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코로나19 3차 유행이 어느정도 완만한 하향 곡선을 그리면서 이제부터는 정부가 방역 대책을 새판에서 다시 짜야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금까지 1000명이 넘는 확진자가 꾸준히 발생하면서 급박하게 사안을 따라가기 바빴다면 이제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감염병 상황을 이끌어갈 선제적인 대책들을 내놔야 한다는 게 주장의 골자다.
특히 갈수록 코로나19 유행 기간이 길어지고 확산세도 빨라진다는 점에서 ▲개인방역 대책 연구 ▲통일된 방역 기준 수립 ▲방역 사각지대 차단 등 새로운 대책 마련이 필수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7일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870명으로 1월 3일을 제외하면 5일 연속 1000명 미만의 확진자 수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요양병원과 서울동부구치소 등 집단감염 사태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지만 방역 대책을 손볼 수 있는 새로운 국면으로 진입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한양대 예방의학교실 한동운 교수(한양대병원 보건의료연구소장)는 "코로나19가 나온지 오랜 기간이 지났지만 아직도 우리 방역은 확진자를 색출해서 격리시키는 것에만 집중돼 있다"며 "이 때문에 집단면역학적 접근이나 지역사회에서 어떤 대체 약제들을 가지고 어떻게 치료하고 관리할지에 대한 정책적 프로토콜 등 다른 대안은 무시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 교수는 "원래 암도 유전적으로 잘 치료되는 사례가 있는 반면, 아무리 잘 대처해도 낫지 않는 경우도 있다"며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일부 극단적인 예시만 너무 강조하다 보면 정책이 극단적으로 한쪽으로 치우칠 수 있다"고 전했다.
즉 정치적으로 코로나19 상황을 이용해 너무 불안감을 조성하거나 필요 이상의 지나친 과잉대응은 경제 붕괴 등 또 다른 부작용을 나을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그는 이제부터는 후속적인 거리두기 방역 대책보단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개인위생을 준수하면서 국민 스스로가 방역의 주체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지가 방역의 핵심이라고 봤다.
한 교수는 "무엇보다 방역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개개인의 개인습관과 식습관 등"이라며 "외국에선 이미 코로나19 상황에서 근거중심의 개인건강관리 수칙이나 음식을 통한 예방법 등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극단적인 경제통제 방역의 대안으로 이 같은 다양한 정책들이 수행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방역의 형평성 논란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관련해 고려대 최재욱 예방의학과 교수는 "밀집도를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 특정 업종은 적용되고 다른 곳은 안 된다고 하는 방식은 올바르지 않다"며 "5인 이상 사적 모임 집합금지 등 모든 업종과 시설에 대해 일관되고 통일된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방역관점에서도 합리적이고 국민들의 협조를 얻기도 수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방역 대책의 사각지대가 아직도 존재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특히 공항을 통한 입출입이 완전히 폐쇄된 것이 아니다보니 외국인들에 대한 방역 관리가 소홀할 수 있고 이주노동자 등 방역 정보에 취약한 이들이 다수 남아있다는 논리다.
고려대 김우주 감염내과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엔 100만명이 넘는 이주노동자들이 있고 특히 농촌 등 취약지에 거주하고 있는 이들이 많아 상대적으로 방역에 소홀할 수 있다"며 "공항입국도 금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외국인들에 대한 방역 수칙 정보 공유나 적극적인 검사, 모니터링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외 김우주 교수는 바이러스 변이 상황에 대해서도 "영국발 코로나 바이러스 변이로 인해 치료제나 백신의 효과가 없는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며 "실제로 시간이 지나 변이가 많이 진행되면 어느순간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각 백신회사들의 유효성 실험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하고 국가차원에서도 입증 절차와 꾸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