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19.06.03 09:25최종 업데이트 19.06.03 09:25

제보

"골다공증치료 가장 큰문제는 낮은 치료지속률…개선 과제 1순위는 약제 보험급여 기준 완화"

대한골대사학회, 골다공증 치료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 발표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대한골대사학회가 학회 소속의 우리나라 골다공증 치료 전문가 11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골다공증 치료 정책 관련 인식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지난 5월 28일부터 6월 1일까지 개최된 제31차 춘계학술대회 기간 동안 진행됐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현재 골다공증에 대한 정부의 질환 심각성 인식이나 정책적 지원이 충분한 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88.6%가 ‘부족하다’고 답했으며, 가장 큰 이유에 대해서는 60.5%(복수응답)가 만성질환 대비 제한적인 약물 치료 보험급여 기준을 꼽았다. 
 
대한골대사학회 소속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골다공증 치료 환경에서 가장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부문(복수응답)은 골다공증 치료 지속률 향상(64.9%)이었다.

치료 지속률이 저조한 원인을 묻는 질문(복수응답)에 전문가들은 골다공증 치료제의 제한적인 급여 적용 요건(60.5%)을 가장 많이 답했다. 현재 우리나라 골다공증 치료제 급여 기준 상 골밀도 수치가 일정 수준(T-score -2.5) 이상으로 개선되면 치료제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가 중단된다.

또한, 증상 개선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질환 특성(55.3%)과 골절 발생 등 치료 중단 시의 심각성에 대한 환자들의 인식 부족(53.5%)도 낮은 치료 지속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에 골다공증 치료 환경을 실질적으로 개선시킬 가장 효과적인 정책 방안을 묻는 질문(복수응답)에 전문가들은 골다공증 약물 치료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건강보험 지원 범위를 확대할 것(63.2%)과 골다공증을 고혈압, 당뇨병과 같이 정부의 만성질환 관리 대상에 포함시킬 것(58.8%), 골다공증의 검진 기회를 늘릴 것(34.2%)을 주문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골다공증성 골절이 발생한 환자들이 겪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복수응답)으로는 골다공증성 골절 및 재골절로 인한 신체적 고통(57.0%), 시술 및 수술로 인한 장기 요양(50.9%), 골절 및 환자 간병 문제로 인한 환자와 환자 가족들의 스트레스(41.2%)를 꼽았다. 

대한골대사학회 정호연 이사장은 “대한골대사학회는 지난 30년 간 우리나라 골다공증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해 골다공증 치료 전문가·연구자 중심의 학술단체로서 활동해왔다”며 “초고령 사회를 앞둔 우리나라는 지금 골다공증 유병률과 골절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골다공증성 골절은 사망을 초래하거나 거동을 제한해 환자와 그 가족의 고통을 야기하는 만큼, 앞으로 우리 학회는 노인 만성질환인 골다공증 치료 환경과 정책 개선의 필요성을 사회와 정부에 적극 알려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한골대사학회는 학회 설립 30주년을 기념하여 대국민 골다공증 인식제고 및 골절 예방 치료환경 조성을 위한 ‘2019 골(骨)든 타임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하반기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골다공증의 심각성과 치료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영상·포토에세이·포스터 공모전을 진행할 예정이다.

박도영 기자 (dypark@medigatenews.com)더 건강한 사회를 위한 기사를 쓰겠습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