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0606:26

"단체행동 중단과 독단적 행동" 의대생 전체투표로 오는 10일 의대협 회장·집행부 탄핵 결정

대의원총회 부결된 이후 일반회원 정족수 500명 채워 발의...학생총회서 탄핵안 통과되면 비대위 체제 가능성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 조승현 회장과 각 의대 대표자로 구성된 집행부 탄핵안이 오는 10일 학생총회에서 다시 의결될 것으로 보인다. 의대생들은 의사 국시 문제 해결이 담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체행동 중단을 임의로 결정하고 일선 의대생들에게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조승현 회장과 집행부에 책임을 물었다. 5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대협 집행부에 대한 탄핵안이 일반 회원 정족수 500명을 채워 새롭게 발의됐다. 이번 탄핵안은 대의원회 의결없이 곧 바로 전체 의대생들의 투표로 결정된다고 명시했다. 앞서 지난달 27일 의대협 대의원총회에서는 탄핵안이 부결됐다. 당시 의대협은 의대생 회원 전체 투표가 이뤄지지 않았고 전체 의견수렴이 부족했다는 의견을 반영해 2주안에 추가적인 논의를 진행하겠다는 결론을 내렸다. 당시 탄핵 사유는 독단적 의사결정과 정보불균형이었다. 이번 탄핵안에 따르면 의대협은 탄핵안을 의결하기 위해 학생총회를 소집해야 하고

2020.10.0511:25

"택시기사의 비정상적 운행으로 의사국시 재응시...성적우수자 선발대가 실기시험 문제 복원"

민주당 강병원 의원, "의대생 국시 거부로 불공정한 절차 드러나...의대생 과도한 특혜 제도 개선해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강병원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은평을)이 2018년에 치러진 의사국시에서 지각자 처리가 부당하게 이뤄졌다고 지적했다. 지각자가 규정에도 없는 사유로 추가시험을 치른 것은 특혜라는 것이다. 5일 강병원 의원실이 한국의료인국가시험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당 응시생은 택시기사가 정상적인 경로로 운행하지 않아 지각할 수밖에 없었다면서 본인이 탔던 택시 영수증을 첨부해 구제요청을 했다. 국시원은 2018년 10월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에 지각자가 발생해 결시처리했으나, 해당 응시자와 소속 대학이 제출한 소명 및 사실관계를 검토해 재응시 조치를 결정했다고 해명했다. 국시원은 응시자 입장완료 시간을 시험 시작시간 35분 전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 시간까지 시험장 또는 대기실에 입장하지 못할 경우 결시 처리한다. 국시원은 이 사례가 발생한 이후 응급상황 매뉴얼을 개정해 ‘천재지변 등 불가항력적인 사유로(재난, 사고, 대중교통 지연 등) 인해 지참, 결시자 발생 시 관

2020.10.0505:45

전공의들이 바라보는 의대생 국시 문제, 의정협의체 1안건 vs 범투위 투쟁 안건으로 논의

대전협 회장 후보자 토론회, "의대생들 의견 존중...일선 전공의들 소수 의견도 귀 담아듣도록 의사소통 구조 개선" 메디게이트뉴스 주최 대한전공의협의회 회장 후보자 토론회 ①"전공의들, 의협회무 감시하겠다" 전공의 대의원수 25석 이상 vs 최대집 회장 24시간 보좌 ②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수련병원별 전공의 노조 설립하고 전공의법 개정으로 수련비용 지원 ③전공의들이 바라보는 의대생 국시 문제, 의정협의체 1안건 vs 범투위 투쟁 안건으로 논의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본과4학년 의대생들의 의사 국가시험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난달 전공의 파업이 마무리됐다. 그렇다면 대한전공의협의회 회장 후보자들은 의대생들의 국시 미응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 수 있을까. 기호 1번 김진현 후보는 의정협의체 첫 번째 안건으로 의대생 국시 응시 문제 해결부터 나서겠다고 밝혔다. 기호 2번 한재민 후보는 범투위 회의를 통해 의대생 국시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투쟁 안건으로 올리겠다고 했다. 김진현 후보, 의정협의체 1안건으로 의대생 국시 문제 해결 기호 1번 김진현 후보는 “의료계의 후배인 의대생

2020.10.0505:45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수련병원별 전공의 노조 설립하고 전공의법 개정으로 수련비용 지원

대전협 회장 후보자 토론회, "전공의들 처우 개선하고 값싼 근로자에서 피교육생으로 인식 전환 이뤄져야" 메디게이트뉴스 주최 대한전공의협의회 회장 후보자 토론회 ①"전공의들, 의협회무 감시하겠다" 전공의 대의원수 25석 이상 vs 최대집 회장 24시간 보좌 ②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수련병원별 전공의 노조 설립하고 전공의법 개정으로 수련비용 지원 ③전공의들이 바라보는 의대생 국시 문제, 의정협의체 1안건 vs 범투위 투쟁 안건으로 논의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대한전공의협의회 회장에 출마한 두 후보자들은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을 위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기호 2번 한재민 후보는 전공의들이 피교육생보다 근로자로 인식되는 환경 개선을 위해 수련병원별 전공의 노조 설립을 강조했다. 기호 1번 김진현 후보는 전공의법 개정을 통해 전공의 수련환경을 개선하고 수련에 대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재민 후보, 전공의 처우 개선에 수련병원별 노조 설립 필요 기호 2번 한재민 후보는 근로자 신분의 전공의들이 정작 근무 시간과 급여에서 존중받지 못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해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