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0.09.08 06:40최종 업데이트 20.09.08 06:40

제보

메드팩토 김성진 대표 "한국 바이오 가장 큰 챌린지 직면…기회로 만들어가야"

중국의 빠른 성장 기회도 위협도 될 수 있어…국가 차원의 관심과 기술개발 노력·전문인재 양성 등 시급

사진: 기조연설 중인 메드팩토 김성진 대표.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앞으로 대한민국의 경제발전은 제약바이오 분야가 주도하게 되며, 특히 희귀질환, 당뇨 관련 질환, 진단,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첨단바이오 산업 분야 등이 시장을 이끌어 갈 것입니다. 정부를 포함해 산업계, 투자자, 학계가 노력해야만이 여러가지 챌린지를 기회로 만드는 단계로 갈 수 있습니다."

메드팩토 김성진 대표가 7일 열린 글로벌 바이오 컨퍼런스 2020(GBC 2020)에서 'K바이오 벤처, 나아갈 방향과 미래'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이같이 밝혔다.

김 대표는 "전 세계 바이오 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강화되고 있다. 지난 10년간 투자 비용을 보면 중국은 600% 증가했고, 2008년에서 2018년까지 일반의약품(OTC)뿐 아니라 오리지널 브랜드의약품까지 상장히 성장했다. 신약허가 수 또한 2016년 3개에서 2017년 38개, 2018년 40개로 급증하는 등 인허가 과정도 정책적으로 상당히 많은 변화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아무리 좋은 기술이 있다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이끌 전문인력이 필요하다. 중국은 정부가 정책적으로 해외 유학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해외에서 중국으로 유입된 인재를 통해 바이오 전문인력을 많이 배출했다"면서 "네이처 인덱스를 보면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특허를 출원한 국가 2위가 중국이다. PCT 출원 수는 2019년 정점을 찍었고, 2020년 전반기를 보면 중국이 글로벌 톱이었다. PCT 출원 시 지방 정부에서 많은 보조비가 나오는데, 이것이 중국에서 기술 혁신을 가져오는 중요한 포인트가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미국의 한 설문기관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10년간 생명과학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할 국가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4%가 중국을 꼽았다. 중국은 우리에게 기회가 될 수 있지만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면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K바이오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제약바이오 산업 전 분야에 대한 국가 차원의 관심과 기술 개발 노력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한 바이오 전문 인재 양성 등이 시급하다고 했다.

바이오에서 집중 공략해야 할 분야로는 암, 희귀질환, 당뇨병, 진단, 인공지능 등 5가지를 꼽았다.

김 대표는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암으로 인한 사망률보다 높지만, 제약시장에서 보면 항암제 판매량이 훨씬 높으며, 2024년까지 연평균 1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면서 "우리는 아직 항암제 독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고, 같은 약이라도 반응이 있는 사람도 없는 사람도 있으며, 췌장암이나 뇌종양처럼 치료가 어려운 질병이 있다. 이 분야에 대한 혁신적인 약을 개발하면 시장에 들어갈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희귀의약품의 경우 인센티브가 많기 때문에 2010년부터 희귀질환 분야에 대한 투자가 상당히 이뤄졌고 예전과 달리 상당히 매력적인 약을 개발하는 분야라고 했다. 당뇨병은 2045년이 되면 2010년보다 전세계적으로 환자가 51% 증가해, 환자 수가 약 7억명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 혁신적인 약 개발이 필요하다. 진단시장에서는 치료 옵션을 결정하는 유전자 검사에 대한 시장이 매년 17~18%씩 증가하고 있으며, 면역항암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료 결정을 내리는 진단법 시장도 각광받고 있다.

김 대표는 "인공지능(AI) 은 약을 개발하는 초기부터 승인되고 판매되기까지 전 과정에 사용될 수 있다. 글로벌 제약사들은 이미 IT기업들과 파트너십 또는 인수로 첨단 바이오 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융합에 속도를 내고 있다"면서 "기전 연구, 신약 후보물질 발굴, 임상시험 등 다양한 분야에 AI 기술이 더해지면 기술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다"고 전망했다.

마지막으로 김 대표는 "한국 바이오는 지금 가장 큰 챌린지에 와 있다. 기술력과 맨파워 확보 등 과연 우리나라의 제약산업 자체가 지속해서 성장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있다. 글로벌 신약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어떤 분야의 약을 개발할지에 대한 연구도 철저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인공지능과 제약업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도 해야 한다. 코로나19가 우리에게 기회가 될 수도 위협이 될 수도 있다"면서 이러한 챌린지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 정부를 포함해 산업계와 투자자, 학계가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박도영 기자 (dypark@medigatenews.com)더 건강한 사회를 위한 기사를 쓰겠습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