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바이러스 확산·백신 CMO로 의약품 수출 100억달러 돌파 예상
올해 7월 보건산업 수출액은 총 20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1.6% 증가했으며, 특히 변이바이러스 확산에 따라 의료기기산업 분야가 큰 폭으로 성장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지난 30일 2021년 7월 월간 보건산업 수출 실적 및 하반기 수출전망을 발표했다. 보건산업 수출은 2019년 9월 이후 23개월 연속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2021년 월평균 수출액은 20억 달러(평균 20.6억 달러)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7월 산업별 수출액은 의약품이 7억 6000만 달러(+17.0%), 화장품 6억 6000만 달러(+11.6%), 의료기기 5억 9000만 달러(+42.9%) 순이었다. 국가별 보건산업 수출 순위는 중국이 4억 4000만 달러(+24.8%)로 가장 많았고, 미국(2억 6000만 달러(+36.1%), 일본 1억 4000만 달러(+3.9%), 베트남 1억 2000만 달러(+185.2%)로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해 2021.08.31
일동제약, UN SDGs 협회 '글로벌 지속가능 기업 100' 선정
일동제약은 지난 30일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특별협의지위기구인 UN SDGs 협회가 '2021 글로벌 지속가능 리더 및 기업 100'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UN SDGs협회는 인류가 직면한 사회, 경제, 환경, 기후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 설정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지원·확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2019년부터 '전 세계에서 가장 지속 가능한 리더 및 기업'을 매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올해의 경우 ▲포브스 글로벌 2000 ▲포춘 글로벌 500 ▲타임 100 ▲월스트리트저널 지속가능 100 ▲국제상공회의소(ICC) 보고서 ▲GRP(기후변화 대응 및 플라스틱 저감 가이드라인) 인증 기업 ▲각 기업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등을 토대로 세계 주요 리더 2000명과 기업 3000곳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UN SDGs 협회에 따르면, 일동제약은 ▲UN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 및 UN SDGs 이행 ▲지구환경 보전 및 2021.08.31
보령제약 장두현 신임 단독 대표이사 변경
보령제약은 30일 이사회를 열고 안재현, 이삼수 각자 대표이사 체제를 장두현 보령제약 경영총괄 부사장이 단독 대표이사로 변경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또한 이날 장두현 보령제약 경영총괄 부사장의 사장 승진도 함께 발표했다. 이번 이사회를 통한 대표이사 변경은 ‘중장기 경영전략과 2022년도 경영계획을 책임 있게 수행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그 배경을 밝혔다. 안재현, 이삼수 사장은 사내이사이자, 최고경영위원회 의장으로서 역할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보령제약은 "코로나19(COVID-19) 이후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맞춰 경영효율성 제고, 글로벌 경쟁력 강화, 성장 동력으로서 LBA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지난달 유상증자를 통해 약 1000억원의 투자 재원을 확보하는 등 중장기 성장 동력 발굴과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장 대표는 1976년생으로 1999년 미국 미시건대(앤아버) 경제학·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후 AT&T(Teleglobe) 재무팀, CJ그룹 경영전략실 등을 2021.08.31
[취재파일] 국회·제약바이오업계 '기술수출' 극단적 시각차, 이제는 머리 맞댈 때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이달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이자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으로 4년여간 활동한 조명희 의원이 제약바이오의 기술수출 내용에 대해 제약업계와는 사뭇 다른 시각의 보도자료를 냈다. 이는 보건복지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것으로, 지난 2012년부터 2021년 1월까지 국가신약개발재단 지원으로 개발된 신약기술 57건이 국내외로 기술이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이전 규모는 14조 8828억원이며, 이중 해외로 인전된 신약기술의 계약규모는 14조 6707억원(98.6%)였다. 국내 이전된 기술 계약규모는 2121억원(1.4%)이었다. 대부분 국내 제약업체들은 자체 파이프라인에 대한 임상을 1,2상까지만 하다가 자본력, 또는 경험, 노하우, 인력 등의 부족을 이유로 3상은 기술이전을 하는 비율이 높은 편이다. 이때 실현가능성 등은 어떤 회사에서 얼마에 사갔는지를 기준으로 두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2021.08.31
임상시험 의약품 안전 관리 강화…매년 'DSUR' 작성·보고 의무화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날로 증가하는 임상시험 참여자들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임상시험용 의약품에 대한 안전관리가 보다 강화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는 2022년 DSUR(최신 안전성 정보 보고·Development Safety Update Report, ICH E2F) 의무 보고를 앞두고 30일 DSUR 온라인 정책설명회를 개최했다. DSUR은 임상시험용 의약품에 대해 문헌, 비임상·임상 자료 등 안전성 정보를 수집·평가해 정기적으로 보고하는 제도로, 임상시험 참가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하는 것이다. 이날 제도 소개를 맡은 조혜경 신테카바이오 사장은 "미국, 유럽 등은 이미 국제적 기준(ICH E2F)에 따라 임상시험에 대한 연계보고를 해왔다"면서 "우리나라도 최근 임상시험발전 5개년 종합계획에 DSUR 의무화가 포함돼 올해 민원인 안내서를 발간했고, 내년 시행을 앞두고 있다"고 말했다. 조 사장은 "의약품 임상개발은 1,2,3상 등 5년 이상 걸리며, 2021.08.31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원격의료 활용 증가세...정신과, 만성질환 증가 전망
코로나19 팬데믹 여파로 원격의료를 허용해왔던 국가들에서 사용량이 크게 증가했으며, 이에 대한 투자가 활기를 띄면서 지속적인 성장이 이어질 전망이다. 26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글로벌 보건산업동향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진흥원이 글로벌 회계·컨설팅업체인 맥킨지(McKinsey) 보고서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미국의 원격의료 시장이 코로나19로 급격한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팬데믹 초기였던 2020년 4월에는 같은 해 2월 대비 원격의료 이용 횟수가 78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년 넘게 이어지는 팬데믹 상황에서 원격의료는 의료 서비스 제공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가상의료·하이브리드 가상의료·직접대면의료라는 새로운 의료 모델의 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이 같은 원격의료 사용 빈도수 증가 현상은 감염병 확산 방지 뿐만 아니라 원격의료를 사용하려는 소비자들과 원격의료를 활용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의사들, 원격의료를 보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의 2021.08.30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대표, 분자진단·유전체 '캔서롭' 최대주주
캔서롭은 한미사이언스 임종윤 대표이사(한국바이오협회 이사장)를 대상으로 약 2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30일 밝혔다. 발행되는 신주는 보통주 561만 4823주며, 한미사이언스의 보통주 27만 7778주를 현물로 출자받는 형태다. 이번 유증으로 임 대표는 캔서롭 증자 후 발행 주식 총수의 19.57%를 취득하게 된다. 출자 납입이 완료되면 캔서롭의 최대주주는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대표이사로 변경되지만, 캔서롭은 안정적인 사업을 위해 현 경영체제는 유지할 예정이다. 경영은 기존 최대주주이자 대표이사인 이왕준 명지병원 이사장과 황도순 각자대표가 맡고 있다. 캔서롭은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영국 옥스퍼드대 벤처의 스핀오프인 옥스퍼드백메딕스(Oxford Vacmadix)와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옥스퍼드백메딕스는 지분 43%를 가진 캔서롭이 최대주주다. 캔서롭 측은 "분자진단, 유전체 분석·면역세포기술 연구 경험과 옥스퍼스백메딕스와의 협업을 위해 투자를 진행했다"면 2021.08.30
SK바이오사이언스 코로나19 백신, 임상3상 피험자 투여 시작
SK바이오사이언스는 미국 워싱턴대학 항원디자인연구소(Institute for Protein Design, IPD)와 공동으로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GBP510'의 임상3상 시험 첫 피험자 투여를 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IND(임상시험계획) 승인 후 약 3주만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의 첫 임상3상 투약이다. 앞서 SK바이오사이언스는 건강한 성인 8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1/2상 stage1결과 GBP510과 면역증강제를 함께 투여한 투약군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중화항체가 100% 형성되는 것을 확인했다. 중화항체 유도 수준은 코로나19 완치자의 혈청 패널 대비 5배에서 최대 8배였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와 영국 국립바이오의약품표준화연구소(NIBSC)가 확립한 국제 표준물질과 평가법을 통해 측정한 수치다. 안전성 역시 투약 관련 중대한 이상반응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으며, 고령자까지 포함된 stag 2021.08.30
종근당 요양산업 진출…개인 맞춤형 요양원 '벨포레스트' 개원
종근당산업은 서울 강동구 강일동에 개인 맞춤형 요양원 벨포레스트를 개원한다고 30일 밝혔다. 입소는 오는 9월 2일부터다. 벨포레스트는 4929㎡ 규모(약 1491평)의 지하 2층, 지상 4층 건물에는 1인 1실로 배정되는 84개의 개인 침실과 물리치료실, 재활치료실, 가족면회실 등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내진설계 최고등급과 녹색건축 인증을 받아 자연재해와 화재 등에 대비했으며, 인근에 5호선 강일역과 벌말근린공원이 위치해 접근성이 높은 편이다. 벨포레스트에서 제공하는 재활특화 서비스는 물리치료사가 어르신들의 기능별 수준에 맞춰 1:1 맞춤으로 진행하는 전문적인 프로그램이다. 증강현실(AR) 시뮬레이션을 활용하는 인지재활과 최신 의료장비들을 사용하는 신체재활 등 체계적인 재활치료를 지원한다. 요양원 내에는 간호사실을 운영해 전문 인력이 개인별 맞춤형으로 치료·간호 서비스를 실시하고, 어르신 1.9명당 1명의 높은 비율(타기관 평균 2.5:1)로 요양보호사를 배정해 집중적인 돌 2021.08.30
제약산업 중 바이오의 성장가치↑…R&D 투자금 확대되지만 낮은 수익률 문제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제약산업의 무게중심이 바이오의약품으로 이동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에서도 바이오의약품 신약이 나오기 위해서 M&A, 기술(특허)이전, 아웃소싱 등 다양한 오픈이노베이션을 추진하고 민관의 투자 비용도 보다 확대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 사례로 살펴본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산업 R&D 동향 및 시사점(보건산업혁신기획팀 김용민, 정주석, 박인용)'을 주제로한 보건산업브리프를 발간했다. 글로벌 의약품 매출액 중 바이오는 29% 차지 이에 따르면 제약산업에서 유전자재조합단백질의약품, 생물학적제제,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항체의약품 등 '바이오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9년 기준으로 전체 글로벌 의약품 매출액 규모(9100억 달러) 중 바이오 규모는 29%(2660억 달러)를 차지했다. 코로나19 백신·항체의약품 등의 연구개발과 제약기업의 바이오 투자 확대 등으로 향후 5년 2021.08.3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