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150명 전문의 중 38명이 사직했다. 아직도 의사 4명이 돌아가면서 야간 당직을 담당하고 있다."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공공과 민간병원을 가리지 않고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의료진들은 의료인력에 대한 지원과 함께 의료기관 종별, 규모별 역할의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서울의료원 조동희 기획조정실장은 4일 오후 '2021 한국병원경영학회 온라인 춘계 학술대회'에서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운 공공의료기관의 현실을 담담히 토로했다.
조 기획조정실장에 따르면 현재 서울의료원은 코로나19 상황을 겪으며 외래진료가 대폭 축소됐다.
전체 150명 전문의 중 50%가 코로나19 진료에 투입되면서 받지 못하는 외래 환자가 폭증했고 일반 진료를 할 수 있는 환자가 없다보니 100명 가까이되는 전공의들도 수련의 기회 자체를 박탈당했다.
조동희 기획조정실장은 "코로나19 상황이 계속되면서 의료진 파견과 코로나19 진료가 계속되고 있다. 업무 환경이 개선되지 않으면서 150명 전문의 중 38명이 사직했고 전공의들도 파견 수련을 통해 수련기회를 제공하려고 했지만 본질적 문제 해결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 코로나19 진료와 일반 외래병상이 투트랙으로 운영되고 있긴 하지만 감염병 전담병원 운영 장기화로 인한 손실보상책 강화가 필요하다는 게 현장 의료진들의 견해다.
조 기획조정실장은 "일반진료 축소가 오래 지속되고 의료진들의 업무 피로도가 쌓이면서 사직이 늘고 있다. 병원 입장에서 전담병원 해제 이후에 서울의료원이 이전 수준으로 일어설 수 있을지 의문을 갖는 견해도 늘고 있다"며 "코로나19 손실보상과 함께 인력 등에 대해서도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향후 코로나19와 같은 대규모 재난 발생 시 의료기관 종별, 규모별 대응 역할을 재정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조 기획조정실장은 "초기엔 당연히 600병상 이상 규모의 서울의료원 같은 종합병원 급에서 집중적으로 치료를 전담하는 것이 맞다"며 "그러나 3~6개월, 1년 단위로 장기화가 이뤄지면 감염병 진료 기능이 분산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6개월까지는 종합병원급에서 진료를 맡고 그 이후엔 200~300병상 병원급에서도 진료에 동참해 공공병원도 의료취약계층을 진료할 수 있는 투트랙을 마련하는 체계가 구축돼야 한다"고 전했다.
이 같은 어려움은 민간병원도 마찬가지인 상태다. 가천대길병원 문종윤 공공의료본부 팀장(예방의학과 전문의)은 "2019년에 비해 2020년 외래환자가 큰 폭으로 줄었다. 코로나19 환자를 받기 위해 10% 병상을 비운 것에 대비해도 병상가동률은 더 떨어진 상태"라고 설명했다.
민간병원들은 의료인력에 대한 지원과 함께 정책의 비일관성, 정보 공유 부족 등을 가장 시급한 문제로 꼽았다.
문종윤 팀장은 "가천대길병원은 지난해 2월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지정됐다가 8월에 해제됐다. 그러나 해제 일주일 뒤 다시 전담병원으로 100병상을 비우라는 공문을 받았다"며 "병원 입장에서 정부 정책이 일관성 없이 왔다갔다 하게 되면 기존 환자들의 전원 등 어려움이 가중된다. 위기상황에 대한 매뉴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중환자실 간호사 외의 인력에 대한 보상도 이뤄져야 한다. 현재 일반 병동 간호사와 방사선사 등 의료인력이 존재하지만 이들에 대한 보상은 없다"며 "전문의도 3명이나 사직한 상태다. 현재 감염내과 교수2명, 임상조교수 1명, 전임의 1명으로 매일 당직을 서면서 95개 병상을 커버하고 있다"고 말했다.
향후 민간병원들은 재난적 감염병 상황에서 살아남을 수 제언도 쏟아졌다.
문 팀장은 "민간병원들은 앞으로 지역에서 공공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ESG(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 사회, 지배구조)경영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공공의료와 사회적가치를 추구하는 병원이 살아남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돕기 위해 정부도 병상과 인력, 장비면에서 금전적 보상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