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스-우정바이오, AI 기반 치료제 개발 맞손, 전략적 업무협약 체결
우정바이오가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 기업인 갤럭스 주식회사와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최근 우정바이오는 오픈이노베이션 프로젝트를 통해 다양한 바이오텍들과 협업을 진행, AI를 포함한 다양한 기술을 접목시킨 진화된 비임상 CRO 서비스 구축에 힘쓰고 있다. 이번 협력 또한 그 연장선상에서 우정바이오의 비임상 역량과 갤럭스의 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을 접목시켜 복잡한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 항체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양사는 협약을 통해 ▲AI 기반 신약 후보물질의 신속 비임상 검증 체계 구축 ▲신규 타겟 발굴 및 혁신 신약 공동 연구개발 협력 ▲ 양사의 정보 및 네트워크 공유 ▲각 사 인프라 활용 공동 연구개발 수행 등을 유기적으로 진행하며 AI 신약 개발 정확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선순환적 R&D 협력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갤럭스는 AI와 물리화학적 원리를 독창적으로 융합한 자체 플랫폼 ‘갤럭스디자인(Galu 2025.09.30
서울바이오허브, 2025년 제2차 입주기업 모집 시작
서울바이오허브가 2025년 제2차 서울바이오허브 입주기업을 모집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모집은 의약,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등 레드바이오 분야의 우수 기술을 보유한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최대 35개사를 선발한다. 선발은 기업 성장 단계에 따라 스케일업 트랙과 스타트업 트랙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스케일업 트랙은 창업 7년 미만의 바이오·의료 분야 창업기업이 지원할 수 있으며, 선정 기업은 글로벌센터에 입주하게 된다. 스타트업 트랙은 창업 5년 미만의 창업 초기 연구개발 중심 (예비)창업기업이 대상이다. 선정된 기업은 연구실험동, 산업지원동, 지역열린동, 혁신커뮤니티센터에 입주하며, 특히 BT-IT 융합 분야 혁신 스타트업은 BT-IT 융합센터에 입주한다. 입주기업에는 ▲입주 공간과 공용 장비·실험실 제공 ▲투자유치 및 기업 홍보 지원 ▲바이오 스타트업 특화 교육 제공 ▲서울홍릉강소연구개발특구 기업 혜택 제공 ▲국내외 대기업과의 오픈이노베이션 기회 제공 등 성장을 위한 다 2025.09.30
"65세 이상 코로나19 질병 부담 지속"…모더나, 최신 백신 접종 필요성과 독감 동시접종 강조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최근 3개월 연속 코로나19 입원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중 60% 이상이 65세 이상 고령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는 코로나19가 중증질환 뿐 아니라 피로, 인지 기능 저하 등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장기후유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매년 신규백신을 접종해 면역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모더나코리아는 30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내 코로나19의 최신 현황과 mRNA 기술을 활용한 호흡기 감염병 예방 및 대응 전략과 고위험군 보호의 중요성을 공유했다. 첫 연자로 나선 이 교수는 '국내 코로나19 및 롱코비드 현황과 대응 과제'를 주제로 코로나19 유행 현황과 이에 대응하는 예방 백신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모더나 최고 의학책임자 프란체스카 세디아 박사는 '코로나19를 넘어선 모더나의 mRNA혁신'을 주제로 고위험군 보호를 위한 모더나의 mRNA 기반 호흡기 백신 전략과 향후 감염병 대응 비 2025.09.30
사노피, 'in FLU-ANSWER' 심포지엄 통해 인플루엔자 예방 위한 최신 접종 전략 공유
사노피 한국법인이 국내 최초로 인플루엔자 백신을 단독으로 다룬 학술 심포지엄 시리즈 ‘in FLU-ANSWER Symposium: 인플루엔자 백신의 답이 되다’를 개최하고,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한 최신 접종 전략과 근거를 공유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서울, 부산 등에서 총 4회에 걸쳐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누적 3500여 명의 의료진이 참여했다. 심포지엄은 전년 대비 낮아진 국내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률과 2025년부터 시행된 인플루엔자 백신의 3가(Trivalent) 전환 등 의료 현장의 변화된 상황에 맞춰 인플루엔자 질병 부담을 환기하고, 65세 이상 고령층과 기저질환 환자 등 고위험군에서의 백신 접종 필요성을 임상적 근거와 함께 논의하기 위해 기획됐다. 감염내과, 소아청소년과, 가정의학과 등 다양한 분야의 의료진들이 좌장과 연자로 참여해, 생애주기별 및 기저 질환자 중심의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전략과 최신 지견을 공유했다. 특히 고용량 인플루엔자 백신(에플 2025.09.29
서지넥스, 중기부 ‘스케일업 팁스’ 선정… 3년간 11억4000만원 R&D 지원받아
서지넥스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스케일업 팁스’ 프로그램에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서지넥스는 향후 3년간 총 11억4000만 원 규모의 투자연계형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받게 된다. 스케일업팁스는 민간 주도형으로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성장 가속화를 돕는 프로그램으로 서지넥스는 해당 자금을 바탕으로 LNP 자동화 스크리닝 시스템을 구축하고, 표적 조직과 투여 경로별로 최적화된 차세대 LNP 개발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LNP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화이자·바이오엔텍과 모더나의 mRNA 백신에 사용된 전달체로, 최근에는 코로나19 백신을 넘어 유전자치료, 암 백신, 대사성 질환 등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서지넥스는 LNP 관련 자체 IP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영장류 독성시험과 생산공정 표준화를 마쳤다. 다양한 적응증에 맞춰 자사 LNP를 최적화하기 위해 LNP 자동화 스크리닝 시스템 구축 과제에 착수했다. 자동화시스템 도입으로 LNP 최 2025.09.29
알지노믹스, RNA 치환효소 기반 RNA 편집 치료제 연구성과 및 개발 전략 공개
알지노믹스가 9월 29일부터 10월 2일까지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국제학술대회(KSMCB 2025)’에 참가한다고 29일 밝혔다. 올해로 37회를 맞이한 KSMCB 2025는 생명과학 분야 국내 최대 규모의 학술대회다. 알지노믹스는 올릭스와 함께 ‘Beyond the Laboratory’를 부제로 열리는 특별세션을 공동주관해 좌장을 맡는다. 이번 세션에는 알지노믹스를 포함해 올릭스, 아이씨엠, 오스코텍, 스파크바이오파마, 큐로셀 등 국내 유수의 신약개발 바이오 벤처 기업들이 참여해 발표한다. 알지노믹스 이성욱 대표는 10월 1일 특별세션 딥테크 바이오 벤처 세션에서 ‘스플라이싱 라이보자임 기반 RNA 편집 치료제’를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이 강연에서는 ▲간세포암(HCC)·교모세포종(GBM) 치료제 후보 ‘RZ-001’, 망막질환 치료제 후보 ‘RZ-004’의 연구 결과 및 개발 현황 ▲신규 파이프라인 확장 전략 ▲글로벌 제약사 일라이 릴리 2025.09.29
지투지바이오, 유럽 소재 글로벌 빅파마 공동연구개발 계약 체결
지투지바이오가 유럽 소재 글로벌 빅파마와 약효지속성 주사제 개발 연구협력 계약(Research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2023년 글로벌 빅파마와 콜라보레이션 공동개발, 미국 글로벌사와의 CDO/CDMO, 올해 베링거인겔하임에 이어 네 번째 글로벌 빅파마와의 협력이다. 계약에 따라 지투지바이오는 핵심 기술인 이노램프(InnoLAMP) 플랫폼을 활용해 유럽 소재 글로벌 빅파마가 제공하는 펩타이드 약물에 대한 약효지속성 주사제 개발에 나선다. 이번 연구에서는 전임상 약동학(PK), 약력학(PD) 평가에 적합한 프로토타입 제형을 개발해 제공하고, 파트너사는 해당 제형에 대한 동물시험을 실시하여 개발된 제형을 평가하게 된다. 이어 지투지바이오는 파트너사가 연구 결과에 따라 상업화를 진행할 경우 연구 결과를 개발하거나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데 필요한 범위에 한해, 회사의 배경 지식 재산권 또는 회사의 배경 지식 재산권 개선 사항에 대한 비독점적, 전 세계적 영구적인 서브 2025.09.29
엔젠바이오, 정부 'AI 데이터 바우처 사업' 최종 선정
엔젠바이오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이 주관하는 ‘2025년 의료 AI 데이터 활용 바우처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돼 연세의료원과 차세대 면역항암제 반응 예측 AI 솔루션 개발에 착수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고품질 의료 데이터 활용을 지원해 국내 의료 AI 기업의 연구개발과 상용화를 촉진하는 정부 핵심 과제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엔젠바이오는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를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AI 모델 개발을 위한 핵심 데이터 확보와 연구 협력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연구는 연세의료원이 보유한 5000명 이상의 대규모 고형암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된다. 엔젠바이오는 자사의 다중오믹스 분석 기술과 AI 역량을 결합해 기존 TMB(종양돌연변이부하) 등 단일 바이오마커의 한계를 넘어서는 다중 모달(Multi-modal) AI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면역항암제에 반응할 환자를 기존보다 30% 이상 높은 정확도로 선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발되는 AI 모델은 현재 국내 2025.09.29
일리아스바이오로직스, ILB-202 글로벌 1상 결과 국제학술지 JEV 게재
일리아스바이오로직스가 항염증 엑소좀 신약 후보물질 ILB-202의 1상 임상시험에 성공하고 그 결과를 국제세포외소포학회(ISEV) 공식 학술지 Journal of Extracellular Vesicles(JEV)에 게재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임상시험은 건강인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1상 임상으로 진행됐으며, ILB-202는 모든 용량군에서 안전성과 내약성을 입증했다. 면역세포의 과도한 자극이나 기능저하 없이 병적 염증 경로만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기전이 확인돼, 전신투여형 개량형 엑소좀 치료제의 전신 투여에 따른 치료제 활용 가능성을 처음으로 인체에서 입증했다는 점에서 업계와 학계의 주목하고 있다. 약물 투여 전후에 얻은 혈액의 단일세포 RNA 시퀀싱 분석 결과, ILB-202는 주로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단핵구세포 특이적으로 염증 반응의 핵심 경로인 핵인자 카파비(NF-κB)를 선택적으로 억제하고, 동시에 TGF-β 및 비스파틴(visfatin)과 2025.09.29
에이비엘바이오, 네옥 바이오 지분 투자로 이중항체 ADC 개발 본격화
에이비엘바이오가 100% 자회사인 미국 네옥 바이오(Neok Bio)에 42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했다고 29일 밝혔다. 네옥 바이오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기반으로 이중항체 ADC 파이프라인 ABL206 및 ABL209의 임상 개발을 자체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지난해 7월 이중항체 ADC를 포함한 차세대 ADC 개발 계획을 발표하고, 1400억 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실시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해당 자금을 바탕으로 ABL206 및 ABL209 미국 임상 1상 임상시험계획서(IND)의 연내 제출을 목표로 연구개발에 집중해 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ABL206 및 ABL209의 원활한 임상 개발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인수합병(M&A), 기업공개(IPO) 등 전략적 성장 로드맵을 주도적으로 실행할 목적으로 네옥 바이오를 설립했으며, 대표이사로 마얀크 간디(Mayank Gandhi) 박사를 선임했다. ABL206 및 ABL209의 비임상 연구와 임상시험계획( 2025.09.29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