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인데 진료를 받는 인원은 750명당 1명으로 매우 저조하고, 가난할수록 비만율이 높아지는 양극화 현상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만 유병률이 높은 저소득일수록 비만 질환에 대한 진료율이 낮아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인재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만19세 이상 비만 유병률은 34.1%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0대가 40.1%로 가장 높았고, 50대 38.3%, 70대 이상 37.4%, 40대 35.6%, 30대 32.9%, 20대 23.5% 순이었다.
소득수준별로는 소득이 가장 적은 1분위 그룹 유병률이 37.2%였고, 소득이 가장 많은 4분위에서는 30.7%로 가난할수록 비만일 가능성이 큰 경향을 보였다.
인 의원이 건보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비만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총 1만 8022명으로, 같은 기간 국내 비만인구 약 1351만 명의 0.13%에 불과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비만 유병률이 가장 낮았던 30대가 19세 이상 성인 진료인원의 약 32.2%를 차지했고, 40대가 27.9%, 20대 17.3%, 50대 16.3% 순이었고, 연령별 비만 유병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60대와 70대 이상은 각각 4.8%, 1.4%로 저조한 진료율을 보였다.
또 소득이 낮을수록 비만 진료율이 낮았는데,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그룹과 가장 높은 10분위 그룹의 진료인원은 약 1.85배가량 차이가 났다.
이런 추세는 가속화돼, 2016년에는 1분위 그룹과 10분위 그룹의 진료 인원 차이가 1.9배였고, 올해 상반기는 2배가 넘었다.
인 의원은 "만병의 근원인 비만의 양극화가 심각한 수준"이라면서 "가난할수록 높아지는 비만율도 문제지만 소득 수준에 따라 진료율 차이를 보이는 것은 더욱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정부는 진료비에 대한 부담, 비만이 질병이라는 사회적 인식의 부족 등 비만 진료 저조 현상의 근본적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국민건강 양극화 예방을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