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114:30

교육부·대통령실 의대 증원 놓고 엇박자…증원 백지화냐 증원 강행이냐

의대생 3월 복귀 전제 조건, 대통령실에서 제안…‘복귀’ 의미 놓고 교육부 “납득할 만한 수준” vs 대통령실 “전원 복귀” [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정부가 의대생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의대정원을 3058명으로 조정하며 의대 증원 정책에서 한 발짝 물러서는 제스처를 보인 가운데 정작 대통령실은 증원 강행을 방점에 둔 해석을 하고 있어 혼돈이 커지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의 석방으로 대통령 직무 복귀 가능성도 나오고 있는 가운데 대통령실이 의대생 ‘전원 복귀’를 전제로 증원 조정이 가능하다는 점을 밝히면서 증원 백지화에 방점을 찍은 교육부와 달리 대통령실은 사실상 증원을 강행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11일 의료계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 정지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을 중심으로 국정이 돌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와 대통령실이 의료개혁을 놓고 엇박자를 보이고 있다. 사실상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을 비롯한 의료개혁의 추진자인 윤 대통령이 탄핵 위기에 처하면서 현 정부는 의대 정원 증원의 추진력을 잃은 상태다. 이에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의대생들의 복귀를 최우선 과제로 두

2025.03.1107:31

전공의 무더기 '미이수', 복지부 공무원이 수련병원 직접 찾아 압박?…의협, 사실 관계 확인 후 대응 예정

전공의 기존 수련병원 복귀 종용 위해 상급년차 지원시 기존 수련 인정…정부-수련병원 이해 맞아떨어진 결과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하루라도 결근이 발생할 경우 전공의 수련을 미이수로 일괄처리한 것과 관련해 전공의들을 기존 수련병원으로 복귀시키려는 계략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이 과정에서 복지부 공무원이 직접 수련병원을 찾아 전공의 수료를 막았다는 제보도 있었다. 11일 의료계 등에 따르면 최근 일선 수련병원들은 지난해 전공의 집단 사직 이후 전공의 수련 중 단 하루라도 공백이 생긴 경우 수련을 '미이수'처리 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기존 법률에 따르면 한 달 미만 수련 공백은 수련 이수 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정부가 법률 개정 이후 수련병원에 수련 이수 판단 기준에 대한 별도 공문을 발송하면서 수련을 인정받지 못하는 전공의들이 늘어나고 있다. [관련기사=하루라도 수련 공백 생기면 인턴 미수료?…"정부, 자의적 판단기준으로 수련 취소"] 이로 인해 실제 A수련병원은 2월 중 하루라도 결근이 있는 인턴과 전공의 전원에 대해 미수료로 일괄 처리해놓은 상태다.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