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서울 중구 달개비에서 열린 수련협의체 3차 회의에서 보건복지부 김국일 보건의료정책관이 대한전공의협의회 한성존 비대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13일 내부 전공의들에게 "복무 중인 사직전공의들의 수련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대전협 비대위는 오는 18일 임시대의원총회에서 비대위 재신임 여부를 의결할 예정이다.
비대위는 이날 내부 공지를 통해 "제3차 수련협의체 회의의 가장 큰 쟁점은 기입대자 사직전공의의 수련 연속성 보장 문제였다. 회의 직후 진행된 비공식 언론 브리핑에서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추후 검토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비대위는 또 "올해 3월 의무사관후보생 신분이었던 사직전공의들이 입대한 이후 해당 문제에 대해 여야 정치권과 정부의 공식적인 언급은 제한적이었다. 이에 현 대전협 비대위는 입대한 전공의들의 수련 연속성 보장을 위한 행동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며 "6월 새로운 비대위 출범 직후부터 이 사안의 중대성을 알리기 위한 준비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비대위는 여야 정치권, 교수, 보건의료종사자 단체, 환자단체 등 다양한 주체와 대화, 토론회를 통해 의무장교와 공중보건의사, 병역판정검사전담의사 사직전공의들의 수련 재개 필요성과 중요성을 전달해 왔다"며 "지난 7일 제3차 수련협의체 회의에서 대전협, 의학회, 수련병원협의회, 수련환경평가위원회가 한 목소리로 해당 쟁점의 명확한 보장을 복지부에 강력히 요구했다"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이에 복지부는 즉각적인 확답은 어렵다고 했으나 지속적인 검토와 논의를 이어가겠다는 진전된 반응을 보였다. 비대위는 앞으로도 군 복무 중인 사직전공의들의 수련 연속성 보장이 단순히 검토 수준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또록 정부, 관계부처들과 함께 책임 있는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7일 수련협의체 회의에서 정부와 의료계는 수련 연속성 보장과 관련해 동일 병원∙과목∙연차로 복귀하는 전공의에 대해선 사후 정원(초과 정원)을 인정하기로 했고, 수련 종료 시까지 입영을 연기할 수 있도록 결정했다. 다만 이미 군에 입대한 사직 전공의들의 사후 정원은 이번 모집에선 인정이 어려워 추후 논의를 이어 가기로 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