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5.02.11 07:19최종 업데이트 25.02.11 07:19

제보

AZ, 타그리소 이을 혁신항암제 개발에 박차…이중항체·CAR-T·TCE 등 주요 연구 진입

2025년 7개 신약의 첫 3상 데이터 발표 예정…2030년 이후 지속 성장 견인할 혁신 기술에 계속 투자

사진: 아스트라제네카 홈페이지.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2030년 이후 지속 성장을 뒷받침할 혁신 치료제로 개발 중인 이중특이항체와 항체약물접합체(ADC), CAR-T, T세포 인게이저(TCE) 등이 현재 주요 임상 단계에 진입했으며, 올해 일부 추가 데이터를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 발표했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는 최근 2024년 4분기 실적발표에서 지난해 총 매출액이 전년 대비 21% 증가한 540억7300만 달러(약 78조5000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 증가는 항암제사업부의 강력한 성과와 함께 이뤄졌다. 지난해 항암제사업부의 총 매출은 21% 증가한 223억5300만 달러로, 전체 매출의 41%를 차지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데이비드 프레드릭슨(David Fredrickson) 항암제사업부 수석 부사장은 "주요 의약품이 새로운 다중 블록버스터 신기록을 달성한 데 힘입었다"면서 "그 중 타그리소(Tagrisso)는 65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달성했고, 린파자(Lynparza)는 30억 달러 이상의 제품 판매를 기록했다. 임핀지(Imfinzi)와 임주도(Imjudo)의 매출 합계는 50억 달러에 육박했고, 칼퀀스(Calquence)와 엔허투(Enhertu)는 각각 20억 달러 이상 연매출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EGFR 폐암 치료제 타그리소는 모든 적응증에서 강력한 성장을 보였고, 특히 보조요법과 1차 치료 환경에 대한 전 세계 수요가 계속해서 강세를 나타냈다. 프레드릭슨 수석 부사장에 따르면 1차 치료 환경에서 타그리소는 전 세계적으로 75% 이상 시장 점유율을, 미국에서는 85%에 가까운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에 글로벌 매출은 전년 대비 13% 늘어난 65억8000만 달러 매출을 올렸다. 미국에서는 3기 절제불가능한 질환에 대한 조기 출시 모멘텀과 경제성 개선에 따른 추가 호재로 매출이 21% 늘었다.

PARP 억제제 린파자(의 돌풍도 이어졌다. 2024년 글로벌 매출이 36억7200만 달러로 30억 달러를 넘어서면서 4분기 6억 달러 마일스톤 지불금을 수령했다. 아스트라제네카에 따르면 총 처방량 기준 4개 종양 유형(난소암, 유방암, 전립선암, 췌장암)에서 린파자는 PARP 억제제 계열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모든 적응증에서 수요가 늘고 있고, 유럽에서도 초기 유방암, 전이성 전립선암 적응증 추가 출시로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항체약물접합체(ADC) 엔허투 역시 HER2 양성 및 저발현 전이성 유방암의 표준 치료제로 자리잡으며 50%가 넘는 성장률로, 월가의 예상을 뛰어넘는 성장을 보였다. 파트너사인 다이이치산쿄(Daiichi Sankyo)와 합산한 엔허투의 지난해 총 매출액은 37억5400만 달러로 2023년 25억6600만 달러 대비 큰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4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암종 불문(tumour agnostic) 고형암 치료제로 승인 받은 뒤 특히 부인과 적응증에서 조기도입이 장려되고 있으며, DESTINY-Breast06 데이터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NJEM)에 게재된 후 화학요법 경험이 없는 HER2 초저위험군에서 일부 자발적으로 사용됐다.

엔허투 다음으로 다이이찌산쿄와 협력해 개발한 ADC 제품인 다트로웨이(Datroway, Dato-DXD)는 올해 초 HR+/HER2-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로 미국에서 승인 받았다.

희귀질환 포트폴리오에서는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 치료제 울토미리스(Ultomiris)가 성장을 견인했다. 신경과에서의 사용 증가, 지리적 확장, 추가 환자 수요, 솔리리스(Soliris)에서의 전환 등으로 울토미리스 매출은 32% 증가한 39억2400억 달러를 기록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2025년에도 울토미리스가 성장을 이끄는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조혈모세포 이식과 관련된 혈전성 미세혈관병, 심장 수술과 관련된 급성 신장 손상 및 IgA 신병증 분야로 적응증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올해는 2030년 매출 800억달러 목표 달성 위한 기폭제될 것

아스트라제네카 파스칼 소리오(Pascal Soriot) 최고경영자(CEO)는 "2024년 매우 견고한 실적을 거뒀고, 긍정적인 고가치 3상 임상시험 9건을 완료했다. 이는 모든 주요 지역에서 우리 의약품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2025년까지 성장 모멘텀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면서 "올해는 유례없이 기폭제가 풍부한 시기가 시작되는 해로, 2030년까지 총 매출 800억 달러를 달성하기 위한 '앰비션 2030(Ambition 2030)' 여정의 중요한 단계다. 2025년에만 7가지 신약에 대한 첫 3상 데이터가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며, 기존 약물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신규 적응증 기회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7개 신약 중 유방암 치료제 카미제스트란트(camizestrant)와 저항성 고혈압 치료제 박스트로스타트(baxdrostat)는 각각 50억 달러 이상 최고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스트라제네카 수잔 갈브레이스(Susan Galbraith) 종양학 연구개발(R&D) 수석 부사장은 "2025년에는 폐암, 유방암, 위장관암, 방광암에 대한 혁신 의약품의 도달 범위를 극대화하고 이중특이성 면역항암제, ADC, T세포 인게이저(TCE) 등 일부 혁신 기술에 대한 추가 데이터를 제공할 계획이다"면서 "하반기에는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 환자를 대상으로 다트로웨이와 임핀지, 백금화학요법 병용요법을 평가한 AVANZAR 3상 연구 결과를 발표할 것이다. 또한 올해 상반기에는 다트로웨이의 TROP2-Breast02 임상시험에서 삼중음성유방암에 대한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현재 진행 중인 면역항암제 이중특이성 물질에 대한 3상 시험이 9개 있으며, 올해 말 릴베고스토믹(rilvegostomig)과 다트로웨이, 엔허투 조합에 대한 초기 데이터를 공유할 계획이다"면서 "지난해 CLDN18.2 ADC AZD0901이 3상 단계에 진입했다. 올해는 자사 링커 토포 1 페이로드인 P-Sam(puxitatug samrotecan)을 사용해 자궁내막암에 대한 B7-H4 표적 ADC를 3상 단계에 진입시킬 계획이다. 최근에는 소낭성 림프종에 대한 CD19/CD3 TCE ASD-0486의 첫 3상 임상인 SOUNDTRACK-F1 연구를 시작했다"면서 "이러한 혁신 기술은 2030년 이후에도 지속 성장을 뒷받침해줄 것이다"고 강조했다.

외부 혁신에도 꾸준하게 투자하고 있다. 지난해 암 및 자가면역 질환 치료를 위한 세포 치료제 개발 기업인 그라셀 바이오테크놀로지(Gracell Biotechnologies), 차세대 방사성 결합체 개발 기업인 퓨전 파마슈티컬스(Fusion Pharmaceuticals) 인수를 완료했다. 더불어 RSV 백신 개발 기업인 아이코사백스(Icosavax)와 희귀 내분비 질환 치료제 개발사인 아몰릿 파마(Amolyt Pharma) 인수를 마쳤다.

소리오 CEO는 "파이프라인의 가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90개 이상의 후기 단계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2025년 예상 결과만 살펴보더라도 위험 조정되지 않은 최대 연간 수익 잠재력이 150억 달러를 초과한다"면서 "올해 말, 늦어도 2026년 초에는 2030년 총 매출 800억 달러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해 좋은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의 목표는 2030년까지 성장하는 기업이 되는 것뿐 아니라 2030년 이후에도 계속 성장하는 기업이 되는 것이다"면서 "ADC, 이중특이항체, CAR-T, TCE 프로그램에 대한 여러 주요 임상시험이 계획되거나 시작되면서, 이 모든 분야에서 매우 좋은 진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혁신 기술은 2030년 이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도영 기자 (dypark@medigatenews.com)더 건강한 사회를 위한 기사를 쓰겠습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