도 운영한다. 이를 통해 의사 과학자, 인공지능(AI) 전문인력 등 핵심 인력을 적극적으로 양성하고, 바이오헬스 분야 규제를 상시 개선해나갈 예정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한국을 글로벌 바이오 인력 양성 허브 국가로 지정한 것에 맞춰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를 조성하고 다양한 국제 협력을 추진해 ‘K-바이오’ 위상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이외에도 인수위는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육성도 추진한다. 백 인수위원은 "100만명 규모의 바이오 빅데이터를 만들어 민간에 개방하고, 주요 병원이 참여하는 질병 임상 네트워크를 통해 세계적 수준의 의료 기술이 개발되도록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료 마이데이터 플랫폼도 본격적으로 구축해 의료기관, 건강보험공단, 보험사 등으로 흩어져 있는 건강정보를 한 곳에 모을 계획이다.
백 인수위원은 "이를 통해 이용자 자신이 건강정보를 손쉽게 접근하고 주도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 침해 등의 우려 없이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도 강화하겠다"면서 "전자약, 디지털 치료기기, AI 진단보조 등 디지털 헬스케어 제품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연구개발 등 전반적 지원 체계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건안보와 직결되는 감염병, 희귀난치 질환 등의 분야는 차별적 지원이 가능한 시스템을 갖출 계획이다.
백 인수위원은 "미국은 코로나19 발생 즉시 군사작전을 펼치듯이 약 100억 달러를 투입해 350여일만에 첫 백신을 개발했다"면서 "코로나19 이후 신종 감염병은 언제든지 다시 발생할 수 있는만큼 지금까지와는 다른 혁신적인 방식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에 예비타당성 제도과 같은 행정규제를 최소화하고 신속한 지원이 이어지도록 전담조직을 설치하는 등 연구개발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개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앞서 윤석열 당선인은 후보 시절 공약을 통해 감염병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백신·치료제 강국으로의 도약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보건안보 확립·국부창출을 위해 국무총리 직속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를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핵심 인재 양성과 일자리창출 생태계 조성, 백신주권·글로벌 허브 구축을 위한 국가 R&D 지원 등을 제약·바이오 분야 공약으로 내세웠다.
재생의료, 정밀의료, 뇌과학, 노화, 유전자편집, 합성생물학 등 첨단의료·바이오·디지털분야에 국가 R&D를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밝히면서, 백만명 성인 코호트 사업에 전체 유전자분석 실시·백만명 제대혈 코호트 구축사업, 데이터를 접목한 바이오 R&D 혁신방안 마련 등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