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109:24

응급실에만 책임 묻는 '응급실 뺑뺑이', 해외는 달라…"구급대와 병원 간 '분절' 해결해야"

소방청과 복지부, 병원 전과 병원 정보 수집·교환 원활하지 않아…의정연 "응급이송 책임질 조직 필요" [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응급실 뺑뺑이가 연일 논란이 되면서 정부와 국회가 응급실이 응급환자를 원천적으로 거부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내놓으며 마치 해당 문제의 원인이 의료기관에 있는 것 처럼 비춰지고 있다. 하지만 해외의 경우 한정된 자원으로 인해 무한대로 제공할 수 없는 '응급의료'의 특성을 고려해 응급의료 현장에서 병원까지 이송되는 '응급이송체계'에 초점을 맞춰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1일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이 발간한 '응급이송체계의 문제에 대한 분석과 해결방안 연구'이 해외 응급의료체계를 비교해 우리나라가 응급환자 이송 지연이 발생하는 원인은 분절적인 응급이송체계에 있다고 밝혔다. 응급실에만 책임 묻고, 응급실이 '무조건 수용' 해라?…해외는 '응급이송체계'에 초점 맞춰 최근 응급실 뺑뺑이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함께 정부가 본격적인 대책을 논의하기 시작한 것은 2023년 3월 대구에서 발생한 10대 중증외상 환자 사망 사건이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