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엘팜텍, 카이페리온과 하이브리드 로열티 금융 계약 체결
지엘팜텍은 의약품 자산기반 로열티 금융기업인 카이페리온과 자사 신약 파이프라인 및 신규발행 보통주를 대상으로 하는 총 11억원의 하이브리드형 로열티 금융을 체결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지엘팜텍은 개발 중인 안구건조증 신약(GLH8NDE)의 수익 권리 일부를 카이페리온에 부여하고 양사는 해당 신약의 신속한 상용화와 글로벌 라이센싱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카이페리온은 유망 신약 파이프라인의 분배권 일부 인수와 함께 지엘팜텍의 신규 유상증자에도 참여해 우호주주로서 실질적인 전방위 협업이 가능한 구조를 확보했다. 주식인수 투자를 통해 주주로 참여하면서 동시에 해당 회사의 개발 의약품 로열티에 대한 권리까지 확보하는 하이브리드형 로열티 금융은 국내에서는 생소하지만 이미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다양한 구조와 내용으로 실행되고 있는 신금융 모델이다. 로열티 금융은 신약 개발 기업에게 적시에 충분한 자금조달이 가능한 새로운 선진 금융기법으로 국내에서는 지엘팜텍과 카이페리온이 처음으로 선보이는 2020.09.22
메드팩토 김성진 대표, '만성골수성백혈병' 재발 및 내성 기전 규명
만성골수성백혈병(CML)의 재발과 항암제 내성의 원인인 암 줄기세포의 형성에 특정 지질 매개체(Lipid mediators)가 관여한다는 새로운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메드팩토는 김성진 대표가 연구에 참여한 만성골수성백혈병의 근본적인 치료법에 관한 논문이 세계적 권위의 온라인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번에 게재된 논문은 '만성골수성백혈병 줄기세포 형성에 관여하는 리소포스포리파아제 D 효소 gdpd3 유전자(The lysophospholipase D enzyme Gdpd3 is required to maintain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stem cells)'에 대한 것이다. 이번 연구에는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정밀의학연구센터장을 겸임하고 있는 김성진 대표 연구팀과 나카 가즈히도 일본 히로시마대 교수 등 국내외 암 전문가들이 공동 참여했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은 골수 내 비정상적인 세포 2020.09.22
삼성바이오로직스, 아스트라제네카와 CMO 장기공급 계약 체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아스트라제네카(Astra Zeneca)와 3억 3080만 달러(3850억원) 규모(최소보장금액 기준)의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장기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계약은 지난 6월 체결한 의향서(LOI, Letter Of Intent)에 대한 본 계약이다. 이번 계약 범위는 원제(DS) 생산 및 완제(DP) 바이오의약품 생산이 포함되어 진행됐다. 계약 금액은 향후 고객사의 수요증가에 따라 5억 4560만 달러(6349억원) 규모로 증가할 수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계약에 따라 아스트라제네카의 원제(Drug Substance)·완제(Drug Product)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대규모 상업 생산을 진행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해당 바이오의약품을 단일 공장 기준 세계 최대 생산 CAPA인 제3공장에서 생산할 예정이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보유한 세계 최고 수준의 바이오의약 2020.09.22
유병률도 안알려진 희귀질환 ATTR-CM…"빈다맥스로 환자들이 더 큰 희망 가지길"
제약회사 메디컬팀이 들려주는 약 이야기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근거중심의학을 넘어 맞춤의학의 시대가 오고 있습니다. 메디게이트뉴스는 정밀의료 시대를 맞아 의사들에게 올바른 처방정보를 제공하고자 다국적 제약회사의 의학부를 만나 최신 질환정보와 제품정보를 듣는 기획 시리즈를 마련했습니다. 이를 통해 평소 개원가에서 보기 어려운 질환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동시에 의약품 처방 시 도움이 되는 임상근거 자료를 쉽고 자세하게 풀어 환자 진료에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①다케다제약 림프종 치료제 '애드세트리스' ②사노피젠자임 B형 혈우병 치료제 '알프로릭스' ③길리어드사이언스 HIV 치료제 '빅타비' ④아스트라제네카 난소암·유방암 치료제 '린파자' ⑤릴리 편두통 예방 치료제 '앰겔러티' ⑥암젠 다발골수종 치료제 '키프롤리스' ⑦바이엘 간세포암 치료제 '넥사바' ⑧애브비 건선 치료제 '스카이리치 ⑨BMS 경구용 항응고제 '엘리퀴스' ⑩바이오젠 척수성 근위측증 치료제 '스핀라자' ⑪GSK HIV 2020.09.22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유방암 바이오시밀러 '투즈뉴' 유사성 입증
항체의약품 개발 전문 제약사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의 유방암 표적치료제 바이오시밀러 '투즈뉴(TUZNUE, HD201)'가 오리지널 의약품인 허셉틴(Herceptin)과의 유사성을 입증했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최근 진행된 유럽 종양학회 정기 학술대회(ESMO)에서 투즈뉴의 글로벌 임상 3상과 추가로 진행된 3군 임상 1상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회사에 따르면, 투즈뉴는 총 502명의 HER2 양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전 세계 13개국에서 임상을 진행해, 유방 및 액와부(겨드랑이) 림프절 종양이 완전히 소실된 환자의 비율(병리학적 완전관해율)과 유방조직 내 종양이 완전히 소실된 환자의 비율(유방조직 완전관해율) 평가에서 기존 표적치료제인 허셉틴과 각각 0.5%, 1.7% 이내의 반응 차이를 보였다. 이에 투즈뉴와 허셉틴은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을 입증하면서 현재까지 발표된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중 가장 높은 유사성을 보였다. 특히 규제기관에서 요구하는 비율검증 및 차이검증 조 2020.09.21
임핀지, 절제불가 3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서 4년 생존율 약 50%에 달해
임핀지가 절제불가 3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4년 생존율 약 50%에 달하는 전례 없는 생존 개선을 확인했다. PACIFIC 3상 임상연구 최신 업데이트에 따르면 임핀지는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 이후 질병이 진행되지 않은 절제불가 3기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에서 치료 4년 시점에서도 지속적이고 임상적으로 유의한 전체 생존(Overall Survival, OS) 및 무진행 생존(Progression-free Survival, PFS) 개선을 나타냈다. 비소세포폐암 환자 3명 중 1명은 3기에 진단되며 대부분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상태로 발견된다. 임핀지가 절제불가 3기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허가를 받기 전까지, 지난 십 수년 간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이 유일한 치료법이었다. PACIFIC 연구의 추적분석 결과 치료 4년 시점(1년 간의 임핀지 투약 완료 후 3년 시점)에서 나타난 임핀지 치료군의 전체 생존율(OS rate)은 49.6%로 위약군 36.3%보다 높았다. 임핀지 치료군 2020.09.21
우정바이오-미래의학연구재단, 업무협약 체결
우정바이오와 미래의학연구재단은 지난 18일 미래의학생명과학 및 헬스케어산업 부문의 혁신성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우정바이오와 미래의학연구재단은 ▲미래의학생명과학 산업부문 혁신성장을 위한 중소벤처기업 지원정책 수립 및 정책 제언 ▲산·학·연·병 현장의 지식·정보 공유 및 네트워크 확대 ▲유망 연구 및 상용화가 가능한 아이디어를 조기에 발굴 ▲오픈 이노베이션 체계 구축 등 헬스케어 산업 부문 중소벤처기업 R&D에 대하여 전략적 지원 시스템 확립을 위해 상호 협력한다. 미래의학연구재단은 미래 성장 동력 발굴을 목적으로 2016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설립 인가를 받은 비영리 재단법인으로 서울대학교병원 내에 위치하고 있다. 재단은 첨단 바이오 분야 유망 기술정보와 산업 동향을 분석하고 건강한 창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한미약품, 유한양행, 대웅제약, LG화학 등 국내 유수의 제약기업과 업무협약을 맺고 있다. 우정바이오 천병년 대표이사는 "우정바이오 신 2020.09.21
마크로젠-SK텔레콤-인바이츠헬스케어, 헬스케어 서비스 'care8 DNA' 출시
비대면으로 유전자 정보에 기반해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까지 받을 수 있는 구독형 헬스케어 서비스가 출시됐다. 정밀의학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은 SK텔레콤, 인바이츠헬스케어와 함께 국내 최초로 유전자검사 기반 구독형 헬스케어 서비스 '케어에이트 디엔에이(care8 DNA)'를 공동으로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care8 DNA는 마크로젠의 유전체분석 기술력에 SK텔레콤의 ICT플랫폼 역량과 인바이츠헬스케어의 건강관리 서비스 개발 역량을 모두 결집해 3사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출시했다. care8 DNA는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에 최적화된 신개념의 구독형 헬스케어 서비스로 만 19세 이상의 SK텔레콤 가입 고객이면 누구나 자신의 유전자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콘텐츠를 매달 제공받을 수 있다. 서비스 이용 가격은 시중 유전자검사 보다 50% 저렴한 총 9만 9000원으로 월 8250원(VAT 포함)을 12개월간 납부하면 된다. 이번에 출시한 care8 DNA는 서비스 전 2020.09.21
테라젠바이오, 암 백신 핵심기술 '신생항원 예측 알고리즘' 특허
테라젠바이오는 맞춤형 암 치료 백신의 핵심 기술인 '유전자 서열을 이용한 신생항원(Neoantigen) 예측 알고리즘'에 대해 특허를 취득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특허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HLA(인간백혈구항원)와 후보 물질인 펩타이드(아미노산 결합체) 간 결합력 및 해당 펩타이드의 면역원성(immunogenicity)을 예측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정식 명칭은 '펩타이드 서열 및 HLA 대립유전자 서열을 이용해 신생항원을 예측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이번 특허로 테라젠바이오가 개발 중인 신생항원 기반의 맞춤형 암 치료 백신에 대한 의료계의 기대감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 백신은 펩타이드나 수지상세포 등을 암 환자에게 맞춤형으로 투여, 생체 내 면역시스템을 활성화시켜 암세포를 제거하는 원리로 개발된다. 이를 위해서는 암세포 유전체 분석을 통해 특이 변이에 의해 생성되는 단백질들 중에서 극히 일부인 면역반응 유도 가능 신생항원을 예측해야 2020.09.21
방광암 면역항암제 치료시 PPI 사용 신중해야…사망·질병진행 위험 높이고 반응률 낮춘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암 환자에서 많이 사용되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가 면역항암제의 효능을 저해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에 따르면 면역관문억제제 티쎈트릭(Tecentriq, 성분명 아테졸리주맙)으로 치료받은 요로상피세포암(방광암) 환자에서 PPI 사용은 더 나쁜 예후와 관련 있었다. 호주 플린더스대학(Flinders University) 애슐리 홉킨스(Ashley Hopkins) 박사팀은 PPI 사용이 면역관문억제제 아테졸리주맙 또는 항암화학요법으로 요로상피세포암 환자의 생존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임상암연구(Clinical Cancer Research)에 발표했다. PPI는 위산역류, 속쓰림, 위궤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이다. 홉킨스 박사는 "최신 근거에 따르면 PPI는 면역 기능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에 중요한 변화를 일으킨다"면서 "변화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이 면역관문억제제의 효 2020.09.2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