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0.04.08 19:51최종 업데이트 20.04.08 21:09

제보

"렘데시비르·하이드록시클로로퀸, 코로나19 치료 긍정적...칼레트라·아비간은 근거 부족"

서울의대 코로나19 과학위원회 웹사이트 게재, 소발디·아라렌 등도 실험실 연구에서 효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COVID-19)치료제로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된 약물은 아직 없지만, 기존 약물에서 임상시험을 통해 효과를 발굴하는 '약물재창출'이 가장 빠른 방법으로 기대되고 있다. 

서울의대 코로나19 과학위원회는 치료제와 관련해 여러 문헌을 고찰한 결과를 6일 웹사이트(http://medicine.snu.ac.kr/en/node/25377)에 공개했다. 과학위원회에 따르면, 현재까지 연구결과에서 '렘데시비르'와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을 긍정적으로 해석한 반면 '칼레트라', '아비간', '아르비돌' 등은 아직 임상 근거가 부족하다고 밝혔다. 

서울의대 코로나19 과학위원회는 우리나라 전체 코로나19 확진환자가 1만 명을 넘었고 사망자도 계속 늘어가고 있으나, 코로나19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정보가 부족하다는 판단으로 학내외 전문가 31인의 위원회를 구성해 보다 과학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개설됐다. 

과학위원회는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해 무엇보다 안전성에 대한 이슈가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학위원회는 “항바이러스 치료제의 기전의 대부분은 바이러스가 인체의 숙주 세포를 통해 증식하기 위해 필요한 유전자 복제와 단백질 합성의 핵심 단계를 저해하는데 있다”라며 “기존의 에볼라, 인플루엔자, 간염 바이러스 등에 사용되어 온 치료제 중에 RNA의존 RNA 중합효소(RNA dependent RNA polymerase, RdRp) 또는 핵산의 작용을 방해하는 것들은 RNA 복제 과정을 억제해 코로나19에도 치료효과를 보일 것”으로 밝혔다.

대표적으로 코로나19 치료제로 꼽히고 있는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제인 길리어드의 렘데시비르(Remdesivir)는 현재 미국, 프랑스, 중국 등에서 중등도 및 중증 코로나19 감염환자 8500여명에 대해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과학위원회는 “렘데시비르는 효과 측면에서 대식세포, 혈관 내피 세포 등 다양한 사람 세포 내에서 에볼라 바이러스를 포함한 여러 RNA 바이러스의 복제를 막는 것이 실험실(in vitro) 연구에서 증명됐다”라며 “원숭이 실험에서 생존률 증가와 바이러스 수치의 유의미한 감소가 관찰됐다. 다만 안전성 측면에서 사람 대상 연구에서 간수치 증가가 확인됐다”라고 해석했다

말라리아 치료제 클로로퀸이 우리나라 유통되지 않아 유사한 적응증에 사용하는 사노피 아벤티스의 ‘하이드록시클로로퀸’ 성분 플라퀘닐(Plaquenil)이 언급되고 있다. 

과학위원회는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은 실험실 연구(In vitro)에서 감염증을 저해하는 효능이 좋은 것으로 확인됐다. 기존의 경구제가 아닌 에어로졸의 형태로의 개발도 연구 중에 있으며, 항생제 아지트로마이신(azithromycin)과의 병용요법에 대한 연구 등도 진행 중에 있다”고 했다.

C형간염 치료제인 길리어드의 소발디(Sovaldi)도 코로나19의 원인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는 기전을 가진 약으로 나타났다. 과학위원회는 “소발디는 실험실 연구(In vitro)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에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했다.

말라리아 치료제 사노피아벤티스의 아라렌(Aralen)은 말라리아 치료에서 항바이러스 효과와 더불어 항염증 효과를 인정받은 약이다. 과학위원회는 “아라렌은 실험실 연구(In vitro)에서 코로나19 감염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저농도에서 확인했다”라며 “중국의 가이드라인 상에는 이미 코로나19 치료제로써 추천되고 있으며, 데이터를 공개하지는 않았으나 임상시험도 진행 중에 있다”이라고 설명했다.

에이즈 치료제 애브비의 칼레트라(Kaletra)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전사와 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분해효소(3CLpro or Mpro)의 작용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효과가 기대됐다. 그러나 과학위원회는 “최근 중국에서 199명의 중증 코로나19 환자 대상에게서 유의미한 치료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고 밝혔다.

A형 신종인플루엔자 치료제(H1N1)인 일본 후지필름도야마(富山)화학의 아비간(Avigan)도 중국, 일본 등에서 검토되고 있다. 과학위원회는 “중국 선전시와 우한시에서 32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에서 고무적인 효과를 거둔 것으로 보도됐으나, 아직 임상적 근거는 부족하다”고 했다.

인플루엔자 치료제인 러시아 JSC 팜스탠다드의 아르비돌(Arbidol)은 바이러스가 우리 몸에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과학위원회는 “이 약은 소수의 나라에서 코로나에 사용하는 것이 허가됐으나, 아직 그 효능과 안전성이 규명돼 있지 않다”고 밝혔다.

간염 치료제 MSD의 리바비린 성분 레베톨(Rebetol)은 광범위한 항바이러스제로, 주로 간염 치료에 사용된다. 과학위원회는 “레베톨은 메르스 유행 당시 효과를 보였으나, 해당 용량의 독성 때문에 사용은 어려웠다”라며 “코로나19에 대한 효과 규명을 위해 임상시험 중에 있다”라고 했다. 이어 “국내 가이드라인에는 우선 칼레트라와 항말라리아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돼있고, 듣지 않을 경우 본 약제와 인터페론제제를 사용하게 돼있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 인플루엔자 치료제인 길리어드의 타미플루(Tamiflu)는 현재 싱가포르에서 코로나19에 사용이 허가된 상황이며, 아직은 그 효과를 입증 중에 있다. 에이즈 치료제 얀센 프레즈코빅스(Prezcobix)는 단백질분해효소(HIV-1)를 저해하는 약물로 중국에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한편, 서울의대 코로나19 과학위원회(31명)는 예방의학교실 강대희 교수를 위원장으로 역학, 통계학, 의료관리, 감염내과, 호흡기학, 임상약리 교수 등 12인의 학내교수를 위원으로 위촉했다. 중앙임상위원장인 감염내과 오명돈교수와 전 질병관리본부장인 이종구 교수는 고문위원으로 임명했다. 외부위원으로는 충남의대 감염내과 김성민 교수, 가천대 길병원 조용균 교수, 영남대병원 호흡기 내과 신경철 교수 등을 포함해 9인을, 외부자문위원으로는 경북대병원 정호영 원장, 인천의료원 조승연 원장, 명지병원 이왕준 이사장 등 8인의 병원장 등을 위촉했다. 

임솔 기자 (sim@medigatenews.com)의료계 주요 이슈 제보/문의는 카톡 solplusyou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