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정부의 미등록 시 제적 압박에 등록 후 투쟁으로 선회한 연세의대, 고려의대, 울산의대 등 수도권 의대 대표자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에도 투쟁을 지속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들은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3058명으로 조정한 것 역시 '협박'에 불과하다며 잘못된 정책에 대한 책임 및 해결을 위해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 투쟁 방향성을 존중하고 함께 투쟁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9일 가톨릭대, 고려대, 성균관대, 연세대, 울산대 의과대학 학년 대표자들이 공동성명서를 통해 투쟁을 지속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지난 3월 7일 교육부와 대학 총장들은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해 3월 말까지 수업에 복귀하면 의대 정원을 3058명으로 조정하겠다고 밝히며 미등록 시 제적 등으로 의대생들을 협박혔다.
이에 가톨릭의대, 고려의대, 성균관의대, 연세의대, 울산의대 등 5개 의대들은 등록 후 투쟁으로 방향성을 선회하는 선택을 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대표자들은 타 학교와의 약속을 어긴 것이라며 깊은 사과를 전하며 등록을 했다하더라도 투쟁은 끝가지 이어가겠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정부와 대학 총장들은) 의사 수가 부족하니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면서도, 미래세대 의료를 이끌어나갈 의대생들을 학교 밖으로 내몰았다. 개인의 선택을 존중해야 한다고 역설하면서도 정해 놓은 선택만을 강요하며 다른 선택을 하는 이들은 학교에서 도려내버리겠다고 위협하는 모순적 행태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문제의 본질은 어디로 갔나? 잘못된 정책은 수정됐나? 잘못된 정책을 무리하게 추진한 당사자는 합당한 책임을 졌나?"라며 "책임질 사람은 교묘히 빠져나간 채 누군가 의도한 것마냥 학내 갈등만이 전면적으로 부추겨졌다"고 말했다.
물론 지난 4월 4일 윤석열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윤 정부의 의료개혁 문제에도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한 상황이다.
대표자들은 "의학교육의 특성상 증원된 25학번에 더해 24학번까지 적체돼 발생하는 교육 파행은 단지 의대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전공의 수련과 전문의 배출까지 전 과정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나아가 대한민국 의료 전체에 치명적 위기를 만들 것임을 우리도, 정부도, 국민도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금까지도 이에 대한 책임 있는 실질적인 해결 방안은 제시된 바 없다"며 "작년 2월부터 우리가 일관해 지적해 온 필수의료 정책 피키지의 백지화 또는 수정 논의 역시 어떠한 진전도 없이 표류하고 있다. 의료 현장의 우려와 비판이 계속돼 왔음에도 이를 수용하려는 정부 노력은 찾아볼 수 없다"고 전했다.
대표자들은 "불합리한 사태의 해결과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하고 공정한 논의 구조와 거버넌스 구축에 대한 정부의 진정성 있는 노력은 아직 시작조차 되지 않았다"며 "의학교육과 의료현장의 파행 책임은 누구에게 있나? 그 해결은 언제, 누구에 의해 시작되나? 대한국민이 누려왔던 의료의 질은 과연 지켜질 수 있나?"라고 분노했다.
이에 5개 의대 대표자들은 의대생협의 투쟁 방향성을 존중하고 투쟁을 지속한다고 선언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