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선별진료소 531곳 명단(1월 31일 기준)
질병관리본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선별진료소 현황(20년 1월 31일 18:00 기준) 연번 시도 시군구 선별진료소 전화번호 1 서울 강남구 강남구보건소 02-3423-7200 2 서울 강남구 삼성서울병원 02-3410-2114 3 서울 강남구 연세대학교의과대학강남세브란스병원 02-2019-3114 4 서울 강동구 강동경희대학교의대병원 02-440-7000 5 서울 강동구 강동구보건소 02-3425-6655 6 서울 강동구 성심의료재단강동성심병원 02-2224-2114 7 서울 강동구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중앙보훈병원 02-2225-1111 8 서울 강북구 강북구보건소 02-901-7604 9 서울 강서구 강서구보건소 02-2600-5469 10 서울 강서구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부속서울병원 1522-7000 11 서울 관악구 관악구보건소 02-879-7103 12 서울 관악구 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02-1877-8875 13 서울 광진구 광진구보건소 02-450-1998 14 서울 2020.02.01
한국유나이티드제약, 항혈전 복합제 '클라빅신듀오캡슐' 일본 특허 획득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은 지난 14일 일본 특허청으로부터 '클라빅신듀오캡슐(아스피린∙클로피도그렐 복합제)' 원천 기술의 특허 등록을 결정받았다고 31일 밝혔다. 해당 기술은 지난해 9월 국내 특허청에 등록된 특허(등록번호 2024699, 2037년 3월16일)와 동일하며 허가의약품 '클라빅신듀오캡슐', '클라빅신듀오캡슐 75/75밀리그램'과의 직접적 연관성을 인정받아 지난달 국내 의약품특허목록집에 등재됐다. 심근경색, 뇌졸중, 말초동맥질환 등으로 잘 알려진 죽상경화성 혈관질환은 혈관 내막에 콜레스테롤, 염증물질 등이 축적돼 생긴 죽종이다. 혈관이 좁아지고 혈액 흐름이 막혀 발생한다.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및 심방세동 환자에게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 투여 시 50% 이상이 아스피린(Aspirin)을 병용 투여하는 점에 주목하여 복약 편의성이 개선된 항혈전 복합제 클라빅신듀오캡슐을 개발했다. 특히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자체 기술인 '타페 캡슐'(TaPe capsule 2020.01.31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균 분리, 첫 환자 발생
질병관리본부는 전남 영광군, 제주시 산지천 해수(1월13일 채수)에서 올해 첫 번째로 비브리오패혈증균을 분리했고 지난 17일 올해 비브리오패혈증 첫 확진환자가 신고돼 예방을 위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31일 밝혔다. 질병관리본부가 운영하는 '해양환경 내 병원성 비브리오균 실험실 감시사업'의 일환으로 전라남도 보건환경연구원 및 국립제주검역소가 지난 13일 채수한 해수에서 비브리오패혈증균을 첫 분리(1월17일)했다. 올해 처음 신고 된 환자(82·여성)는 지난 8일 발열, 구토, 설사, 복통 등 증상이 발생했고 현재 입원 치료 중에 있다. 올해는 비브리오패혈증 환자가 예년 대비 3~4개월 빨리 신고됐고 해수에서도 비브리오패혈균이 검출되고 있어 해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비브리오패혈증 발생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브리오패혈증은 간 질환자, 알콜중독자, 당뇨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에서 주로 발생하며 치사율이 50%까지 높아지기 때문에 어패류를 충분히 익혀먹는 등 예방수칙을 2020.01.31
'손 씻기'는 신종코로나 '셀프 백신', 하루 10번 이상 비누로 30초 이상 씻으면 감염 예방
#85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법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병이 전 세계를 위협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비상 사태를 선포했고 중국은 도시 전체를 폐쇄하는 초강수를 뒀다.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로 인한 대혼란을 겪었던 우리나라도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감염 예방을 위해 중국으로부터의 입국자들을 감시하고 방역을 하는 역할은 정부와 의료기관의 몫이다. 그런 역할에 최선을 다할 수 있게 응원을 하자. 감염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국민 개개인의 노력도 중요하다. 개인이 할 수 있는 노력은 첫째, 마스크 쓰기, 둘째, 손 씻기, 셋째, 기침을 팔이나 휴지로 막기 등이 있다. 이 3가지 중, 아직 감염이 되지 않은 사람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손 씻기'다. 이번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어떤 전염병이 돌더라도 손을 열심히 씻어야 한다. 그런데 손 씻기는 전염병 예방에 있어 가장 중요한 행위임에도 사람들의 인식 2020.01.31
도파민 단식이 정말 작용할까?
[메디게이트뉴스 배진건 칼럼니스트] 도파민(Dopamine)은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이다. 아미노산의 하나인 타이로신으로부터 시작해 L-dopa를 거쳐 도파민으로 합성된다. 도파민은 혈압조절, 중뇌에서의 정교한 운동조절 등에 필요한 신경전달물질이자 호르몬이다. 가장 널리 알려진 기능으로는 쾌감·즐거움 등에 관련한 신호를 전달해 인간에게 행복감을 느끼게 한다. 도파민의 분비가 비정상적으로 낮으면 제대로 움직이지도 못하며 감정표현도 잘 하지 못하는 파킨슨병에 걸리게 되며, 분비가 과다하면 환각 등을 보는 정신분열증에 걸릴 수 있다. 파킨슨병의 경우에는 도파민의 전구체인 L-dopa를 처방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치료가 가능하다. 도파민은 뇌에서 동기, 보상, 쾌락 등을 위한 시스템에 관여한다. 예를 들면 SNS에서 맛있는 음식이나 예쁜 여자(남자)의 사진을 봐도 뇌에서 도파민이 분비된다. 물론 섹스를 통해서도 도파민이 분비돼 우리에게 만족감을 줌으로써 그 행동을 습관 2020.01.31
진흥원, 제약산업 해외 진출 전주기 지원 체계 강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국내 제약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진출 단계별 맞춤형 진출 지원 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그 일환으로 진흥원은 '제약산업 전주기 글로벌 진출 강화지원' 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2월 21일까지 모집한다. 이 사업은 보건복지부로부터 위탁받아 진흥원에서 수행하는 사업으로 R&D부터 현지화 정착단계까지 해외 진출에 필요한 제약산업 전주기에 걸친 맞춤형 지원사업이다. 지원분야는 글로벌 임상·인허가 컨설팅, 의약품 수출품목 생산기반 선진화, 현지 한국의약품 법인설립 및 수출품목 현지화로, 본 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은 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간 본 지원 사업을 통해 국내 의약품의 EU GMP 인증, 해외 입찰 수주 등 제약산업의 해외 진출에 기여해 왔다. 한편 진흥원은 본 지원사업의 성과를 알리고 제약바이오기업의 우수한 해외진출 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올 11월 성과공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진흥원 관계자는 " 2020.01.30
"민‧관 협력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진단 빨라진다"
질병관리본부, 대한진단검사의학회, 대한임상정도관리협회는 검사속도와 편의성이 우수한 새로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검사법(Real Time RT-PCR) 구축과 검증, 정도평가를 마치고 오는 31일부터 질병관리본부(국립인천공항검역소 포함) 및 전국 18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검사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30일 밝혔다. 새로운 검사법은 검사 6시간이내 결과 확인이 가능하며 1회 검사로 확진이 가능한 유전자 증폭검사로서 국내 기업을 통한 생산도 가능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적극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질병관리본부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유전정보, 세계보건기구 실험법, 임상검체를 이용 신뢰성 높은 검사법을 구축한 것이며 국내 시약제조 기업에도 진단키트 제조를 위해 검사법을 공개했다. 현재 중국을 제외하면 세계적으로 허가된 상용 진단시약은 없으나 우리나라는 국내 제조업체의 우수한 자체연구와 질병관리본부·학회·협회의 평가지원,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료기기 긴급사용 승인 등을 통해 빠르면 2월 초 민간의료 2020.01.30
삼진제약, 제산제 겔마 14포 포장단위 신규 출시
삼진제약은 자사 일반의약품 제산제 겔마를 리뉴얼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겔마는 위염, 식도염, 가슴쓰림의 증상을 겪을 때 위 점막 회복과 위산 억제, 가스 제거의 세 가지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는 구아야줄렌, 디메티콘 성분의 일반의약품이다. 항염작용을 하는 구아야줄렌은 위벽의 염증과 속쓰림을 치료하는 역할을 하며 디메티콘은 위벽이 헐었을 때 이를 감싸줌으로써 외부 공격인자로부터 위벽을 보호한다. 이 두 가지 성분은 신속한 위 염증 치료효과를 나타내며 위 점막 회복을 통해 단순 제산 작용이 아닌, 재발 위험을 근본적으로 낮춰주는 역할을 한다. 기존 제산제와는 달리 마그네슘이나 알루미늄 등 금속염이 전혀 들어있지 않아 금속염이 유발할 수 있는 변비나 설사와 같은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점도 겔마가 가진 장점이다. 겔마의 식물 유래 캐모마일 성분은 과거부터 위장질환, 천식, 습진 등에 사용되어 온 성분으로 약물에 예민한 사람이나 노약자, 임신부도 안심하고 복용할 수 있다. 또한 겔 2020.01.30
한국아스텔라스, 동아시아인 대상 경구용 JAK 저해제 'Smyraf정' 허가
한국아스텔라스는 지난 23일 기존치료에 적절하게 반응하지 않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스마이랍 정(peficitinib hydrobromide)의 국내 허가를 획득했다고 29일 밝혔다. 허가 용법 용량은 성인 식후 1일 1회 100mg이며 50mg, 100mg 정제가 있다. 젤잔즈, 올루미언트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세 번째로 출시 되는 JAK(Janus kinase) 저해제인 스마이랍은 기존 DMARDs(disease-modifying antirheumatic drugs; 질병조절 항류마티스제제)에 적절하게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 1일 1회 복용하는 경구제로,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되는 새로운 치료옵션이다. 스마이랍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신호전달과정에 관여하는 kinase인JAK 1,2,3 및 tyk2를 저해하여 관절 염증과 통증을 감소시키는 Pan-JAK 저해제다. 이번 허가는 2개의 주요 3상 임상시험인 RAJ3(한국인 대상자 포함)와 RAJ4 2020.01.30
"로수젯, 1000억 간다"…이상지질혈증 시장 압도적 1위 도전
2020년을 새로운 도전의 해로 선포한 한미약품이 올해 '로수젯 매출 1000억원' 도전에 나선다. 로수젯은 한미약품이 독자 개발한 이상지질혈증치료 복합신약으로 2015년 발매 이후 매년 두자릿수 퍼센트의 지속적인 성장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출시 4년만인 2019년 매출 773억원을 기록, 이상지질혈증 복합제 시장 1위에 올랐고 원외처방의약품 중 7위를 기록했다. 작년 4분기에는 단일제와 복합제를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전체 시장에서 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이러한 성과는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LDL-C 를 낮추면 낮출수록 좋다"는 의견이 의료계의 대세로 자리잡고 에제티미브의 임상적 유용성이 확인되면서 이상지질혈증을 치료하는 두 성분인 '로수바스타틴'과 '에제티미브'의 복합제 로수젯에 대한 의료진의 관심이 높아진 점에 크게 기인한다. 또한 한미약품은 "자체 R&D 기술로 로수젯을 단독 개발해 출시한 뒤 임상적 유용성을 입증할 수 있는 데이터들을 꾸준히 의료진에게 선보인 2020.01.3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