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3.11.12 20:52최종 업데이트 23.11.12 20:52

제보

전공의 모집 임박...지방행 수련보조수당 추가 지급, 젊은 의사 분위기는 '냉랭'

전북, 강원도, 제주도 필수의료과 전공의에 100만원 수당 지원…지방 기피 이유 '돈' 아냐, 수련의 질 향상 노력 필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2024년도 전공의(레지던트) 모집이 11월 20일 모집공고를 기점으로 오는 12월 4일부터 6일까지 진행된다. 

각 수련병원들도 전공의 모집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전공의 지원율을 높이기 위한 홍보 포스터와 모집 설명회 등을 열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에 비해 열악한 일부 지방 지자체에서는 전공의 유인을 위해 월 추가 수당을 내거는 곳도 있지만 전공의들의 반응은 차갑기만 하다.

전라북도, 강원도, 제주도 전공의에 100만원 수당 지원으로 '전공의 모시기' 나서

최근 제주도가 내년부터 14개 진료과목에 월 100만원씩 수당을 지원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본예산 편성과 집행을 위한 도 자체 심의와 의회 심의를 앞두고 있다.

제주도는 고향사랑기부금에서 전공의 수당 신설을 위한 예산 6억 원을 마련해 소아청소년과, 내과, 외과, 흉부외과, 응급의학과 등 14개 필수 진료과목 전공의에게 내년부터 월 100만원씩 수당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제주대병원의 경우 올해 17개 진료과목에서 전공의 31명을 선발할 예정이었지만 소아청소년과뿐 아니라 흉부외과와 응급의학과 등 5개 진료과목에서 정원을 확보하지 못했다. 비뇨의학과와 이비인후과는 아예 전공의가 없는 상황이다.

전라북도는 이미 2022년도 전국 최초로 ‘필수진료과 인재육성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이에 전북대병원, 원광대병원, 예수병원 등 전라북도 3개 수련병원은 2023년부터 2025까지 3년간 소아청소년과·흉부외과·외과·산부인과·비뇨의학과·결핵과 등 12개 필수 진료과 전공의에게 1인당 월 100만원의 육성 수당을 추가 지급한다.

3년간 총 11억 7600만원의 예산이 들지만 전라북도는 전북대병원·원광대병원·예수병원 필수진료과의 1년 차 전공의 충원율이 산부인과와 병리과 0%, 소아청소년과 25%, 핵의학과 50%, 외과 57% 등 저조한 상황에서 발 빠르게 수련병원과 협약을 맺어 ‘필수진료과 인재 육성 시범사업’을 결정했다.

강원도도 올해 5월부터 도내 대학병원 춘천 강원대병원·한림대 춘천성심병원·원주세브란스병원·강릉아산병원 등 4개의 수련병원 전공의들에게 월 10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예산은 전체 수당의 30%를 강원도가 부담하고, 나머지 70%는 병원이 자리한 지자체인 춘천, 원주, 강릉시가 나눠 부담한다.

대구 소재 계명대학교 동상병원은 병원이 자체적으로 수련보조수당 지급을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지자체와 지역의 대학병원들이 자체적으로 수당을 지급하는 등 '전공의 모셔오기'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전공의들의 수도권 쏠림 현상 때문이다.

실제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현영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4∼2023년 23개 진료과목(결핵과, 예방의학과 제외) 전공의 모집 정원 중 61.6%가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몰려있었다.

서울이 39.28%를 차지했고, 경기 17.91%, 부산 7.55%, 대구 6.38%, 인천 4.21% 등이었다. 울산, 전남, 경북, 제주 등은 1% 수준으로 극히 낮았던 것이다.

지방, 수도권과 비교해 교수 부족·환자 적어 수련의 질 차이…단순 수당으로 의사 유인 '넌센스'

하지만 지역 수련병원을 선택하면 수당을 더 받을 수 있다는 인센티브에도 젊은 의사들의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수도권 소재 모 대학병원 전공의는 "수당을 더 줘서 지방에 전공의가 늘어날 것이라는 발상 자체가 의사들은 정말 돈만 많이 주면 어디든 갈 것이다 라고 생각하는 사고와 맞닿아 있다고 본다"며 "전공의들이 수도권 대학병원에서 수련 받기 원하는 이유는 수련의 질이 다르기 때문이다. 환자가 많은 빅5병원에서 수련을 받아야 접할 수 있는 케이스도 많고, 배울 수 있는 것도 많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해당 전공의는 "정부에서는 의대 정원을 늘려서 필수의료로의 낙수효과를 노린다고 하는데, 이런 이야기를 듣는 젊은 의사들 사이에서는 낙수과 지원 금지 운동이라도 하자는 이야기도 나온다. 오히려 수련을 포기하고 의사 면허를 따자마자 미용과 성형쪽을 먼저 경험하려는 후배들이 많은 상황에서 당장의 100만원 수당이 어떤 의미가 있을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정부도 필수의료인 소아청소년과 전공의와 전임의에게 월 100만원의 수련 보조 수당을 지급하기로 했지만 당사자인 젊은 의사들은 한 달 100만원을 더 받기 위해 미래가 불투명한 소청과에 지원할 생각이 없다며 냉소적인 반응을 보인 바 있다.

또 젊은 의사들은 최근 지방 대학병원 교수들의 줄 사퇴로 교수들마저 당직을 서는 상황에서 지방 대학병원에서 수련을 받으면 과도한 업무량에 부딪힐 수 있다는 우려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소재 모 대학병원 외과 교수는 "이미 우리 병원뿐 아니라 인근 국립대병원에서도 전임 교수를 구하는 것이 하늘의 별따기가 됐다. 의사 구인난으로 교수가 당직을 서는 것이 당연한 일이 된 상황에서 전공의들에게 우리 과로 오라고 하기가 굉장히 어렵다"고 전했다.

대한의사협회 김이연 홍보이사는 역시 "실제로 수도권 대학병원과 지방 대학병원 간의 수련의 질을 따져보면 차이가 크다. 지방에서는 6개월에 1건 정도 하는 간 이식을 서울 빅5병원에서는 한 달에 3건씩 경험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수련의 질이 완전히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며 "전공의들이 지방 대학병원을 기피하는 원인에 대한 파악부터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김 이사는 "특히 전공의 시절 수련을 어디서 받느냐는 향후 해당 의사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기에 단순히 수당 100만원으로 젊은 의사들을 유인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근본적 시스템 개선을 통해 전공의들의 수련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조운 기자 (wjo@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