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1.10.04 11:42

은행, 가계대출 700조 시대…추가 규제 앞두고 수요 몰렸다




[아시아경제 김진호 기자]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추가 규제가 예고된 가운데 이른바 '대출 막차'를 타기 위한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국이 가계대출 총량 관리 강화에 총력을 기울인 만큼 이달부터 연말까지 '대출 기근' 현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신한·KB국민·우리·하나·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이 취급한 가계대출 잔액은 702조887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보다 4조728억원 늘어난 규모다.
가계대출 잔액을 살펴보면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497조4174억원으로 8월 말(493조4148억원) 보다 4조26억원 늘었다. 이는 올해 들어 월간 기준 최대 증가 폭이다. 집값이 계속해서 상승세를 이어가는 데다 대출이 막힐 것을 우려해 서둘러 받으려는 수요가 반영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실제 주요 시중은행 일선 창구에는 대출 실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묻는 문의가 하루에도 수십 건씩 이어지는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빚투(빚 내 투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영향에 급증해오던 신용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140조9999억원을 기록해 8월 말(140조8942억원) 보다 1057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은행권이 신용대출 한도를 연 소득의 100% 수준으로 축소하고 마이너스통장 한도를 대부분 5000만원 이하로 제한한 영향이 크다.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이 700조원을 넘어섰지만, 이달부터는 증가 속도가 확연하게 줄어들 전망이다. 은행권이 연쇄적으로 대출 조이기에 들어간 만큼 연말로 갈수록 대출은 더 막힐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은행은 지난달 29일부터 전세자금대출의 대출한도를 임대차계약 갱신시 임차보증금 증액금액 범위 내로 운용하기로 했다. 하나은행 역시 전세자금대출 한도를 임차보증금 증액 범위 이내로 줄이는 것을 내부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은행은 모집인 채널을 통한 대출상품 판매를 중단했다.
산림조합중앙회는 연말까지 가계대출 총량 증가율 목표를 준수하기 위해 비조합원과 준조합원에 대한 신규 전세자금대출과 주택담보대출을 중단하는 방안을 이번 주 결정할 계획이다.
한편 금융당국은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5~6%대로 관리한다는 목표치를 세웠는데 이미 5%대에 진입한 만큼 강력한 추가 규제도 예고하고 나선 상황이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 규제의 조기 시행과 전세대출 규제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김진호 기자 rpl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