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테카바이오가 미국 보스턴 소재 나스닥 상장사와 약 10억규모의 단일판매 공급계약을 성사시켰다고 12일 발표했다.
신테카 측은 "유효물질 발굴 서비스에 대한 단일 계약 MSA(Master Service Agreement)의 후속조치에 해당되는 SOW(Statement of Work) 계약으로 MSA에 따른 SOW의 계약 규모는 3개 유효물질 발굴 포함 약 10억 원 정도다"면서 "이미 1개 표적을 받았고, 내년 1분기 중에서 추가로 2개 표적을 받기로 합의됐다"고 말했다.
고객사인 보스톤 소재 바이오텍 회사는 질병의 원인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표적 단백질 분해(TPD) 분야를 선도하며, 시총 3조원 규모의 나스닥 상장 기업이다.
일반적으로 TPD는 ▲타깃 단백질에 결합하는 리간드(워헤드) ▲E3 리가아제에 결합하는 리간드(바인더) ▲두 단백질을 연결하는 링커' 로 구성되는데, 이번 계약을 통해 신테카바이오는 '타깃 단백질에 결합하는 리간드(워헤드)를 발굴'하는 역할을 한다.
신테카바이오는 자체 개발한 언어모델기반 130억개에 대한 화합물 라이브러리 버추얼 스크리닝 및 파인튜닝에 해당하는 인공지능(AI) 신약플랫폼 딥매처(DeepMatcher)로 결과를 도출한다. 언어모델 기반의 대규모 스크리닝의 특징은 130억개 화합물 스크리닝을 하는데 단지 3시간 밖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목표는 유효물질이 나올때까지 생성형 AI 스타일로 100차례이상 반복으로 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한번도 유효물질이 발굴된 적이 없는 새로운 표적의 유효물질도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신테카는 TPD 리간드(워헤드)같은 발굴하기 까다로운 경우까지 찾아낼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면, 언어모델의 확실한 검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현재 신테카는 자동으로 100차까지 연속해서 새로운 물질을 생성할 수 있는 준비가 거의 끝나가고 있으며, SaaS(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의 일환으로 수많은 추가 내부 테스트를 거치고 조만간 출시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TPD는 질병의 원인이 되는 표적 단백질을 제거하는 기술로, 차세대 신약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의 과감한 투자가 이뤄지고 있어 이번 프로젝트의 성공을 통해서 TPD 신약개발 분야를 선도하는 AI 신약개발 플랫폼 개발 회사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신테카바이오 관계자는 "최근 자체 AI 신약개발 플랫폼인 딥매처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기존보다 더 다양한 구조의 유효 화합물을 도출할 수 있게 됐고, 표적에 대한 결합 특이성을 확인할 수 있다"면서 "단백질-화합물 간 구조 정보가 공개되지 않은 대상들에 대해서도 유효물질을 탐색하고 최적화할 수 있게 되어 기존 AI 기반의 저분자 물질 탐색, 최적화의 한계를 극복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